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목축문화와 들불축제
2019-03-12 06:30
이성돈 (Homepage : http://)
3.11 제주 목축문화와 들불축제.hwp ( size : 109.50 KB / download : 8 )

원본 이미지 크기입니다.
지난 2월 9일, 제주 들불축제의 하이라이트인 들불놓기의 장관을 연출하는 가운데 새별오름 일대에서 열린 제22회 들불축제가 막을 내렸다. 1997년부터 시작한 제주들불축제는 2019년 문화체육관광부 지정 최우수축제로 선정됐고 2016년부터 4년 연속 대한민국 축제콘텐츠 대상을 수상하는 등 대한민국 대표축제로 자리 매김하고 있는 가운데 제주 들불축제의 지속적인 발전을 위하여 제주의 전통 목축문화에 대한 부각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싶다.
예전의 제주농업은 화산회토로 토질이 척박하고, 물을 가두어 농사에 활용하기가 어려워 보리, 콩, 조, 메밀 등 척박한 토양에서 재배 가능한 작물들을 재배하였으며, 고려시대 이후 우경(牛耕)이 점차 확산되면서 목축산업이 발달하기 시작하였다. 경운기 등 농기계가 보급되기 전인 1970년대 후반까지만 해도 소는 농가마다 1마리 이상을 키웠고, 소를 이용해 밭을 갈았고, 수확한 농작물을 운반하는 등 제주농업의 역사와 맥을 함께해온 중요한 존재였다. 농한기인 여름에는 소들을 중산간 들녘 초지에 방목하고, 가을이 들면 다시 소를 집으로 데려왔다. 소를 키우는 농가들은 농한기에는 농가들이 서로 번갈아 가며 중산간 지역에 위치한 초지를 찾아 방목을 했었다. 또한 겨울이 들기 전에 목초지대에서 겨울철 소의 양식인 촐을 베어 사료로 활용하였다. 이때 초지에는 진드기 등 각종 병해충, 초지 작물 이외의 잡풀 등이 남아 있어 이를 없애고 이듬해 봄에 좋은 새 촐이 돋아나도록 중산간 목초지인 들녘에 불을 놓기도 했었다. 또한 불에 탄 재는 새로 솟아나는 사료 작물들이 잘 자랄 수 있게 하는 천연 비료 역할을 했던 것이다. 이렇게 들불축제는 옛 제주 선인들의 목축문화인 들불 놓기에서 기원한다. 이러한 제주 목축산업의 목초지 불 지피기 전통이 현재 글로벌 축제로 자리매김하여 지금의 제주들불축제의 유래가 되는 것이다.
1997년 이래 20여년 동안 들불 축제를 치르면서 오름 불태우기는 세계적인 콘텐츠로 자리 잡고 있지만, 나머지 프로그램은 축제의 상품적 가치로 봤을 때 변하는 게 없다는 전문가들의 예리한 지적과 함께 ‘전통 문화를 연계하지 못하고 레이저쇼나 불꽃놀이 등 역사성과 전통 계승이 퇴색되고 있다’고 꼬집는 부분은 귀담아 들어야 한다는 생각이다.
제주들불축제가 지속적으로 국민적인 축제로 사랑받고 세계적인 축제로 정착하기 위해서는 예전의 우리 제주 목축문화를 계승하려는 노력들이 필요하다는 생각이다. 정월대보름을 중심으로 제주 들불축제와 유사한 축제가 전국적으로 개최되고 있다. 제주만의 차별화 전략이 필요하다는 이야기다. 제주들불축제가 세계적인 축제로의 발돋음을 위해서는 제주의 농업역사의 한 부분인 목축문화의 전통을 계승하여 제주만 창출해 낼 수 있는 특색 있는 농업문화 축제가 되어야 한다는 생각이다.


No 제목 이름 날짜
3946 선박 안전운항 준수해야  ×1 비밀글 고기봉 02-06
3945 우리집 작은 소방서 '주택용 소방시설'  ×1 아라119센터 소방교 오수홍 02-05
3944 {기고} 신구간 이사철 화재예방을 위한 안전 가이드  ×1 ×1 제주소방서 119구조대 김현진 02-04
3943 꾸준함이 전문가를 만든다!  ×1 아라동주민센터 산업팀장 차무관 01-31
3942 여성긴급전화1366 제주센터에 후원해주셨습니다 1366제주센터 01-31
3941 [기고]신속한 대피가 어려운 요양시설, 화재 예방이 생명  ×1 구좌119센터 소방사 오승근 01-30
3940 (사)제주YWCA, 제58차·제4차 정기총회 개최  ×1 (사)제주YWCA 01-21
3939 (사)제주YWCA, 창립 70주년 기념식 성황리에 마무리  ×1 (사)제주YWCA 01-21
3938 <플라스틱의 딜레마, 우리는 어떻게?>  ×1 제주개발공사 품질관리팀 이정헌 01-21
3937 즐거운 겨울철 산행을 위한 팁  ×1 제주소방서 119구조대 김현진 01-21
3936 전기자전거 구입 지원, 더 가까워진 녹색제주  ×1 오명수 01-20
3935 두 바퀴로 여는 제주의 푸른 미래  ×1 오명수 01-14
3934 [기고] 119구급대원 꿈을 위한 아라119센터 소방 실습을 마치며  ×1 제주한라대학교 응급구조과 한지원 01-10
3933 어른다운 어른이 되어야 한다 비밀글 김수현 01-09
3932 우리는 알게 모르게 유교(儒敎)적인 삶을 살고 있습니다.  ×1 제주특별자치도향교재단 01-07
3931 [기고] 효돈119센터에서의 실습을 마치며  ×1 박서현 01-07
3930 [기고] 불법현수막 없는 도시, 함께 만드는 깨끗한 미래  ×1 아라동 표세진주무관 01-07
3929 나의 꿈을 다시 한번 생각하게 된 이번 실습  ×1 현종민 01-07
3928 생명의 존귀함을 대하는 119 구급대원의 자세  ×1 ×1 고서현 01-06
3927 [기 고 ]전기자전거로 그리는 제주의 새로운 일상  ×1 오명수 01-06
3926 [기고] 구좌119센터 실습을 마치며  ×1 제주한라대학교 응급구조과 윤고은 01-03
3925 산분장: 자연과의 조화를 이루는 새로운 장례 문화 비밀글 전윤경(농협경주교육원 교수) 01-03
3924 가축위생방역지원본부 제주도본부,유진주간활동센터에 10년간 기부금 전달  ×1 김경민 12-27
3923 제주은행봉사단 보은의집 요양원 후원물품전달  ×1 박금희 12-24
3922 (사)제주YWCA중등청소년방과후아카데미, ‘연말맞이 기념 마카롱 꾸미기’ …  ×1 (사)제주YWCA중등청소년방과후아카데 12-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