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재 발생 시 대피요령 반드시 숙지하자
2022-08-21 21:38

원본 이미지 크기입니다.
화재 발생 시 대피요령 반드시 숙지하자
(남원119센터 소방사 김재업)

곧 민족 대명절 추석이 다가온다. 온 가족이 모여 웃음꽃이 피어나기만 하면 좋겠지만, 제주도 소방안전본부에 따르면 지난 2017년부터 2021년까지 추석 연휴 동안 발생한 도내 화재는 모두 23건으로, 일평균 화재 건수는 1.2건으로 집계됐다. 이로 인한 인명피해는 부상 1명, 재산피해는 5억4000여만 원에 달했다.
발생 장소를 보면 주거시설이 6건(26.1%)으로 가장 많았고, 이어 야외 4건(17.4%), 자동차 3건(13.0%) 등 순이었다.
추석 연휴 많은 인파가 몰리기 때문에 작은 불씨 하나가 자칫 큰 인명피해를 가져올 수 있는 위험이 상존하고 있다. 따라서 평소 화재 사고에 대한 행동 요령을 숙지하여, 유사시 침착하게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는 것이 중요하다.

▲당황하거나 무서워하지 말고 빠르고 침착하게 행동한다. ▲엘리베이터 대신 비상구나 출입문으로 대피한다. (정전 시 추락사고의 위험이 있음) ▲대피할 때 자세를 낮추고 젖은 수건으로 코와 입을 보호한다. ▲옥상으로 대피하였을 때는 바람을 등지고 구조를 기다려야 한다. ▲일단 실내에 고립되면 화기나 연기가 없는 창문으로 소리를 지르거나 물건 등을 던져 갇혀있다는 사실을 외부에 알린다. ▲물이 있으면 불에 타기 쉬운 물건에 물을 뿌려 불길의 확산을 지연시킨다. ▲화상을 입기 쉬운 얼굴이나 팔 등을 물에 적신 수건 또는 두꺼운 천으로 감싸 화상을 예방한다.

주택화재 발생 시 신속히 대피하지 않는다면 순식간에 불이 건물 전체로 번져 대피 시기를 놓쳐버릴 수 있다. 평소 화재 발생 시 대피요령을 잘 숙지하여 안타까운 인명피해가 더는 없도록 우리 모두 노력해야 할 것이다.

No 제목 이름 날짜
3278 건강한 제주 만들기는 플라스틱 사용 자제로부터   ×1 행정학과 김소현 11-23
3277 남원119센터, 남원의용소방대 불조심 강조의 달 캠페인 실시  ×1 남원119센터 예방담당 오성룡 11-23
3276 자신의 모습에 끊임없이 집착하는 사람들  ×1 ×1 동국대학교 영어영문학과 박지화 11-22
3275 2022년 후원자·자원봉사자 감사의 날 실시 - 서귀포시홀로사는노인지원센터  ×1 서귀포시홀로사는노인지원센터 11-22
3274 플라스틱 제로 제주 만들기는 플라스틱 사용 자제로부터   ×1 ×1 김소현 11-22
3273 어린이 탑승 주차장을 아시나요! 제주 ‘어린이 탑승 주차장’ 저출산 막…  ×1 행정학과 조예진 11-19
3272 제주경로당 보치아대회에 초대합니다  ×1 제주도청 노인장수복지과 유은숙 11-18
3271 반복하지말자 대형산불  ×1 ×1 김형철 11-17
3270 11-16
3269 순국선열의 희생정신을 국민정신으로.....   ×1 광복회제주특별자치도지부장 강혜선 11-15
3268 플라스틱 라벨 잘 제거하시나요?  ×1 제주대학교 2학년 문동혁 11-14
3267 긍정적 사고가 성공으로 이끈다..  ×1 고기봉 11-12
3266 남원119센터, 불조심 강조의 달 화재 예방 교육  ×1 남원119센터 예방담당 오성룡 11-11
3265 제주 요일별 쓰레기 배출제도, 개선과 보완의 필요성  ×1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정연아 11-11
3264 “일회용 컵 보증금제, 예외없이 전면 시행돼야”  ×1 ×1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홍지우 11-10
3263 난방용품 안전한 사용으로 따뜻한 겨울나기  ×1 ×1 효돈119센터 11-10
3262 2022년 노인일자리를 마치며,,  ×1 김경율 11-10
3261 노인과 버스정류장  ×1 김덕용 11-10
3260 농업인의 날  ×1 장희수 11-10
3259 11월 11일은 농업인의 날  ×1 ×1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장희수 11-09
3258 함께 걸어가는 우리는 보행자!  ×1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김주영 11-08
3257 11월11일 보행자의 날을 아시나요!  ×1 비밀글 김주영 11-08
3256 미래의 꿈나무인 아이들을 위한 기마대의 역할  ×1 ×1 이명량 11-08
3255 나비효과로 성산읍 행복 복지 일번지로 거듭나길!  ×1 윤매순 11-08
3254 김치의 날을 아시나요!  ×1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조윤아 11-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