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회용 플라스틱 없는 제주' 대학부터
2019-10-03 08:04
김수현 (Homepage : http://)

원본 이미지 크기입니다.
플라스틱 줄이기는 선택이 아닌 필수
산업의 발전, 생활의 편리함이 증대되는 만큼 발생되는 쓰레기의 발생량은 방대해지고 있는데 그 중에서 1회용품은 편리함의 상징이자 쓰레기 발생량을 증대시키는 주요 원인 중 하나다.

지난 4월 쓰레기 대란 이후 정부는 “재활용 폐기물 관리 종합대책”을 내 놓게 되었고 그 대책의 일환으로 환경부가 나서 정부 부처와 지자체 등 공공기관에 1회용품 줄이기 실천 지침이 하달되어 우리 주변에서 생활의 변화가 생기기 시작했다.

지금까지 우리의 생활 습관을 보면 귀찮아서, 불편해서 일회용품 사용을 하는 게 대부분이다. 하지만 지구의 환경을 생각한다면, 더 나은 삶을 누리고 싶다면 귀찮은 것도 불편한 것도 수고로움도 감수 할 수 있는 게 멋지고 세련된 삶이 방식이 아닐까. 12시가 되면 멈춘다는 환경시계는 이미 11시59분이다. 우리에게 더 이상 남은 시간이 없다.

일상적으로 사용하던 일회용 컵을 당장 내일부터 쓰지 않는 것은 힘들 것이다. 습관이라고 하는 것은 한 번에 모든 것을 바꾸려 한다면 절대 바꿀 수 없다. 하지만 하루에 컵 하나만 사용하기처럼 조금씩 변화한다면 그것이 습관이 되고 내 주변 환경부터 달라질 것이라고 기대해 볼 만하다.

편리하다는 이유로 무분별하게 소비되던 플라스틱이 우리를 위협하는 환경문제에 대한 공감을 얻자 소비자들이 움직인 것이다. 소비자들은 텀블러를 세척하고 휴대하는 불편을 기꺼이 감수하고, 빨대 대신 컵을 대고 마시는 방법에도 익숙해지려 노력하고 있다.

텀블러가 하나의 문화로 자리잡아가면서 불편은 더 이상 불편이 아닌 당연한 것으로, 반복하면 습관이 되어 익숙해지듯 플라스틱 줄이기는 으레 당연한 습관이 되어야 한다. 특히 미래 세대의 주역인 젊은이들의 생활공간인 대학 캠퍼스에서 모범적으로 플라스틱 안 쓰기를 우선적으로 실천할 때 그 습관이 이어져 지구를 지키고 우리를 지킬 수 있다.
이제는 환경의 소중함을 되새기며 미래세대에 보다 나은 환경을 전달할 수 있도록 지구 환경에 대한 윤리적 의무를 고민해야 할 시점이다.

일회용 컵, 빨대, 비닐봉지 같은 지구 환경에 악영향을 끼치는 불필요한 플라스틱 쓰레기를 줄이기 위해 우리의 행동을 변화시키고 익숙했던 일회용품들과 완전히 이별할 때다.우리 자신의 더 나은 미래를 위해, 그리고 다음 세대의 더 나은 미래를 남겨주기 위해, 지금부터 천천히 플라스틱 없는 생활을 시작해보자.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2학년 김수현

No 제목 이름 날짜
3889 환경을 생각하는 크리스마스, 지속 가능성을 더하다  ×1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2학년 부유민 12-03
3888 덕분에 리더십이 확산하길 기대하며  ×1 고기봉 12-03
3887 제주의 숨겨진 보물, 오름의 현실  ×1 오승민 12-02
3886 제주에서도 피할 수 없는 ‘기후위기’, 우리가 해결해야 할 때  ×1 ×1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4학년 현기명 12-01
3885 소중한 토양, 지구의 미래를 위한 우리의 책임  ×1 ×1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3학년 송유진 12-01
3884 [기고]당신의 배려가 생명을 구합니다.  ×1 ×1 효돈119센터 소방교 김선일 11-29
3883 안전한 화목보일러 사용, 따뜻한 겨울나기  ×1 구좌119센터 소방사 김한울 11-29
3882 ‘주택용 소방시설’선택이 아닌 필수입니다.  ×1 구좌119센터 소방교 전지훈 11-27
3881 472년을 산 80대의 행복   ×1 김계담 11-26
3880 차고지 증명제, 이제는 개선해야할 때!  ×1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2학년 부유민 11-25
3879 [기고] ‘불조심 강조의 달‘ 양돈장도 안전한 겨울 나기   ×1 한경119센터 소방사 강창희 11-25
3878 차고지 증명제 문제점에 대한 소견  ×1 ×1 도민감사관 김용균 11-24
3877 [기고] 겨울철 화재예방, 우리의 안전을 지키는 첫걸음  ×1 김성훈(제주소방서 119구조대) 11-24
3876 [기고] 주택용 소방시설 설치, 안전한 삶의 첫걸음  ×1 효돈119센터 소방장 오병철 11-23
3875 (사)제주YWCA, ‘2024세계평화의섬 실천을 위한 평화프로그램’ "공존과 상…  ×2 (사)제주YWCA 11-22
3874 제주도의 환경정책과 주민 삶의 질 향상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송시현 11-22
3873 말이 씨가 된다  ×1 제주개발공사 사회공헌팀 국정연 11-21
3872 (사)제주YWCA, ‘2024세계평화의섬 실천을 위한 평화프로그램’ -공존과 상생…  ×1 (사)제주YWCA 11-14
3871 동행합창단 작가의 산책길 공연  ×1 ×1 허희진 11-14
3870 일회용컵 보증금제도, 이대로 괜찮은가  ×1 ×1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2학년 문수아 11-13
3869 차고지 증명제, 이제는 개선해야할 때!  ×1 ×1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2학년 부유민 11-13
3868 (사)제주YWCA중등청소년방과후아카데미, ‘빼빼로데이 기념 쿠킹클래스’ …  ×1 (사)제주YWCA중등청소년방과후아카데 11-12
3867 11월 26일 아무것도 사지 않는 날을 아시나요? 미래를 여는 환경 솔루션  ×1 ×1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4학년이민수 11-12
3866 11월 11일 '보행자의 날'을 아시나요.  ×1 고기봉 11-08
3865 디지털 시대 어떻게 소통할까?  ×1 아라동주민센터 산업팀장 차무관 11-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