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횡단보도, 안전하십니까?
2022-03-16 23:07
김승화 (Homepage : http://)

원본 이미지 보기
제주시 이도동에서 태어나 벌써 2n년, 어릴때만해도 거실 창문으로 바깥을 보면 산이 보였고 동네에서 뛰놀던 아이들이 있었다. 하물며 밖에 나가는 일이 있을땐 교통체증따윈 생각할 필요도 없었다.
헌데 점차 성장하며 보니 도내 전역은 공사붐에 외국인자본이 급증하며 非 도민의 유입이 날로 커졋고 인구증가 등으로 교통량은 대폭 늘어났다. 이미 인구 대비 자동차 소유수는 전국최고로 경신했다.
이런 환경에서 필자는 오히려 명암이 존재한다고 생각했다. 환경오염,범죄증가,교통적체 등의 어두움과 볼거리,놀거리가 증가하고 우리가 몰랐던 제주의 숨겨진곳을 찾을 수 있는 등의 좋은 면이 공존한다는것이 그것이다.
그러나 근 몇년간 살짝 짜증나는 상황이 펼쳐지곤 하는데 교차로 내 신호등의 부재이다. 길을 걷는 중에 횡당보도도 있고 차들도 쌩쌩 달리는데 자동차,보행자 신호등이 없다면 급한 상황에 당신이라면 어떻게 할것인가? 한시가 급한데 일일이 오는 차들 지나가라고 대기만 한다면 잠깐의 시간도 낭비하는 셈이다.
예시로 도남오거리는 많은 차와 사람이 이용하는 곳이지만 신호등 자체가 없어 주의를 살펴도 항상 사고의 위험이 크다. 다른일례로는 도남초등학교 정문앞인데 방범용 cctv와 보호구역 표시, 횡단보도 표시가 설정 되어있으나 이 역시도 신호등이 없다. 더군다나 몸이 약한 초등학생은 사고발생시 성인보다 더 위험하며 갑자기 튀어나올수도 있는 경우의 수가 높다.
필자도 도내 여러곳을 돌아다녀 봤지만 신호등, 횡단보도 조차 없는데가 많다. 그렇다고 따지려면 누구한테 따져야 하는지도 모르는채 신호등 설치만 바란다면 그건 안하느니만 못하다.
관련 법령을 살펴본 바 삼색등기준 : 하루 중 8시간 동안 교통량이 가장 빈번한 주도로의 자동차 통행량이 시간당 600대 이상이고,부도로에서의 자동차 진입량이 200대이상인 교차로에 설치한다.
보행자신호등 기준 : 신호기가 설치된교차로의 횡단보도로서 1日중 통행량이 가장 많은 1시간 동안의 보행자가 150명이 넘는곳에 설치한다고 적혀있다.
여기서 짚을 만한 문장은 통행량이 600대이상, 진입량이 200대이상이 번화가나 시내 혹은 서울 같은 대도시에서나 쓸수 있는 수치로 밖엔 생각이 안든다. 교차로에서 신호등이 없는 상태서 사고가 난다면 차량 통행량과 진입량이 무슨 소용인가? 하물며 요즘 제주시내에선 난폭운전을 많이 보는데 감당이 되겠는가? 근데 이런 법령만 있는게 아니다.
부칙에서 차량신호만으로 언제 보행자에게 통행권이 있는지 불분명할때 설치한다. 그리고 차도 폭이 16m이상인 교차로나 횡단보도에서 차량신호가 변하더라도 보행자가 차도내에 남을때가 많을 경우에 설치하며 또한 어린이 보호구역 등의 출입문과 가까운 거리에 위치한 횡단보도에 설치한다고 적혀있다. 이 말은 규정은 확실히 하되 어쩔 수 없는 경우에 부득이하게 설치하라고 볼 수 있다. 허나 이 부록을 근거로 신호등설치를 건의하면 검토해줄지는 아이러니한것이 문제다. 마지막으로 한마디하자면 생활하는데 있어 불편이 있을 수 있다. 그러나 앞뒤 안가리고 비판하거나 현지 상황 고려 안하고 탁상행정이 되면 좀처럼 나아질수 없는 사회가 된다. 앞으로는 소통과 이해, 늦더라도 확실하게 하자는 마인드가 국민들한테 각인되어야 할것이다.

No 제목 이름 날짜
3723 생물다양성, 우리가 보존해야할 가치  ×1 ×1 김수연 05-20
3722 [기고] 따뜻한 봄철, 부주의로 인한 화재예방 당부  ×1 ×1 서귀포소방서 효돈119센터 임준영 05-15
3721 [기고] 막힘없는 빗물받이 만들기  ×1 장명서 05-14
3720 서귀포시청소년수련관 방과후아카데미 수료식 및 개강식 개최  ×1 양정은 05-14
3719 월 100만원의 학원비가 의미 없는 이유  ×1 강규선 05-13
3718 지속 가능한 교통 시스템의 구축  ×1 송시현 05-12
3717 기고) 봄철, 온 가족이 화재 예방으로 안전을 지키자  ×1 김민수 05-12
3716 기고) 찾아가는 현장 세무상담실 세금고민 도와준다.  ×1 고종필 05-09
3715 [기고문] 지하공간 침수를 사전대비가 필수입니다.  ×1 장명서 05-02
3714 초고령화 사회, 심신(心身)의 안전은 의용소방대가 지킨다  ×1 ×1 대신여성의용소방대장 윤미정 05-01
3713 차량용 소화기 비치 선택이 아닌 필수!  ×1 ×1 서귀포소방서 효돈119센터 정민혁 04-30
3712 [기고문] 여름철 자연재난(태풍·호우) 사전대비, 다 함께 나서자.  ×1 도 자연재난과장 현민철 04-30
3711 제주자연문화재돌봄센터, ‘위험성평가 컨설팅 2차 교육’ 참석  ×1 제주자연문화재돌봄센터 04-29
3710 클린하우스의 보완안, 재활용도움센터  ×1 비밀글 김우일 04-28
3709 국제로타리3662지구 팔구동기회장단, 사랑의 후원물품 및 기부금 전달  ×1 애서원 04-26
3708 제주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 ‘스마트폰 과의존 예방퀴즈’온라인 캠페인  ×1 제주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 04-25
3707 삼다신협, 제주가정위탁지원센터에 후원금 기탁  ×1 ×1 제주가정위탁지원센터 04-25
3706 이제는 쓰레기 무단투기 멈춰!  ×1 고기봉 04-23
3705 도민감사관 분임활동을 마치며  ×1 ×1 도민감사관 김용균 04-21
3704 제이피엠 자원봉사동호회, 베두리오름 삼무공원일대 정화 봉사활동으로 아…  ×1 (주)제이피엠 04-19
3703 제주도 AI 아나운서 '제이나'를 아시나요?  ×1 김예진 04-19
3702 ‘청년이어드림지원’ 참여로 ‘희망’을 꿈꾸다.  ×1 김신관 04-19
3701 (사)제주YWCA중등청소년방과후아카데미, ‘2024 청소년 안전교육’ 진행  ×1 (사)제주YWCA중등청소년방과후아카데 04-18
3700 소화전 인근 불법 주·정차 이제 그만 !  ×1 문동식 04-18
3699 서귀포시청소년수련관 청소년방과후아카데미 중국에 선진지 견학을 다녀…  ×1 양정은 04-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