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뀌지않는 신호등, 주민들은 불편하다
2020-12-16 10:24
|
---|
김채윤 (Homepage : http://)
|
그중에서도 제주시 삼화지구 도련초 부근에 공원과 공원을 연결하는 횡단보도에서 그 상황을 볼 수 있습니다. 현재 횡단보도는 신호가 잘 바뀌지 않아 공원을 이용하는 주민들이 불편을 겪고 있습니다. 위 상황과 같이 돌아서 다른 횡단보도를 이용하거나 심지어는 무단횡단을 하기도 합니다. 그 신호등에는 시각장애인용 버튼(음향 신호기)가 붙어있는데 누르면 신호가 바뀐다는 안내판이 붙여져 있습니다. 하지만, 그 버튼 위 ‘음향신호기의 안내 메시지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것입니다.’라는 안내문이 부착되어 있고, 함부로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는 주민들의 인식에 따라 전혀 사용되고 있지 않습니다. 따라서 저는 이 횡단보도에 <보행자용 버튼>이 필요하다고 봅니다. 그렇다면 기다릴 필요가 없어서 무단횡단도 자연히 줄 것이고 말입니다. 위와 같이 주민들이 사용하지 않을 수도 있지만, <보행자>용 버튼임을 알리는 표지판을 부착하면 될 것입니다. 감응신호나 점멸신호같은 비슷한 해결책 또한 존재 하지만, 감응신호는 3,4거리가 아니어서 효율이 떨어지고, 점멸신호는 초등학생들도 이용하기 때문에 위험 할 수 있습니다. 물론 이 것에 설치에 따라 차량지체가 발생 할 수 있지만, 공원을 이용하는 시간이 차량이 많이 다니지 않는 시간대여서 오히려 불필요한 차량 신호 대가 시간이 없어질 것으로 생각됩니다. 이렇게 이 마을에는 보행자용 버튼이 필요합니다. 만약, 설치가 된다면 더욱 안전하고 편리한 마을이 될 수 있을 것입니다. 신성여자중학교 1학년 김채윤 |
|
[해설] 제주도 2025년 하반기 정기인사 배경은…
제주 스노클링 하던 40대 관광객 익수사고
제주여름 별미 ‘한치’ 사라졌다.. “고수온 서식지 이동”
제주 수박 주산지 신엄리 가뭄 심화… 타들어가는 農心
[단독] 제주 오염백신에 또 돼지열병 항체…폐기 엉터리
[강연실의 목요담론] 지역화폐와 착한소비, 제주경제 순환의…
[사설] 트라우마센터 국비 전액 지원 관철시켜야
[김용성의 한라시론] ‘사람 존중’ 자녀 인성 교육에 대해
[사설] 중소기업 고용시장 활로가 보이지 않는다
제주우체국 제주아라1동 등 3곳 점심시간 휴무제 운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