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0㎿ 제주 가스 발전소 신설 계획 백지화해야”

“300㎿ 제주 가스 발전소 신설 계획 백지화해야”
환경단체, 대통령실·기후환경에너지부 면담 요청
  • 입력 : 2025. 10.20(월) 17:29  수정 : 2025. 10. 20(월) 17:31
  • 양유리 기자 glassy38@ihalla.com
  • 글자크기
  • 글자크기

탈핵·기후위기제주행동은 20일 민주노총 제주본부에서 ‘제주도 300㎿ 가스발전소 신설 계획 취소 진정 및 면담 요청’ 기자회견을 열었다.

[한라일보] 제주지역에 추진되고 있는 가스발전소가 기후위기 대응에 역행한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탈핵·기후위기제주행동(이하 제주행동)은 20일 오후 민주노총 제주본부에서 ‘제주도 300㎿ 가스발전소 신설 계획 취소 진정 및 면담 요청’ 기자회견을 열었다.

제주에는 신규 액화천연가스(LNG) 가스발전소 2곳이 추진되고 있다. 한국중부발전은 제주시 삼양동 제주발전본부 부지 내에 150㎿급, 한국동서발전은 제주시 구좌읍 동복리 옛 채석장 부지에 150㎿급 가스발전소 건설에 대한 환경영향평가를 각각 진행 중이다.

제주행동은 “정권 교체 이후 새로 출범한 기후에너지환경부와 제12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이 준비되는 시점에 재생에너지를 좀 더 공공적인 관점에서 확대할 것을 기대한다”며 “도내 2개 신규 가스발전소 계획 철회를 촉구하고자 대통령실과 기후에너지환경부에 면담을 요청할 것”이라고 말했다.

또 “제주도는 이미 발전설비 과잉으로 재생에너지로 생산된 전력을 온전히 수용하지 못하는 ‘계통 한계 상황’”이라며 “300㎿ 규모의 가스발전소가 추가로 건설된다면 제주 본섬 내 재생에너지 사업 추진은 더욱 어려워질 것”이라고 우려했다.

이어 “해당 발전시설이 운영될 경우 연간 온실가스 배출량은 최대 110만t 이산화탄소 등기량(CO2 eq)에 이른다”며 “300㎿ 가스발전소 신설계획을 백지화하고 제주도의 계통포화를 완화할 유연성 자원 확보 방안이 마련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기사제보
▷카카오톡 : '한라일보' 또는 '한라일보 뉴스'를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 064-750-2200 ▷문자 : 010-3337-2531 ▷이메일 : hl@ihalla.com
▶한라일보 유튜브 구독 바로가기
  • 글자크기
  • 글자크기
  • 홈
  • 메일
  • 스크랩
  • 프린트
  • 리스트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밴드
기사에 대한 독자 의견 (0 개)
이         름 이   메   일
8189 왼쪽숫자 입력(스팸체크) 비밀번호 삭제시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