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이크아웃 일회용 컵에 대한 단상
2017-10-13 14:06
|
||||
---|---|---|---|---|
일도1동 (Homepage : http://)
|
||||
최근 국내 커피시장이 급성장하여 10년 전 3조원 규모에서 지난 해 8조 8000억원에 육박하면서 세배 가까이 커지고 국민 1인당 한 해 커피 소비량은 무려 500잔이 넘는 것으로 집계되고 있다. 제주지역 역시 인구와 관광객이 급증하면서 고급커피 수요의 증가와 더불어 도민 및 이주민 상당수가 커피전문점 창업에 나서고 있다. 10월 현재 커피전문점이 2000여개소에 육박하고 있다고 한다. 커피 소비가 급증하면서 소비패턴도 달라지고 있다. 커피전문점 실내의 편안한 소파에서 오붓이 마시던 문화에서 테이크아웃 커피를 이용하여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하루에도 몇 잔씩 마시는 소비패턴이 자리 잡으면서 이제는 일회용 컵 쓰레기의 처리 문제로 골머리를 앓게 하고 있다. 유례없이 무더웠던 지난여름 편의점마다 얼음 컵에 담긴 테이크아웃형 커피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면서 시내 곳곳의 화단은 물론이고 거리 구석구석에서 마시고 버려진 일회용 컵이 여기저기 뒹굴고 있는 것을 흔하게 볼 수 있었다. 쓰레기를 투기하는 사람들의 심리는 익명성이라는 커튼 뒤에 숨어 자신의 투기행위를 타인이 모를 것이라고 믿고 저지르는 무의식적 행동에 지배받는 것이라고 한다. 최근 노벨경제학상을 받은 주인공은 ‘넛지 효과’라 하여 ‘부드러운 개입이 행동변화를 유도할 때 훨씬 효과적이다’라는 이론을 주장한 행동경제학 분야의 전문가이다. 해법이 모호한 어려운 문제에 닥쳤을 때 직접적인 강요보다는 우회적인 방법이 오히려 변화를 도모하는 데 효과가 있음을 여러 가지 사례로 확인할 수 있다. 쓰레기 투기 문제는 지속적으로 계도와 홍보가 진행 중이나 의식의 변화를 끌어내기란 쉬운 일이 아니다. 익명성이 문제라면 다소 엉뚱하더라도 행동변화를 위한 다른 방안도 고려해볼 만하다. 테이크아웃 일회용 컵 대신 커피를 구매할 때 구매자의 이름을 용기 표면에 써서 판매해보는 실험적인 캠페인을 해보면 어떨까? 익명성이라는 커튼이 걷히고 책임감이 드러나게 되어 조금 귀찮더라도 재활용 쓰레기통을 찾는 행동으로 변화되지는 않을까? |
|
시민신고로 제주 현직 경찰관 음주운전 적발
제64회 탐라문화제 개막… 전통·현대 품은 닷새간 축제 시작
제주도 '도민 행복 일자리박람회' 소리만 요란했나
국민연금 받는다는 이유로 기초연금 깎인 제주 노인 6000명
오영훈 지사·김한규 의원 "극우정치 본색 국민의힘" 규탄
제주 구좌·한경·성산·안덕 절반 이상은 '1인가구'
“욕설·성희롱은 일상”… 카지노 노동자 인권침해 ‘심각…
제주 부동산 위법 의심거래 급증.. 지난해 210건
제주지방 모레부터 최고 40㎜ 가을 재촉하는 비
'캄보디아 감금' 제주 20대 3500만원 코인 주고 풀려났다
[한라일보 저녁잇슈] 2025년 10월 14일 제주뉴스
제주시 홈치해결상담실 민원 접수 급증
제주 해변서 신종마약 ‘케타민’ 발견… 66만명…
제주 아파트 입주전망 주춤... 입주율 다시 꺾여
15분 도시 제주-공공건축가에게 듣는다 (2)전농로…
제주 도심 학교·병원·주택가·상가 주변 소음 …
제주, 지방소멸대응기금 집행률 0%... 도 "시기상 …
이상봉 의장 "건국전쟁2 관람 장동혁 대표 유감"
오영훈 제주지사 신규항로 취항식 참석차 칭다…
“긴소매옷 언제쯤”… 10월 제주 늦더위 당분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