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환경=석유의 감소
2020-12-02 13:12
김선준 (Homepage : http://)
환경정책론 기고문.hwp ( size : 61.50 KB / download : 8 )
우리가 살아가는데 필수적인 물질은 무엇일까? 산소와 물이다. 산소가 없으면 인간은 호흡을 할 수 없어 사망에 이른다. 인간 신체의 대부분은 물로 채워져 있는데 일정 부분의 몇 퍼센트만 빠져나가도 신체에 굉장히 위협적이다. 그렇다면 생존에 필수적인 산소와 물 다음으로 현대인들에게 가장 중요한 물질은 무엇일까? 바로 석유다. 입고 다니는 옷, 플라스틱 그리고 자동차의 연료 등 석유가 없으면 존재하지 못했을 것들이 우리 주변 곳곳에 있다. 이렇듯 우리 삶 속에서 석유는 상상 그 이상으로 현대인에게 필수적이다. 석유는 땅속에서 나온 기름인 원유를 끓는 점 차이를 이용해 분리한다. 끓는 점에 따라 액화석유가스(LPG), 휘발유, 나프타, 등유, 경유, 중유 그리고 찌꺼기로 나뉜다. 자동차의 연료로 쓰이는 액화석유가스(LPG), 휘발유, 경유는 많은 유해 물질을 배출해 대기오염의 주원인이다. 대형선박의 연료로 쓰이는 중유는 대기오염에는 심각한 악영향을 안 끼칠 수 있다고 볼 수 있지만 해양오염으로부터는 자유롭지 못하다. 태안 기름 유출 사고가 해양 생태계를 완전히 파괴시킨 것만 보더라도 그 위험성을 알 수 있다. 신발, 칫솔, 플라스틱, 섬유와 같은 석유 화학 제품은 나프타가 원재료이다. 그런데 이 물질들은 분해되는데 시간이 많이 걸려 문제가 된다. 가죽 구두는 25년에서 40년 정도, 칫솔은 100년 이상 플라스틱은 무려 500년이나 걸린다. 분해되는 기간이 길다 보니 그만큼 토양오염에 끼치는 영향도 크다. 물론 석유가 우리의 삶의 상당한 도움이 되는 것은 부정할 수 없는 사실이다. 그러나 석유가 많이 사용될수록 친환경과는 더 멀어지는 것 또한 부정할 수 없는 사실이다.

제주대 행정학과 2학년

No 제목 이름 날짜
4014 (사)제주YWCA중등청소년방과후아카데미 특별지원활동프로그램 '1분기 생일…  ×1 (사)제주YWCA중등청소년방과후아카데 05-08
4013 혼자가 아닌 함께, 제주가치돌봄으로 따듯한 동행을 시작하세요  ×1 ×1 제주시 주민복지과 고수정 05-08
4012 자연재해는 막을 수 없지만, 피해를 줄일 수 있습니다.  ×1 장명서 05-07
4011 (기고)봄철 공사장 화재, 작은 주의가 큰 안전을 만든다.  ×1 구좌119센터 소방사 김한울 05-07
4010 구좌119센터, 구좌읍사무소에서 여름철 풍수해 대비 수방장비 교육 실시  ×1 구좌119센터 소방사 김경민 05-07
4009 2024년 사상 가장 더운 해, 해수면 온도 사상 최고치, 2025년에는 더 이상 좌시…  ×1 김제현 05-05
4008 제주 장애인 휠네비길, 모두를 위한 길이 되려면  ×1 김제현 05-05
4007 서귀포시청소년수련관 방과후아카데미 '삼성드림클래스' 운영기관 선정  ×1 서귀포시청소년수련관 방과후아카데미 04-29
4006 - - 04-29
4005 서귀포시청소년수련관 '지원협의회와 함께하는 진로 특강' 운영  ×1 서귀포시청소년수련관 방과후아카데미 04-29
4004 봄철, 안전한 산행을 위한 안전수칙  ×1 서귀포소방서 동홍119센터 문해민 04-29
4003 가정의 달 맞이‘청소년 주류 제공 주의보’  ×1 서귀포시 위생관리과 한정숙 04-29
4002 2025년 제주시지역사회보장협의체 실무분과 민·관 협력 공동사업 시민건강… 제주시지역사회보장협의체 04-28
4001 따뜻한 동행  ×1 윤매순 04-27
4000 (사)제주YWCA중등청소년방과후아카데미, ‘청소년 자원봉사 기초교육’ 진…  ×1 (사)제주YWCA중등청소년방과후아카데 04-25
3999 토양생태환경보전사업”에 주목해야  ×1 제주농산물수급관리센터 04-25
3998 토양생태환경보전사업”에 주목해야  ×1 제주농산물수급관리센터 04-25
3997 신재생에너지 포괄적 권한 이양과 관련하여  ×1 ×1 김정혁 04-25
3996 (기고)불법 소각, 그 감당 못할 책임에 경각심을  ×1 구좌여성의용소방대장 오춘미 04-24
3995 산불없는 제주를 위해 모두가 지켜주세요.  ×1 부재윤 04-22
3994 (기고) 한번에 뚝딱 완성되는 숲은 없다.  ×1 제주시 양은옥 04-22
3993 고사리철 이것만은 지켜주세요!  ×1 고기봉 04-18
3992 [기고] 자연재해! 준비는 지금! 풍수해·지진재해보험으로 안심하세요.  ×1 장명서 04-18
3991 보이지 않는 곳에서 청정 제주의 미래를 지키는 하수처리 이야기   ×1 상하수도본부 공공하수처리시설 현대화사 04-17
3990 [기고] 청년농업인, 지속 가능한 농업의 미래를 여는 열쇠  ×1 ×1 오종훈 04-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