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함께 공유 할 수 있는 도심 미니 공원 조성 사업을 기대하며
2019-11-29 06:06
김덕현 (Homepage : http://)

원본 이미지 크기입니다.
필자는 아이들이 더 이상 놀지 않는 놀이터에 도민들이 쉬고 만나는 도심 미니 공원을 조성 했으면 한다. 집에서 시청으로 가는 길에 늘 한 놀이터와 마주 치는데 아이들 없이 비어있는 놀이터를 보면 방치되어있다는 느낌을 받는다.

여행 중에 머물렀던 호주 시드니와 멜버른은 도시 안에 미니 공원이 많이 있었다. 공원에서 호주 시민들이 서로 만나고 이야기하는 모습이 인상 참 깊어 제주도에도 도민들이 쉬고 만나는 공간이 생겼으면 좋겠다고 생각했다. 인조적인 공원이 아닌 여러 가지 나무를 식재해 숲의 기능을 할 수 있도록 조성 했으면 한다. 특히 제주도가 원산지인 왕벚나무를 심는 것을 추천한다.

교육적인 측면에서도 인위적인 놀이터보다 자연적인 공원이 아이교육에 좋다. 아이의 뇌는 주어진 환경의 영향을 받아 수많은 시냅스가 연결되는데 3~5세 사이에서 최고로 발달하다가 5~6세에는 지능의 80%가 완성된다고 한다. 즉 어릴수록 다양한 자극을 많이 받아야 시냅스 연결이 활발해져 아이의 두뇌가 발달하게 된다. 아이가 나무와 돌· 흙 등 자연을 보고 직접 만져보는 것이 오감과 인지발달·정서발달에 도움을 준다. 내 아이를 똑똑한 아이로 만들고 싶다면 천편일률적인 놀이터보다 자연의 변화를 느낄 수 있는 공원이 좋다고 생각한다.

제주도 1인당 도시공원 면적은 전국 최하위권이다. 제주도는 채무 제로라는 미명하에 이미 있는 제주도내 장기미집행 도시 공원들도 방치해왔다. 장기미집행 도시공원이란 1999년 헌법재판소의 결정에 따라 2020년 7월이면 자동으로 사유지로 풀리는 공원을 말한다. 제주도가 공원 설립을 위해 사유지를 도시계획시설로 지정했지만 20년 넘게 공원을 조성하지 않아서 벌어진 일이다.

헌법 제 35조 1항에 따르면 모든 국민은 건강하고 쾌적한 환경에서 생활할 권리를 가지며 국가와 국민은 환경보전을 위하여 노력해야 한다. 따라서 제주도민은 건강하고 쾌적한 환경에서 생활할 권리를 가지고 있으며 환경보전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

제주도민들은 환경보전을 위해 제주도정의 정책들을 잘 이행해왔다. 이에 반해 제주도정은 예산 부족 및 예산 낭비라는 이유를 대며 제주도의 환경보전을 위해 투자를 하려고 하지 않는다. 제주도가 제주도의 환경보전을 위해 돈을 쓰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제주도가 도심 미니 공원 조성 사업과 함께 제주도민의 1인당 도시공원 면적확보를 위해 자기의 맡은 역할을 다하길 바란다.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김덕현

No 제목 이름 날짜
3889 환경을 생각하는 크리스마스, 지속 가능성을 더하다  ×1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2학년 부유민 12-03
3888 덕분에 리더십이 확산하길 기대하며  ×1 고기봉 12-03
3887 제주의 숨겨진 보물, 오름의 현실  ×1 오승민 12-02
3886 제주에서도 피할 수 없는 ‘기후위기’, 우리가 해결해야 할 때  ×1 ×1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4학년 현기명 12-01
3885 소중한 토양, 지구의 미래를 위한 우리의 책임  ×1 ×1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3학년 송유진 12-01
3884 [기고]당신의 배려가 생명을 구합니다.  ×1 ×1 효돈119센터 소방교 김선일 11-29
3883 안전한 화목보일러 사용, 따뜻한 겨울나기  ×1 구좌119센터 소방사 김한울 11-29
3882 ‘주택용 소방시설’선택이 아닌 필수입니다.  ×1 구좌119센터 소방교 전지훈 11-27
3881 472년을 산 80대의 행복   ×1 김계담 11-26
3880 차고지 증명제, 이제는 개선해야할 때!  ×1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2학년 부유민 11-25
3879 [기고] ‘불조심 강조의 달‘ 양돈장도 안전한 겨울 나기   ×1 한경119센터 소방사 강창희 11-25
3878 차고지 증명제 문제점에 대한 소견  ×1 ×1 도민감사관 김용균 11-24
3877 [기고] 겨울철 화재예방, 우리의 안전을 지키는 첫걸음  ×1 김성훈(제주소방서 119구조대) 11-24
3876 [기고] 주택용 소방시설 설치, 안전한 삶의 첫걸음  ×1 효돈119센터 소방장 오병철 11-23
3875 (사)제주YWCA, ‘2024세계평화의섬 실천을 위한 평화프로그램’ "공존과 상…  ×2 (사)제주YWCA 11-22
3874 제주도의 환경정책과 주민 삶의 질 향상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송시현 11-22
3873 말이 씨가 된다  ×1 제주개발공사 사회공헌팀 국정연 11-21
3872 (사)제주YWCA, ‘2024세계평화의섬 실천을 위한 평화프로그램’ -공존과 상생…  ×1 (사)제주YWCA 11-14
3871 동행합창단 작가의 산책길 공연  ×1 ×1 허희진 11-14
3870 일회용컵 보증금제도, 이대로 괜찮은가  ×1 ×1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2학년 문수아 11-13
3869 차고지 증명제, 이제는 개선해야할 때!  ×1 ×1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2학년 부유민 11-13
3868 (사)제주YWCA중등청소년방과후아카데미, ‘빼빼로데이 기념 쿠킹클래스’ …  ×1 (사)제주YWCA중등청소년방과후아카데 11-12
3867 11월 26일 아무것도 사지 않는 날을 아시나요? 미래를 여는 환경 솔루션  ×1 ×1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4학년이민수 11-12
3866 11월 11일 '보행자의 날'을 아시나요.  ×1 고기봉 11-08
3865 디지털 시대 어떻게 소통할까?  ×1 아라동주민센터 산업팀장 차무관 11-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