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이 살아야 나라가 산다
2023-02-16 14:20
|
|||
---|---|---|---|
강평구 (Homepage : http://)
|
|||
한편 농촌의 상황은 더욱 심각하다. 농촌에서 도시로의 인구유입이 가속화되고 있다. 정치, 행정, 교육, 일자리 등의 인프라가 서울 등 수도권에 몰려 있기 때문에 지금도 인구는 수도권으로 몰리고 있으며 젊은 사람일수록 지방을 떠나려고 한다. 젊은 사람들이 도시로 떠날수록 농어촌의 출산율 저하로 이어져 고령화까지 가속화 될 것이며 지방 소멸을 더욱 부추기게 될 것이다. 지방이 소멸된다면 지방에서 생산해서 공급해야할 원재료들은 모두 수입에 의존해야 하여 경제적 위기는 물론, 수도권 집중화도 보다 가속화되어 수도권 집값의 상승 등으로 인한 빈부 격차와 국토이용효율의 저하 등 다양한 사회, 경제적 문제 또한 심각해질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우리나라 국가 경쟁력 또한 악영향을 미칠 것이다. 지방이 살아야 대한민국도 살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대한 해법을 이미 시행착오를 거쳐 안착한 일본의 고향세를 바탕으로 시행하고 있는 고향사랑기부제의 효과적인 운영으로 찾아볼 수 있을 것이다. 2008년 지방세법 개정을 통해 일본은 고향납세제를 제도화하였으며 본인의 거주지를 포함하여 원하는 지역에 2천 엔 이상을 기부하면 소득세와 주민세 공제를 받을 수 있고 기부한 지자체에서 제공하는 답례품을 받을 수 있다. 기부금은 지자체들의 교육, 문화, 마을 조성 등 여러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으며 고향 살리기에 큰 힘이 되고 있다. 우리나라도 올해 1월부터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통한 고향사랑 기부제를 운영하고 있다. 온라인에서는 고향사랑e음 사이트를 통해 기부자가 선택한 방법으로 어디서든지 쉽게 기부를 할 수 있게 되어있다. 오프라인에서는 가까운 NH농협은행을 방문하면 된다. 개인이 주소지 이외의 지방자치단체에 1인당 연간 500만 원 이하 일정금액을 기부하면 10만원까지는 전액세액공제가 가능하고 초과분은 16.5%까지 가능하다. 기부금의 30%에 해당하는 기부 포인트와 답례품까지 제공 받는다. 기부금은 해당 지자체에서 기금사업으로 사용하게 된다. 고향사랑 기부제를 통해 지역경제 활성화, 일자리 창출, 지역 간의 격차 해소 등 다양한 산업에 긍정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그리운 우리의 고향이 지금 어려움에 처해있다. 누구나 손쉽게 실천할 수 있는 고향사랑 기부제를 통해 지방의 소멸과 고령화를 극복하는데 많은 도움이 되기를 기원한다. |
|
제주지방해양경찰청장에 한상철 경무관 취임
'혜성'처럼 나타난 구조대 정체는?… 3분 만에 익…
"지방외교 시대 앞장"… '제주선언'으로 막 내린 …
[한라일보 저녁잇슈] 2023년 6월 2일 제주뉴스
한마음병원 만성폐쇄성폐질환 적정성평가 1등급
제주 찾은 류호정 "월정리 하수처리 공사 중단하…
"음악 소리 시끄러워"… 흉기 난동 30대 검거
[제주포럼] "제주, 로켓 발사 최적지… 지리적 이…
[제주포럼] 오영훈 "글로벌 복합위기, '지방외교'…
제주 기업·대학 이을 '산학협력관' 문 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