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신을 둘러싼 윤리적 쟁점
2021-06-06 13:18
|
|||
---|---|---|---|
서대권 (Homepage : http://)
|
|||
그러나 여전히 이슈화되는 불평과 불안의 목소리를 들으며, 전 세계적인 팬데믹 세상을 살아가고 있는 지금 우리는 백신의 안전성과 분배의 문제, 백신에 얽힌 이해관계와 윤리적 쟁점에 대해 한 번쯤은 비판적 사고로 생각해 볼 필요가 있을 것이라 생각되어진다. 첫 번째 ‘안전성’문제이다. 불과 1년만에 초고속으로 개발과 승인이 마무리되고 접종이 시작된 약품으로 전 세계 각국에서 부작용 및 사망사례가 보고되고 있는 것을 알고 있다. 백신의 종류별 접종자 대상 선정 및 접종 시기 결정 등에 대해 여전히 다양한 논쟁이 진행중이다. 그러나 우리가 명심해야 할 것은, 백신접종과 부작용 등 안전성 논란 자체는 국민과 국가적 공감대를 형성하기 위한 과정이라 할 수 있으나 이를 정치적 이슈화 하여 정쟁의 대상으로 삼아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전문가들은 공정한 정보와 의견을 제공하고, 국민들과 정책 결정자들은 사익을 배재하고 건전한 토론을 거쳐 최선의 방법을 찾을 수 있도록 협조하려는 자세를 가지는 것이 필요하다. 두 번째 ‘분배의 공정성’ 문제이다. 2020년 2월, 안토니우스 구테흐스 유엔(UN)사무총장은 “단 10개국이 백신의 75%를 투여한 반면 130여 개국은 단 한차례도 접종하지 못했다”면서 “백신이 희망을 낳고 있지만 백신 접종 진행은 매우 고르지 못하고 불공정하다”고 비판했다. 그는 이러한 백신 이기주의로는 대유행 위기를 벗어날 수 없다고 경고하면서 선진국들에 백신의 공정한 분배를 거듭 촉구했다. 백신의 소유권이 연구의 자유, 재산에 대한 권리와 같은 근본적인 자유를 보호하기 위해 필요하긴 하지만, 전 세계적인 유행병의 비정상적인 상황에 있어서 특허권 및 소유권에 대한 윤리적인 우려가 제고된다. 궁극적으로는 합리적인 비용으로 모든 사람이 백신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지적재산권을 공유할 수 있어야 할 것이며 이를 위해 글로벌한 경제적, 정치적 합의 및 조약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우리는 지금 지역과 국가를 넘어선 전 세계적 위기와 마주하고 있다. 그 어느 때보다 연대와 결속이 중요한 시점이다. 인류의 궁극적 목적인 ‘사람’이 모든 판단과 가치 결정의 가장 중요한 준거가 되어야 함을 우리 모두는 명심해야 할 것이다. |
|
초강력 태풍 '마와르' 30일 전후 북쪽으로 방향 튼다
초강력 태풍 '마와르' 다음주 방향 틀어 일본쪽 향하나
중앙분리대 넘던 30대 여성 택시에 치여 사망
제주 떠난 여객기 대구 상공서 출입문 열린 채 '공포의 착륙'
[종합] 제주 추경 갈등 '일단락'.. 내달 5일 원포인트 임시회
석탄일 연휴 제주지방 대체로 흐리고 남부지역 비
농담으로 목숨 구한 다이버… "2시까지 안 오면 해경 신고해…
제주 대중교통 체계 개편에도 불편 신고 급증
홧김에 공중화장실 불 지른 초등학생 검거
'공포의 착륙' 항공기 탑승 제주선수단 2명 결국 출전 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