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라일보] 제주도 서귀포시 서호동·법환동 일원 '서귀포혁신도시'가 낙제점을 받았다. 민간 연구기관인 혁신도시정책연구원(이하 연구원)에서 처음으로 발표한 '혁신도시 상생지수 평가 결과'다. 전국 10개 혁신도시를 대상으로 한 이번 평가에서 서귀포혁신도시는 최하위인 E 등급이 매겨졌다.
24일 연구원에 따르면 혁신도시 상생지수는 ▷성장(200점)=경제 성장, 산업 성장, 인구 성장, 미래 혁신 ▷활력(300점)=주거 교통, 교육 여건, 의료 복지, 문화 창의, 환경 친화 ▷협력(500점)=인재 협력, 사회 협력, 혁신 협력 등 세 지표를 합산한 1000점 만점을 기준으로 했다. 그 결과 10개 혁신도시 중 최상위권인 S·A 등급은 전무했다. 광주·전남공동 혁신도시를 품은 나주시가 유일하게 B 등급에 올랐고 나머지는 C 등급 3곳(김천, 대구, 진천·음성), D 등급 5곳(부산, 울산, 원주, 전주, 진주), E 등급 1곳(서귀포)으로 각각 평가됐다.
서귀포혁신도시는 1000점 만점 중 382.10점에 그쳤는데 지표별로는 성장 C 등급, 활력 D 등급, 협력 E 등급이었다. 서귀포혁신도시 이전 기관(2012~2018년)은 모두 8곳이다. 당초 9곳이었으나 재외동포재단(재외동포청 승격)이 2023년 수도권으로 다시 떠나면서 그 수가 줄었다.
연구원은 이 같은 전국 혁신도시 평가 결과에 대해 "현재의 혁신도시는 이름만 혁신도시일 뿐, 상생 없이 고립된 섬으로 남아 있다"고 진단하며 근본적인 제도 보완과 정책 혁신이 시급하다고 했다. 다만 연구원 측은 이번에 평가 지표와 등급, 총점만 밝히고 세부적인 내용에 대해선 "지역별로 민감하게 반응할 수 있다"며 공개하지 않았다.
연구원에서는 "이재명 정부가 제대로 된 공공기관 2차 이전으로 균형 발전의 숨통을 되살려야 한다"며 상생지수 평가 결과에 따른 정책 과제를 제시했다. 이들은 "이전 기관장 임명 시 지역 상생 발전 계획을 핵심 평가 기준으로 삼고 임기 동안의 성과를 철저히 검증해야 할 것"이라며 "정부 차원에서 각 혁신도시의 상생 수준을 정기적으로 조사·발표해 잘하는 도시는 파격적으로 보상하고 소극적인 도시는 강력히 질책하는 선순환 구조를 만들어야 한다"고 덧붙였다.
■기사제보▷카카오톡 : '한라일보' 또는 '한라일보 뉴스'를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 064-750-2200 ▷문자 : 010-3337-2531 ▷이메일 : hl@ihalla.com
▶한라일보 유튜브 구독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