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4·3문제 더 이상 지체 말고 서둘러 매듭짓자

[사설]4·3문제 더 이상 지체 말고 서둘러 매듭짓자
  • 입력 : 2016. 04.04(월) 00:00
  • 편집부 기자 hl@ihalla.com
  • 글자크기
  • 글자크기
선거철이 맞다. 그 어느 때보다 선거때면 제주4·3에 대한 정치권의 관심이 각별하기 때문이다. 20대 총선을 앞둔 가운데 이런 예상은 빗나가지 않았다. 제68주년 4·3희생자 국가추념식이 열린 3일에도 정치권은 여·야 지도부들이 일제히 참석해 4·3 영령들의 넋을 위로하는데 소홀함이 없었다.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는 이날 "제주4·3은 우리나라 현대사에서 가장 가슴 아픈 비극"이라며 "과거의 비극을 상생과 화해로 승화해야 할 때가 왔다"고 강조했다. 김 대표는 정부의 4·3희생자 재심사 논란에 대해선 "아픈 과거를 다시 건드리는 일이 옳은 일인가를 고민해야 될 문제"라며 반대 입장을 표명한 후 "설사 그런 일이 있더라도 피해자와 유족의 입장이 우선돼야 한다"고 덧붙였다.

김종인 더불어민주당 비상대책위원회 대표는 정부의 4·3 재심사에 대해 "더 이상 끌지 말고 중단해야 한다는 게 당의 입장"이라며 반대 입장을 분명히 했다. 김 대표는 "4·3사건이 발생한지 68년이 됐는데 아직도 매듭이 완결되지 못했다"며 "4·3사건이 국가기념일로 정해진 이후에 최고 통치자가 한 번도 다녀가지 않아 매우 유감스럽다"고 지적했다.

이상돈 국민의당 중앙선대위원장도 박근혜 대통령이 당선 이후 4·3추념식에 참석하지 않은 것에 대해 유감을 표했다. 지난 대선에서 박 후보 캠프의 정치쇄신특위 위원을 지낸 이 위원장은 "박 대통령이 2012년 대선 당시 후보로 4·3평화공원을 참배했다"며 "그러나 취임 이후 한 번도 안 온 것에 대해서는 섭섭하게 생각한다"고 말했다.

제주4·3문제는 여·야 가릴 것 없이 완전한 해결에 모두가 공감하고 있다. 정부 역시 다르지 않다. 해외 순방중인 박 대통령을 대신해 참석한 황교안 총리도 추념사를 통해 지속적인 위령사업 등을 통해 희생자와 유가족들의 아픔을 해소하는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따라서 가족을 잃고 오랜 시간 엄청난 고통을 겪고 있는 유가족의 아픔을 헤아린다면 4·3문제를 하루빨리 매듭지어야 한다. 4·3문제가 선거때마다 단골이슈로 오르내리는 것은 결코 바람직하지 않다. 억울하게 희생된 수만의 영령들과 유가족의 상처만 덧나게 할 뿐이다.
  • 글자크기
  • 글자크기
  • 홈
  • 메일
  • 스크랩
  • 프린트
  • 리스트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밴드
기사에 대한 독자 의견 (0 개)
이         름 이   메   일
7317 왼쪽숫자 입력(스팸체크) 비밀번호 삭제시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