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목e뉴스] 평년기온 회복한 제주지방 다음주 다시 '가을추위'

[한라일보] 찬 대륙고기압 영향으로 제주지방에 다시 추위가 찾아올 것으로 보인다. 31일 제주지방기상청에 따르면 제주지방은 이날부터 1일까지 제주도 남쪽 해상을 지나는 기압골 영향을 남·동…

[포토] 익어가는 제주 가을

[한라일보] 30일 제주시 오라동 도로변에서 환경미화원이 낙엽을 쓸고 있다. 강희만기자 ■기사제보▷카카오톡 : '한라일보' 또는 '한라일보 뉴스'를 검색해 채널 추가▷전화 : 064-750-2200 ▷문자 :…

[포토] 취나물 수확 바쁜 제주 농촌

[한라일보] 30일 제주시 애월읍 농경지에서 농민들이 취나물 수확 작업을 하고 있다. 강희만기자 ■기사제보▷카카오톡 : '한라일보' 또는 '한라일보 뉴스'를 검색해 채널 추가▷전화 : 064-750-2200 …

[책세상] [책세상] 다시 펼치는 제주어에 담긴 삶의 온기…현택훈 '제주어 마음사전2'

[한라일보] "사라져 가는 언어는 곧 사라져 가는 삶의 기억이다." 언어는 단순한 표현 수단이 아니라 곧 '살아 있는 제주'라는 사실을 증언하는 에세이가 출간됐다. 저자는 지난 2019년에 출간된 '제…

[책세상] [이 책] 물길에 깃든 제주인의 애환과 희망

[한라일보] "가장 괴로운 것은 조밥이고, 가장 두려운 것은 뱀이며, 가장 슬픈 것은 파도소리다." 1628년부터 1635년까지 만 7년간의 제주 유배 생활을 한 선조 손자 이건은 '제주풍토기'에서 이렇게 …

[책세상] [새로나온책] 찰나의 기억, 냄새 外

[한라일보] ▶찰나의 기억, 냄새(김성연 지음)=근대 문학 속 후각 언어를 탐구한 인문 교양서다. 저자는 7년에 걸쳐 근대 문학과 신문 광고 등에서 사라진 냄새와 낯선 향의 흔적을 찾아내며, 후각이…

[제주건강보고서] [제주, 제주인의 건강보고서 Ⅷ 건강다이어리] (156)소아 편도·아데노이드 비대

코막힘·코골이·구호흡 유발‘아데노이드형 얼굴’로 변화단순 방사선 검사 진단 가능통증·회복시간 줄인 PITA술 [한라일보] 편도는 세균이나 바이러스 같은 외부 항원을 인식해 면역 반응을 …

[제주마을 탐방] [양기훈의 제주마을 백리백경.. 가름 따라, 풍광 따라] (99)대륜동 호근마을

[한라일보] 숲의 위대한 가치를 입증해 주는 마을이다. 울창한 숲은 도시화된 생활 속에 지친 심신을 위로하는 공간이 됐다. 인간은 자연의 품속에서 맑아지는 무언가를 느낀다. '서귀포시 치유의 …

[기획] [제주 농업 안전망 만든다-수급 관리 성과와 과제] (3)통합 마케팅 전략

농업인·도시민 '기상 이변 따른 농산물 수급 불안정' 관심온라인 거래 등 농가 수취 가격 상승·유통 비용 절감 효과복잡한 유통 과정 줄인 권역별 물류센터 농가·소비자 도움 [한라일보] 한국…

[책세상] [책세상] 무상과 순환으로 묻는 인간 존재 근원… 강연익 '노을을 붙잡고'

[한라일보] 거친 바다를 누비던 외항선 선장 출신으로 제주관광대학 시 수필 창작과정을 수료하고 2007년 월간 '시사문단' 시로 등단한 작가가 출간한 세 번째 시집이다. 이번 시집은 무상과 충만, …

[책세상] [책세상] 일흔의 창 너머로 본 삶의 윤슬… 정영자 '틈새에서 문득'

[한라일보] 2012년 '수필과 비평' 신인상을 통해 작품 활동을 시작한 서귀포 출신 작가의 세 번째 에세이집이다. '일흔에 만나는 52개의 창'이라는 부제처럼, 이 책은 작가가 일흔둘의 세월을 돌아보…

[정치/행정] 관세협상 마무리... 이 대통령, 제주 언제 오나

[한라일보] 이재명 대통령의 제주 타운홀 미팅 개최 시점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제주 타운홀 미팅은 줄곧 가능성이 거론돼 왔지만 아직 구체적 계획이 드러나지 않고 있다. 호남, 영남, 강원, 충…

[정치/행정] 한미정상회담 오찬서 주목받은 감귤디저트

[한라일보] 29일 한미 정상회담 오찬 메뉴의 마지막을 장식한 감귤 디저트에 미국 정부 인사들이 뜨거운 반응을 보인 것으로 전해졌다. 강훈식 대통령 비서실장은 이날 저녁 엑스(X·옛 트위터)에 …

[사설] [사설] 칭다오행 화물 없어 사실상 빈 배 ‘대략난감’

[한라일보] 제주에서 중국 칭다오로 보내는 국제 컨테이너선의 수출 물량이 고작 컨테이너 1개뿐이었다. 제주도에 따르면 이달 27일 칭다오를 출발한 712TEU(컨테이너)급 SMC 르자오호에 식재 화분, 어…

[사설] [사설] 내년 역대급 지방채 발행… 세수 확보 비상

[한라일보] 제주도가 내년에 역대 최대 규모의 지방채를 발행하기로 했다. 침체된 지역경제 활성화가 명분이지만 재정난 가중으로 도정 살림살이에 적잖은 부담이 될 전망이다. 제주도의회 행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