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농업인의 날, 빼빼로데이와 상생해야
2021-11-08 13:22
|
||||
---|---|---|---|---|
농협경주환경농업교육원 김종우 교수 (Homepage : http://)
|
||||
1990년대에는 농업의 관심이 상당히 높았던 때이다. 1991년 우루과이라운드 농업협상에서 쌀 수입개방이 논의되자 우리는 ‘쌀 수입개방 반대 범국민 서명운동’에 동참하여 1,307만 명이 서명하였고 ‘최단 시일 내 최다 서명’ 세계 신기록으로 기네스북에 등재되었으며 국민의 관심과 지지로 1994년 협상에서 쌀 전면 개방이 2004년까지 미뤄지게 되는 성과가 있었다. 이후 쌀 자급률은 2010년까지 100%를 상회할 수 있었다. 그런데 우리나라 식량자급률은 1980년대 70%를 유지했으나 농산물시장이 개방된 후 2000년에 55.6%, 2019년 45.8%로 지속 하락 중이며, 곡물 자급률은 1980년 56%, 2000년 29.7%, 2019년 21%로 더욱 심각한 상황이다. 쌀을 제외한 다른 국산 농산물에 관해서는 관심도 없고 소비 또한 급격히 줄어들었으며 외국산 농산물이 우리 식탁을 점령하고 있다. 선진국 중 농업이 강하지 않은 나라가 없다. 그 이유는 농업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국가 차원에서 강한 농업을 육성하고 발전시켰기 때문이다. 2021년 이코노미스트 인텔리전스 유닛이 발표한 식량안보지수에서 1위는 100점 만점 중 84점인 아일랜드이고 호주와, 영국, 핀란드, 스위스, 네덜란드, 캐나다, 일본, 프랑스, 미국이 10위권에 올라있다. 이에 반해 올해 7월 UN에서 선진국으로 지위가 변경된 우리나라는 32위, 71.6점으로 OECD 국가 중 최하위권에 머물러 있다. 농업 분야에서는 아직 개발도상국에서 벗어나지 못한 것이다. 식량 주권이 확보되지 않은 상황에서 우리의 식량안보를 책임지는 농업인을 등한시하는 것은 농촌뿐 아니라 국가 경제 전체를 포기하는 것과 마찬가지다. 갈수록 경제 전체에서 우리 농업이 차지하는 위상이 축소되고 있지만 식량안보, 환경보전, 사회·문화적 기능 등 다원적 측면에서 농업의 가치를 잊지 말아야 할 것이다. 매년 찾아오는 11월 11일이 빼빼로데이로 더 알려진 것은 당장 바꿀 수 없는 현실이다. 그렇다면 이를 활용하여 해당 상품에 농업의 중요성과 ‘농업인의 날’을 알릴 수 있는 공익광고를 함께 홍보한다면 빼빼로데이라는 상품성을 해치지 않으면서 농업인의 날 또한 주목받는 상생을 누릴 수 있을 것이다. 그래서 농업인들이 대우받는 11월 11일로 거듭났으면 한다. 농협경주환경농업교육원 김종우 교수 |
|
[제주 출신 경제인 스토리] (1) 문봉만 ㈜원우ENG회장
장맛비 사라진 제주지방 무더위..북·동부 폭염특보
제주동부소방서장 강성부·서부 김승용·서귀포 고정배
제주 배경 '폭싹 속았수다' 검색어 패턴까지 바꿨다
제주 읍면동 대강당·회의실 25곳 7월부터 도민 개방
제주 첫 '친환경우수 골프장' 스프링데일-플라자CC 선정
'2년 차' 제주 출신 임진희 LPGA 투어 첫 정상 '쾌거'
[현장] "애써 키운 감귤, 맛있게 많이 먹어줬으면..."
지난해 한반도 이산화탄소 배경농도 관측 이래 최고치
제주 고지우, KLPGA 용평오픈 54홀 최저타 타이 우승
[허경자의 하루를 시작하며] 탄소중립 'K-이니셔…
[사설] 지각 출범 선거구획정위 여정 험난 예고
[사설] 트라우마치유센터 인력·시설 확충 시급
[뉴스-in] 고도관리방안 설문조사 공정성 논란 사…
[열린마당] 수사절차를 알기 쉽게 제공하려는 경…
제주도,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 회의 유치 실…
4·3 품은 공간… 사물들이 들려준 이야기
[고재만의 제주어기림혼판] 제주어 풀이(456)
[박준혁의 건강&생활] 치매를 앓았던 역사 속 인…
[열린마당] 2026년 전국장애인체전을 먼저 개최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