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활용이 안되는 플라스틱이 있다는 사실 아시나요?
2020-12-13 12:03
김효지 (Homepage : http://)

원본 이미지 크기입니다.
코로나19로 인해 평범했던 일상생활에 많은 문제들이 발생했다.

여러 문제 중 환경과 관련된 쓰레기, 특히 플라스틱 문제가 심각해졌다.

집 밖을 나가 매장에서 식사가 어려워진 덕에 플라스틱으로 포장된 배달은 급증하였고, 심지어 감염 우려로 식음료 매장 안에서 일회용 플라스틱 컵이 다시 허용되기도 했다.

환경부 통계로는 올해 상반기 국내 플라스틱 쓰레기 발생량은 전년 동기 대비 15.6% 증가했다.

우리들은 일상생활에서 배달, 포장 음식 등 플라스틱 용기들을 재활용을 위해 먹은 내용물을 비우고 물로 씻고 부착된 상표도 떼서 분리배출을 한다.

하지만 여기서 플라스틱에서 기타(OTHER) 구분은 대부분의 비닐, 즉 과자나 라면 봉지, 햇반 용기 등에 쓰이는데 신소재 혼합 플라스틱이라서 재활용이 불가라는 사실을 얼마 전에 알게 되었다.

환경부 분리배출 표시지침은 플라스틱·비닐의 재질 구분을 6가지로 하는데, 여기서 기타(OTHER)는 재활용이 안된다는 것이다. 당연하게 재활용이 되는 줄 알고 버렸지만 알고 보니 재활용이 어려운 플라스틱은 더 있었다.

투명한 페트병은 햇빛에 맥주가 산화되는 문제로 갈색이나 초록색인 맥주 페트병은 재활용할 수 있지만 복잡하다. 이미 색깔이 들어가 있고, 나일론을 겹쳐 만들기 때문에 쓰임새가 제한적이기 때문이다.

또한, 편의점에서 파는 커피, 주스 등 음료 컵도 알루미늄 같은 금속 성질의 뚜껑이 붙어 있어서 뚜껑을 분리하지 않는 경우와 분리해도 접합 부분에 알루미늄이 남는 경우에는 재활용이 어렵다.

플라스틱을 포함한 쓰레기 분리수거 문제는 모두의 노력이 필요하다. 따라서 우리들은 지속적인 관심을 가져야 하며, 앞으로 재활용이 수월해질 수 있도록 플라스틱 소재를 복합 재질의 플라스틱을 써야 하는 경우가 아니라면 한 가지 재료를 활용하고, 재활용이 쉬운 재질로 용기를 바꿔야 하며, 재활용 체계 재정비와 세분화가 되어야 한다.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3학년 김효지>

No 제목 이름 날짜
2862 바이 인감 ~ 하이 서명~  ×1 ×1 양현주 03-15
2861 SNS를 멈추고 자신에게 집중하라  ×1 ×1 허성환 03-15
2860 거리두기 장기화, 우린 무엇을 바라는가?  ×1 비밀글 현동석 03-12
2859 마스크 단상  ×1 김영진 02-27
2858 한전.신재생발전 직접 참여  ×1 한국전력제주본부 02-25
2857 끊임없는 아동학대  ×1 허성환 02-22
2856 제일플란트, 아이엠플란트치과, 장애인 임플란트 수술비 2,000만원 후원  ×2 한용 02-19
2855 (주)제이피엠 사랑의 헌혈봉사  ×1 (주) 제이피엠 02-17
2854 (기고) 졸업시즌에 졸업생보다 더 슬픈 화훼농가  ×1 안상준 02-16
2853 갈등-사회적비용  ×1 ×1 문석부 02-15
2852 우리 가족 한 달 음식물 쓰레기 처리비용이 한 달에 960원?  ×1 [4] 제주특별자치도 자원순환관리팀장 정근식 02-10
2851 설명절, 안전을 위한 특별한 선물 ‘주택용 소방시설’  ×1 남원119센터 소방교 김슬기 02-07
2850 코로나 시대! 설날은 삼가고 조심하는  ×1 유승훈 02-05
2849 코로나19 속 설 명절... 우리 농산물에 감사의 마음을 담아...  ×1 농협 구례교육원 이은영교수 02-04
2848 일방 통행 도로 이렇게 놔두어도 될까? 최하은 02-03
2847 (기고)행복한 신구간, 가스안전사고 주의하세요  ×1 ×1 동홍119센터 양재민 01-28
2846 ‘양성평등 문화 확산’을 위한 씨앗기금이 되길  ×1 고선아 01-26
2845 겨울철 3대 난방용품 안전 사용법  ×1 ×1 남원 119 센터 01-26
2844 폭설 속 제주 택배 비밀글 양창영 01-08
2843 감귤팜스전시회  ×1 전인자 01-08
2842 [기고] 어르신 기초연금, 한분도 빠짐없이 신청하세요!  ×1 고경희 12-31
2841 인간은 지구의 적이다. 손정민 12-30
2840 진짜 여성은 누구인가? 손정민 12-30
2839 코로나19가 앞당긴 쓰레기 대란  ×1 고기봉 12-30
2838 차량 통행 막는 중앙분리대, 이대로 괜찮은가?  ×1 강혜수 12-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