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제주 낙뢰 동반한 호우로 정전·침수 피해 이어져

[한라일보] 밤 사이 제주에 쏟아진 비와 낙뢰로 도 전역에서 피해가 이어졌다. 12일 한국전력 제주본부와 제주소방안전본부에 따르면 이날 오전 1시 33분부터 제주시 일도2동·건입동·도련1동·화…

[교육] 제주 학교 조리종사자 결원율 절반 가까이 감소

[한라일보] 올해 제주지역 학교 조리종사자의 결원율이 전년 대비 절반 가까이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12일 제주특별자치도교육청에 따르면 도내 조리사·조리실무사 등 조리종사자의 올해(9월 1…

[주목e뉴스] 제주지방 새벽 200㎜ 폭우... 69일 열대야 사라졌다

[한라일보] 제주지방에 밤사이 200㎜ 안팎의 폭우가 쏟아지며 60일 넘게 이어졌던 열대야가 사라졌다. 12일 제주지방기상청에 따르면 제주지방은 14일까지 서쪽에서 다가오는 저기압의 영향을 받아 …

[정치/행정] 이재명 대통령 "지방에 새로운 도시 권역 조성 구상 중"

[한라일보] 이재명 대통령은 11일 "지방에 대규모 도시, 대규모 산업단지를 만들고 정주여건을 대대적으로 지원해 새로운 도시 권역을 만들까 고민 중"이라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이날 취임 100일…

[사회] 제주 밀입국 중국인 1명 추가 검거...남은 1명 추적 중

[한라일보] 제주에 밀입국한 중국인 여성 1명이 해경에 붙잡혔다. 12일 제주지방해양경찰청에 따르면 전날 오후 5시 50분쯤 제주시 용담의 한 공원 주차장에서 40대 중국인 여성 A씨가 검거됐다. A…

[오피니언] [김승균의 현장시선] '든든하다는 것'의 의미

[한라일보] '사실 난 연금보험료를 꼬박꼬박 내는 것이 부담스러웠다. 하지만 "일할 수 있을 때 국민연금 보험료는 조금이라도 내야지"라고 했던 우리 남편이었다. 비교적 건강하게 가게를 운영하…

[오피니언] [열린마당] 돌봄 공백, 주택용 소방시설로 안전 지켜야

[한라일보] 지난 7월에 부산의 한 노후 공동주택에서 발생한 화재로 어린이 2명이 목숨을 잃는 비극이 발생했다. 이 사건이 일어나기 몇 주 전에도 비슷한 방식으로 참사가 일어났었다. 이 안타까…

[포토] 새별오름엔 가을이…

[한라일보] 11일 제주시 애월읍 새별오름에 억새꽃이 피어나 가을이 오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강희만기자 ■기사제보▷카카오톡 : '한라일보' 또는 '한라일보 뉴스'를 검색해 채널 추가▷전화…

[포토] 인도 뒤덮은 잡초

[한라일보] 11일 제주도내 자전거도로를 비롯한 인도에 각종 잡초가 무성하게 자라 당국의 손길이 필요한 실정이다. 사진은 서귀포시 대정읍 해안도로 자전거도로. 강희만기자 ■기사제보▷…

[포토] 물놀이 끝물

[한라일보] 11일 제주시 한경면 판포리 포구를 찾은 관광객들이 막바지 물놀이를 즐기고 있다. 강희만기자 ■기사제보▷카카오톡 : '한라일보' 또는 '한라일보 뉴스'를 검색해 채널 추가▷전화 : …

[제주마을 탐방] [양기훈의 제주마을 백리백경.. 가름 따라, 풍광 따라] (96)성산읍 신산리

[한라일보] 마을 대로변에 펄럭이는 제2공항 반대 깃발들이 먼저 이 마을이 10년째 마주하고 있는 현실을 보여주고 있다. 격앙된 감정들이 함축적으로 들어 있는 저 깃발의 의미를 생각하면 가슴이 …

[책세상] [이 책] 패배·어리석음으로 깨달은 삶의 가치들

[한라일보] "지난번 '슬픔이 택배로 왔다' 출간 이후 더이상 시를 못 쓰게 될 줄 알았다. 50여년 동안이나 시를 써내 시의 샘이 말라버렸다고 여겼다. 누가 그 샘을 파묵어버린 게 아니라 아예 수원지…

[책세상] [책세상] 전쟁·독재 속 한국 만화의 역사

[한라일보] 만화비평가이자 창작자인 서찬휘씨가 1945년 해방기부터 현재까지 80년의 한국 만화 역사를 정리했다. 그가 펴낸 '한국 만화 트리비아'에는 전쟁·독재·계엄과 같은 특수한 상황에서 한…

[책세상] [새로 나온 책] 당신의 퇴근은 언제입니까 外

[한라일보] ▶당신의 퇴근은 언제입니까(6411의 목소리 지음)=평소 무심하게 지나친, 혹은 알지만 모른척 한 이야기를 담았다. 책은 독자들에게 어떤 자리에서 어떤 시간을 살고 있는지를 묻고, 다른…

[사설] [사설] 읍면동 허술한 위민행정, 누구의 책임인가

[한라일보] 제주 일부 읍면에서 아동급식 지원 대상자 관리가 소홀한 것으로 드러났다. 타인에 대한 수급권 침해 예방을 위해 실시해야 하는 기초생활수급자의 급여 관리 능력 평가를 누락한 사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