한전.신재생발전 직접 참여
2021-02-25 11:14
|
|||
---|---|---|---|
한국전력제주본부 (Homepage : http://)
|
|||
정부는 2030년까지 현재 설비 규모의 100배 수준인 12GW 규모의 풍력단지를 조성해 세계 5대 해상풍력 강국으로 도약 하겠다는 비전을 발표했다. 이 같은 정부 비전에 발맞춰 한전은 민간 주도 개발이 어려운 대규모 해상풍력사업에 역점을 두고 신재생발전사업에 직접 참여할 수 있도록 전기사업법 개정에 노력하고 있다. 한전이 신재생발전사업에 직접 참여시 전기소비자, 민간 사업자, 한전 주주 등 이해관계자 모두를 만족시킬 수 있는 ‘윈윈’사업이라 생각한다. 한전의 기술력 및 자금조달 역량 등을 활용한 신재생 발전원가 절감으로 전기소비자는 전기요금 부담 감소, 발전사업단지 조성 등 인프라 구축으로 민간 사업자는 사업성이 개선되고 글로벌 동반 진출 기회도 확대될 수 있다. 더불어 한전도 사업비‧투자비 절감 및 신성장 동력 확보 등으로 재무구조가 개선되어 기업가치 및 지속가능성 향상으로 주주 이익이 증가하게 된다. 신재생발전에서 대규모 해상풍력사업은 대형 프로젝트를 주도할 수 있는 경험과 역량 보유 사업자의 참여가 필요한데, 한전은 국내외 다양한 풍력발전사업 경험을 통해 역량을 갖추고 있어 적임자라 할 수 있다. 요르단에서 푸제이즈 발전소(89.1㎿)를 단독으로 준공해 2019년 7월부터 상업운전을 하고 있으며, 중국 내몽골과 랴오닝성 등에도 원전 1기 용량에 달하는 총1,017㎿ 규모의 대단지 풍력 발전소를 2006년 준공한 이래 10년 이상 운영해 오고 있다. 국내에서도 특수목적 법인(SPC)을 설립하여 서남해 해상풍력(60㎿), 제주 한림해상풍력(100㎿) 등 해상풍력 단지 개발을 추진 중이다. 한전이 신재생발전사업 직접 참여에 대해 민간 신재생발전사업자 등이 민간 사업영역 침해, REC 가격 하락과 같은 문제를 우려하고 있으나, 한전이 직접 참여시에도 발전자회사 및 민간 주도 개발이 어려운 해상풍력 등 대규모 사업이나 한전 보유 기술 활용이 필요한 사업에만 제한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사업범위 및 규모에 대해 정부‧국회와 협의 중이다. 신재생발전 확산 및 탄소중립을 선도할 수 있도록 투자여력 및 R&D 역량, 사업생태계 조성 등 종합적 사업 기획 역량을 보유한 한전이 신재생발전에 직접 참여 할 수 있도록 전기사업법 개정 법안이 조속히 통과되어 소비자, 사업자, 주주 등 모두에게 혜택이 될 수 있기를 바란다. |
|
[종합] 새벽 시간 제주 교차로서 차량 6대 충돌 8명 사상
제주 귀농·귀촌 열기 한 풀 꺾였다
김광수 교육감, 주민 반발에 "서귀북초 소나무 안 벤다"
국힘 제주도당 원희룡 이어 이번엔 이준석 제주 출마 요청
헬스케어타운 녹지병원 자리에 민간병원 추진되나
은퇴 급증, 신규 찔끔.. 앞날 걱정되는 여섯 번째 '해녀의 날'
"제주여상, 일반고로 전환해 달라" 총동창회 서명운동 시작
어승생정수장 물부족 해결 지하수 개발 추진 '논란'
배우 재희 고향사랑기부 제주 홍보대사로 나선다
제주도의회 '천원 아침밥' 제도화 추진 현장 행보 눈길
제주지방 구름 사이로 햇볕 보이는 주말.. 야외…
우장·미깡·도감·돌챙이… 영상으로 기록한 '서…
제주도 "다음달 행정구역 갯수·후속조치 비용도…
"유보통합 TF 아직도.." 지적에.. 도교육청·도 '추…
23일 오후 제주 강풍 순간풍속 초속 15m '주의'
"2025년 APEC 정상회의는 빛나는 제주에서"
김경학 의장 "행정체제 모든 정보 제시해 도민 …
[한라일보 저녁잇슈] 2023년 9월 22일 제주뉴스
감사위 "제주개발공사 사회공헌사업 허위 실적 …
기초학력 보장법 시행 1년.. "지정 교사 부담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