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라일보] 10만t 이상의 대형 크루즈가 서귀포시 강정항을 자주 찾으면서 이들이 지역에서 소비할 수 있도록 보다 촘촘한 대책을 세워야 한다는 지적이 제주도의회 행정사무감사에서 나왔다. 제주에 한해 시행하던 중국인 관광객의 무비자 입국 제도가 9월부터 내년 6월까지 전국으로 확대되면서 제주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을까 하는 우려에서다. 또 올해 서귀포시가 실시한 갑질행위 근절 실태조사에서 6~8급 공무원의 응답률이 절반을 넘으면서 구체적인 관련 교육이 필요하다는 주문도 나왔다.
제주도의회 행정자치위원회가 24일 서귀포시를 상대로 진행한 행정사무감사에서 송창권 의원(더불어민주당, 외도동·이호동·도두동)은 "10만t 이상 크루즈를 포함해 제주를 찾는 크루즈의 70% 정도가 강정항으로 입항해 다행스럽긴 하지만 불편한 교통편에서부터 혐중 발언이나 현수막 등 여러가지 문제를 꼼꼼히 챙겨야 한다"고 지적했다.
송 의원은 "제주항으로 입항하는 크루즈는 걸어나가면 중앙지하상가 등 여건이 좋은데, 강정항은 차를 타고 이동해야 해 5000명이 찾으면 절반은 제주시로 향한다니 종합적으로 대처하지 않으면 안된다"고 우려했다.
또 "강정항에서 출발하는 준모항 크루즈를 타고 일본 후쿠오카에 내렸는데 환영인사를 하더라. 제주 크루즈 관광객이 1인당 평균 22만원 정도를 쓴다고 하니 서귀포시가 기회를 잘 살려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오순문 서귀포시장은 "크루즈TF를 꾸리고 강정항 경유 버스노선 신설과 크루즈 페스타 진행에 이어 승무원 대상 도보투어도 시작한다"고 답변했다.
김경미 의원(더불어민주당, 삼양동·봉개동)은 시가 지난 4~5월 실시한 갑질행위 근절 실태조사 결과를 무겁게 받아들여야 한다고 지적했다.
김 의원은 "조사 응답 분포를 보니 6~8급이 60.7%, 공무직이 23.3%로 높다"며 "직·간접으로 갑질을 경험했다는 비율이 46.4%로 직접 18.5%, 간접 27.9%"라고 밝혔다. 이어 김 의원은 "갑질의 원인은 업무 지시 시 비인격적 언행, 책임 회피와 업무 전가, 불필요·과도한 자료제출 요구 순으로 나왔고, 갑질 경험 시 묵인 이유는 관계가 어색해질까봐 36.0%, 2차 피해가 우려돼서 22.4%, 피해 구제를 기대하기 어려워서가 21.0%인 점을 보면 조직문화가 경직됐다는 걸 방증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김 의원은 "익명성 보장이 어려운 실태조사 결과를 무겁게 받아들이고, 교육 참여율이 5~6%밖에 안되는데 교육 내용도 구체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기사제보▷카카오톡 : '한라일보' 또는 '한라일보 뉴스'를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 064-750-2200 ▷문자 : 010-3337-2531 ▷이메일 : hl@ihalla.com
▶한라일보 유튜브 구독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