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5일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제주4·3세계기록유산 등재 의미와 향후 과제' 토론회 모습.
[한라일보] 제주4·3 기록물의 세계기록유산 등재는 제주4·3이 단지 지역사회의 문제가 아니라 인류 보편의 문제로 인정된 것으로 왜곡·부정될 수 없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15일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제주4·3세계기록유산 등재 의미와 향후 과제 토론회'에서 허상수 진실·화해를위한과거사정리위원회 위원은 제주4·3의 세계기록유산 등재 의미를 이같이 설명했다.
허 위원은 '제주4·3 세계기록유산 등재의 역사적 의미와 세계적 가치'라는 제목의 주제발표에서 "제주4·3은 세계기록유산 등재로 더이상 정쟁의 대상이 되거나 왜곡·부정되어서는 안된다"며 "제주4·3은 단지 지역사회의 문제가 아니라 인류 보편의 문제임이 인정됐다"고 강조했다.
허 위원은 또한 "제주4·3 관련 기록 보존과 공개는 피해자와 유족, 지역사회가 상처를 직면하고, 치유해 나가는 과정"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사회적으로도 '침묵의 강요'의 시기를 지나 '세계의 기억'으로 자리잡았다는 점에서 상징적 변화를 갖는다"고 설명했다.
허 위원은 "제주4·3은 정부 차원의 공식 진상조사, 대통령 사과, 피해 보상 등이 이뤄졌지만 사회적 거리감과 분열도 존재했다"며 "유네스코 등재는 한국의 역사 인식 변화가 국제적인 차원에서 인정 받은 것"이라고도 의미를 부여했다.
허 위원은 세계기록유산 등재 이후의 과제로는 "왜곡, 부정, 무지 등에 대한 지속적인 교육과 기록 관리"를 주문했다. 그는 "세계기록유산 등재가 모든 갈등과 상처를 해결해주는 것은 아니"라며 "누구나 쉽게 볼 수 있도록 접근성 확보와 함께 객관성, 학술적 엄밀성을 유지하는 기록 관리가 중요하다"고 제언했다.
반영관 제주4·3평화재단 조사연구팀장은 '제주4·3세계기록유산 등재 이후 과제'에 대한 발표에서 4·3기록물의 체계적 보존·관리를 위해 ▷제주4·3기록관 ▷아카이브 고도화 ▷전문인력 확보를 제시했고, 국외 소장 기록물 발굴·수집, 다양한 주체의 구술 기록 확장, 후속연구 활성화 등의 필요성도 언급했다.
이날 제주출신 국회의원들은 국회에 계류 중인 4·3 관련 법 개정안 처리에 총력을 기울일 것을 다짐했다. 조국혁신당 정춘생 의원은 "4·3에 대한 여전한 폄훼 시도가 있다"며 "법적 처벌을 위한 4·3 특별법 개정안을 반드시 처리하겠다"고 약속했다.
한편 제주4·3기록물은 그 세계사적 중요성을 인정받아 올해 4월 프랑스에서 열린 제221차 유네스코 집행이사회에서 최종 등재 결정됐다.
국가유산청은 "제주4·3기록물은 세계적 냉전이 전 지구적으로 확산, 지역적으로 압축되는 양상을 하나의 사건을 통해 집약적으로 보여주는 냉전시대의 희귀한 기록물"이라며"전 세계 과거사 해결의 방향성을 제시하고 인권의 중요성을 알려주는 의미 있는 기록"이라고 소개하고 있다.
■기사제보▷카카오톡 : '한라일보' 또는 '한라일보 뉴스'를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 064-750-2200 ▷문자 : 010-3337-2531 ▷이메일 : hl@ihalla.com
▶한라일보 유튜브 구독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