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라일보] 제주 서귀포시 성산읍의 신양 해안사구와 신양리층이 천연기념물로 지정돼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제주자연의벗은 27일 성명을 내고 “제주도는 신양 해안사구와 신양리층의 천연기념물 지정을 추진하라”고 촉구했다.
앞서 지난 25일 신양 해안사구와 신양리층(이하 신양사구 등)은 한국내셔널트러스트의 ‘제23회 이곳만은 지키자’ 시상식에서 기후에너지환경부장관상을 수상했다.
신양리층은 약 5000년 전에 폭발한 성산일출봉의 화산쇄설물이 연안류에 의해 이동해 쌓인 화산성 해안 퇴적층이다. 우리나라에서 가장 최근에 만들어진 퇴적층으로 알려졌다.
신양 해안사구는 신양리층의 부서진 모래가 오랜 세월 바람에 날려 쌓인 모래 언덕이다. 길이 3㎞, 높이 20m의 오름 능선과 같은 장관을 자랑한다.
제주자연의벗은 “천연기념물로 지정되기 위해서는 ‘지질구조운동, 화산활동, 풍화·침식·퇴적작용 등에 의해 형성된 지형’, ‘한국의 특이한 지형현상을 대표할 수 있는 육상 및 해양 지형현상’ 등이 필요하다”며 “신양사구 등은 이 조건을 충족하고도 남는다”고 강조했다.
이어 “제주도 당국은 신양사구 등의 훼손을 막고 보전하기 위해 국가유산청에 천연기념물 지정 신청을 추진하라”며 “이에 앞서 제주도지사가 직접 시·도 자연유산을 지정하길 바란다”고 요구했다.
■기사제보▷카카오톡 : '한라일보' 또는 '한라일보 뉴스'를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 064-750-2200 ▷문자 : 010-3337-2531 ▷이메일 : hl@ihalla.com
▶한라일보 유튜브 구독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