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가족을 위한 보행자 중심 교통문화 만들기
2021-10-31 10:13
생활공감 정책 (Homepage : http://)

원본 이미지 크기입니다.
우리 가족을 위한 보행자 중심 교통문화 만들기
11월 11일은 빼빼로 데이가 아니라 ‘보행자의 날’

인터넷에 11월 11일을 검색하면 ‘빼빼로 데이’가 상단에 있는데 친숙한 날이기는 하지만 씁쓸한 마음을 감출 수 없다.
농업인들을 비롯해 많은 이들은 11월 11일 하면 가래떡 데이(농업인의 날)로 기억하기도 한다. 이 밖에도 인터넷을 검색하면 11월 11일은 지체장애인의 날, 해군창립기념일, 1차 세계대전 종전 기념일, 서점의 날 등의 날이기도 했다. 하지만 저는 여러분들에게 빼빼로 데이가 아닌 다른 11월 11일을 소개하고 싶다.
필자는 11월 11일 하면 농업인의 날 및 ‘보행자의 날’이 가장 먼저 떠오른다.
보행자의 날은 보행교통 개선의 중요성에 대한 범국민적 의식을 높이고 보행자 안전을 최우선으로 생각하자는 의미에서 2010년 제정된 법정기념일이지만 모르는 사람들이 많다.
숫자 1이 네 번 등장해 사람의 다리가 연상되는 ‘11월 11일’을 걷기 활성화 차원에서 보행자의 날로 정한 것 같다.
보행자 교통사고는 그 결과가 치명적이라는 점에서 교통안전에서 매우 중요하게 다루고 있는 개념이다. 보행자는 자동차에 비해 '절대약자'요 어떤 경우든 피해자 입장이 된다는 점을 십분 인식, 사고위험 요소는 근본부터 차단해 어떤 상황에서도 보행자의 안전만큼은 보호해야 한다는 자세를 확고히 갖춰야 할 것이다.
교통 사망사고 예방을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운전자와 보행자 모두 사소한 것부터가 중요하다는 것을 체감해야 한다.

운전자는 운전을 시작하기 전 단계에서부터 정지선 지키기, 각종 신호 지키기, 지정차로 준수하기, 안전띠 착용하기, 운전 중 휴대전화 사용금지 등 교통법규준수의식을 가지자.
보행자는 올바른 보행습관을 통해 작은 것부터 스스로 실천하는 착한 습관을 지니는 것이 중요하다.
노인이나 어린이들의 왕래가 잦은 지역의 보행권도 우선 확인해볼 필요가 있다.
그리고 제일 중요한 것은 차에서 내리는 순간 우리 모두 '보행자'이다. 우리 가족을 위해서 보행자와 노인이 배려받는, 차량 중심이 아닌 사람 중심인 교통문화가 하루빨리 정착되기를 기대한다.
끝으로 보행자의 날이 행사를 위해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실질적인 보행자 권리 확인을 위한 날로 자리매김하면 좋겠다.

생활공감 정책 참여단 서귀포시 대표(행정학 박사) , 고기봉

No 제목 이름 날짜
3623 제주 청년활동의 꿀공간 '청년다락'  ×1 김신관 01-15
3622 기고) 남원 119센터 현장실습, 119구급대원의 꿈을위한 동기부여가 되다  ×1 오은교 01-09
3621 기고)일상생활속 세금고민 마을세무사가 도와준다  ×1 고종필 01-09
3620 안전한 거주 울타리, 공공주택  ×1 제주개발공사 현정윤주임 01-08
3619 기고)올해 세테크 시작은 1월 자동세 연납으로~~  ×1 고종필 01-08
3618 지속  ×1 고기봉 01-02
3617 '고향사랑기부제'로 농업·농촌에 희망을  ×1 비밀글 유효상 12-28
3616 공공주택, 주거 본연의 가치를 담은 공간으로 진화   ×1 제주개발공사 분양주택사업팀 김은정 사 12-27
3615 (오피니언)우리사회에 강요되고 있는 미의 기준  ×1 건입동주민센터 심소연 12-27
3614 도로  ×1 12-26
3613 기고문  ×1 ×1 비밀글 보건환경연구원 12-26
3612 (사)제주YWCA-(사)제주YWCA디지털성범죄상담소, 디지털성범죄 심각성 인식 확… (사)제주YWCA 12-22
3611 우리들이 꿈꾸는 행복한 사회  ×1 이도초등학교 4학년 2반 안유린 12-22
3610 이제는 관심을 가져야 할 용천수  ×1 비밀글 김광민 12-22
3609 물, 아껴야 마르지 않는다.   ×1 김수연 12-21
3608 사회적경제활성화 제주네트워크, 사회적기업가와 함께하는 찾아가는 사회…  ×1 (사)서귀포YWCA 12-21
3607 기후의 미래, 제주의 선택: 탄소 중립으로의 여정  ×1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김수지 12-20
3606 파리들이 사는 세상에 묻지마 폭력이 일어난다면 손용석 12-18
3605 '때문에' 보다는 '덕분에'로 살자!  ×1 오정애 12-15
3604 환경교육도시를 통한 지속 가능한 제주로  ×1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4학년 김가인 12-14
3603 (사)서귀포YWCA, 제주여성친화도시를 위한 대중매체 성평등 시민모니터사업 …  ×1 서귀포YWCA 12-13
3602 사회적경제활성화 제주네트워크, 사회적기업가와 함께하는 찾아가는 사회…  ×1 서귀포YWCA 12-13
3601 생태계보호 다 함께 노력해야 (부제 : 나무만 보고 숲은 보지 못한다)  ×1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이시후 12-13
3600 기고문  ×1 ×1 비밀글 보건환경연구원 12-13
3599 지구의 몸살, 우리의 자그마한 실천으로  ×1 김찬우 12-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