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활용률과 환경 인식을 높일 수 있는 생활 속 작은 변화를 바라며
2019-12-16 01:09
강준형 (Homepage : http://)

원본 이미지 크기입니다.
재활용률과 환경 인식을 높일 수 있는 생활 속 작은 변화를 바라며

10년 전 중·고등학생 시절에 나는 캔 음료나 길거리 음식들을 먹고 나온 쓰레기를 처리하기 위해 공원에 비치된 ‘삐그덕 삐그덕’ 소리 나던 은색 쓰레기통이나 공공화장실 세면대와 대변기 칸마다 비치됐던 파란색 휴지통을 찾아다니며 버리곤 했고 가정에서 발생하던 쓰레기들도 한데 모아 아무렇게나 비닐에 싸서 배출하였다.

하지만 요즘은 어떠한 공원, 공공화장실에서도 쓰레기통을 찾아 볼 수 없게 되었고 집에서 발생하는 쓰레기들도 요일별 배출제 도우미 관리‧감독 하에 쓰레기를 분류하지 않고서는 클린하우스 등에 버리기가 쉽지 않은 세상이 되었다.

이러한 변화는 쓰레기 분리배출에 대한 환경 인식이 상대적으로 낮았던 나를 비롯하여 많은 도민들의 인식을 높이기 위하여 시작된 정책들이고 이로 인하여 실제로 많은 도민들의 환경인식은 높아졌고 함부로 쓰레기를 버리는 경우 또한 많이 줄었다.

뿐만 아니라, 빨대 없이 얼음 음료를 먹을 수 있는 일회용 컵 뚜껑과 플라스틱을 대체 한 종이 빨대 등의 제품들이 개발되며 이런 제품들을 사용하는 커피숍이 늘기 시작하였고 거의 모든 음식점에서는 종이컵, 나무젓가락 등 일회용품을 사용하지 않으며 일반 소비자와 나란히 공급자들도 함께 환경 인식과 쓰레기 분류배출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고 있다.

하지만 여전히 개선돼야 할 곳이 많다. 혼밥족 등이 늘면서 편의점 등에서 손쉽게 데우기만 하면 먹을 수 있는 음식들이 많이 판매되고 있는데 편의점에서 먹고 난 후 쓰레기를 처리하려고 보면 쓰레기통이 음식물쓰레기, 병‧유리, 일반쓰레기로만 분류되어 있는 곳이 대부분이고 이로 인하여 종이, 플라스틱 쓰레기등 일반쓰레기가 아닌 재활용이 가능한 쓰레기들도 일반쓰레기통에 버려지게 되는 경우가 많이 발생하고 있다.

그리고 관공서 등에 흡연부스들이 설치되어 있지만 부스 내 재떨이를 보면 담배꽁초와 쓰레기를 버릴 수 있는 통이 일원화 되어 여러 쓰레기들이 분류되지 않은 채 마구잡이로 버려지고 있다.

아직 우리가 신경 쓰지 못한 공간에도 기존 쓰레기통 이외 재활용품별로 쓰레기통을 비치하는 등 사소한 변화를 시도한다면 재활용률은 물론 우리 도민의 환경에 대한 인식도 더욱 높아질 것이다.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2학년 강준형

No 제목 이름 날짜
4015 가정의 달, 가족의 가치를 다시 볼 시간  ×1 강지상 05-09
4014 (사)제주YWCA중등청소년방과후아카데미 특별지원활동프로그램 '1분기 생일…  ×1 (사)제주YWCA중등청소년방과후아카데 05-08
4013 혼자가 아닌 함께, 제주가치돌봄으로 따듯한 동행을 시작하세요  ×1 ×1 제주시 주민복지과 고수정 05-08
4012 자연재해는 막을 수 없지만, 피해를 줄일 수 있습니다.  ×1 장명서 05-07
4011 (기고)봄철 공사장 화재, 작은 주의가 큰 안전을 만든다.  ×1 구좌119센터 소방사 김한울 05-07
4010 구좌119센터, 구좌읍사무소에서 여름철 풍수해 대비 수방장비 교육 실시  ×1 구좌119센터 소방사 김경민 05-07
4009 2024년 사상 가장 더운 해, 해수면 온도 사상 최고치, 2025년에는 더 이상 좌시…  ×1 김제현 05-05
4008 제주 장애인 휠네비길, 모두를 위한 길이 되려면  ×1 김제현 05-05
4007 서귀포시청소년수련관 방과후아카데미 '삼성드림클래스' 운영기관 선정  ×1 서귀포시청소년수련관 방과후아카데미 04-29
4006 - - 04-29
4005 서귀포시청소년수련관 '지원협의회와 함께하는 진로 특강' 운영  ×1 서귀포시청소년수련관 방과후아카데미 04-29
4004 봄철, 안전한 산행을 위한 안전수칙  ×1 서귀포소방서 동홍119센터 문해민 04-29
4003 가정의 달 맞이‘청소년 주류 제공 주의보’  ×1 서귀포시 위생관리과 한정숙 04-29
4002 2025년 제주시지역사회보장협의체 실무분과 민·관 협력 공동사업 시민건강… 제주시지역사회보장협의체 04-28
4001 따뜻한 동행  ×1 윤매순 04-27
4000 (사)제주YWCA중등청소년방과후아카데미, ‘청소년 자원봉사 기초교육’ 진…  ×1 (사)제주YWCA중등청소년방과후아카데 04-25
3999 토양생태환경보전사업”에 주목해야  ×1 제주농산물수급관리센터 04-25
3998 토양생태환경보전사업”에 주목해야  ×1 제주농산물수급관리센터 04-25
3997 신재생에너지 포괄적 권한 이양과 관련하여  ×1 ×1 김정혁 04-25
3996 (기고)불법 소각, 그 감당 못할 책임에 경각심을  ×1 구좌여성의용소방대장 오춘미 04-24
3995 산불없는 제주를 위해 모두가 지켜주세요.  ×1 부재윤 04-22
3994 (기고) 한번에 뚝딱 완성되는 숲은 없다.  ×1 제주시 양은옥 04-22
3993 고사리철 이것만은 지켜주세요!  ×1 고기봉 04-18
3992 [기고] 자연재해! 준비는 지금! 풍수해·지진재해보험으로 안심하세요.  ×1 장명서 04-18
3991 보이지 않는 곳에서 청정 제주의 미래를 지키는 하수처리 이야기   ×1 상하수도본부 공공하수처리시설 현대화사 04-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