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 이상의 일회 용품 사용은 그만!
2019-11-08 10:53
현원준 (Homepage : http://)
집으로 가기 위해 서귀포 일호 광장에 가야 한다. 가는 길에 주위를 둘러보면 여러 가지 쓰레기가 곳곳에 놓여있는 광경을 보게 된다. 그 외에도 제주 올레 시장 근처에 있는 버스 정류장이나 벤치 그리고 길거리에는 치워주길 기다리는 일회용품들이 많이 보인다.

제주도를 주제로 하는 예능 프로의 인기로 인한 국내 관광객들, 무사증 제도로 쉽게 제주를 찾는 국외 관광객들이 늘어나게 되어 많은 관광객들이 급격하게 빠른 속도로 제주에 유입되었다. 이로인해 제주도는 쓰레기 처리 수용 용량을 초과하게 되었다. 결국 제주도는 1인당 하루평균 생활폐기물 발생량이 전국 지자체 중 1위를 기록하게 되었다.

그 중 가장 많이 버려지면서도 처리가 곤란한 것은 일회 용품들이다. 관광지 특성상 관광을 하면서 먹을 수 있는 것을 담고 들고 다니기 편한 포장 용기 사용이 많을 수밖에 없다. 이러한 이유로 제주에는 일회용품 사용량이 다른 지역에 비해 많다.

일회용품 용기는 편하게 먹고 쉽게 치울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대부분 음식물이 묻어 재활용이 불가능하고 많은 쓰레기를 발생시킨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쓰레기들 대부분은 음식물 혼합 배출로 쓰레기가 상당수 오염돼 사실상 소각 할 수 없게 되는 것이다. 결국 이러한 쓰레기들을 매립을 할 수 밖에 없다.

그러나 제주환경운동연합이 실시한 조사(7월 8일부터 8월 13일까지의 제주도 매립장 전수조사)에 따르면 제주시에 위치한 봉개ㆍ동부ㆍ서부매립장은 이미 포화된 상태로, 잔여 매립공간이 없는 것으로 조사됐다. 또한 서귀포시 색달ㆍ남원ㆍ표선ㆍ성산매립장들의 상황도 심각한 수준인 것으로 드러났다. 매립장의 잔여 매립량이 3~8% 정도 밖에 남아있지 않아, 사실상 내년 상반기에는 모두 포화될 것으로 예상됐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더 이상의 쓰레기 매립은 불가능한 상황이다. 그러므로 이러한 문제를 해결 하기 위해서는 일회 용기 사용을 효과적으로 줄일 방법이 필요하다.

첫째, 사업자와 관광객의 일회용기 사용을 억제해야 한다. 현재 정부에서는 포장 시 다회용 컵이나 다회용 빨대 등을 사용하도록 권장하고 있다. 하지만 운영업자들 측에서는 이러한 것들을 씻는 과정에서 생기는 추가 노동이 결국 인건비 상승 등으로 연결되어 소비자에게 가격 상등 등 부담이 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하지만 정부의 설득으로 장례식장에서는 일회 용품을 줄이고 있고 편의점 등에서도 에코백 사용을 권장하고 있다.

둘째, 제주 도민의 노력 또한 필요하다. 장보러 갈 때 장바구니를 이용하고 음료를 담을 때에는 개인용 텀블러를 사용하는 등의 많은 노력을 해야 한다. 또한 용기에 음식물이 묻어 있을 경우 음식물을 세척하여 분리수거 해야한다.

짧은 순간의 편함만을 쫓다보면 돌이킬 수 없는 결과로 이어지게 된다. 이미 제주도의 환경 은 많이 오염되었다. 다시 원래의 자연 환경으로 돌리는 것도 중요하지만 지금이라도 더 이상의 오염이 발생하지 않도록 생활 속의 조그마한 실천을 해야 하는 것은 어떨지 생각해 보자.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2학년 현원준

No 제목 이름 날짜
3996 (기고)불법 소각, 그 감당 못할 책임에 경각심을  ×1 구좌여성의용소방대장 오춘미 04-24
3995 산불없는 제주를 위해 모두가 지켜주세요.  ×1 부재윤 04-22
3994 (기고) 한번에 뚝딱 완성되는 숲은 없다.  ×1 제주시 양은옥 04-22
3993 고사리철 이것만은 지켜주세요!  ×1 고기봉 04-18
3992 [기고] 자연재해! 준비는 지금! 풍수해·지진재해보험으로 안심하세요.  ×1 장명서 04-18
3991 보이지 않는 곳에서 청정 제주의 미래를 지키는 하수처리 이야기   ×1 상하수도본부 공공하수처리시설 현대화사 04-17
3990 [기고] 청년농업인, 지속 가능한 농업의 미래를 여는 열쇠  ×1 ×1 오종훈 04-16
3989 [기고] 내 재산은 내가 지킨다! 풍수해·지진재해보험!  ×1 장명서 04-16
3988 "제주, 가로등 불빛의 밝혀 드립니다. “한 줄기 빛으로 시작되는 안심의 …  ×1 심소연 04-14
3987 봄철 부주의 화재, 예방이 최우선!  ×1 제주소방서 외도119센터 조영수 04-14
3986 환경은 선택이 아니라 생존이다  ×1 ×1 강지상 04-11
3985 산불, 우리 모두가 경각심을 가져야 할 때!  ×1 김제현 04-11
3984 (기고) 비밀글 박승빈 04-10
3983 전동가위 사고 주의! "안전이 수확의 시작입니다”  ×1 제주특별자치도의용소방대연합회 여성회장 04-10
3982 (기고)제주 바다를 지키는 작은 실천, 플로깅의 힘 제주 해양수산연구원 김수강 04-10
3981 불법 소각, 더 이상은 안 됩니다  ×1 ×1 아라119 센터장 김승률 04-09
3980 두 바퀴 위의 제주, 변화의 길을 찾다  ×1 오명수 04-07
3979 산불, 우리 모두가 경각심을 가져야 할 때!  ×1 김제현 04-04
3978 [기고] 봄철 산불, “작은 부주의”가 대형 사회재난으로 이어집니다.   ×1 ×1 김지훈 04-04
3977 119구조대가 알려주는 봄철 안전하게 산행하기  ×1 제주소방서 119구조대 김현진 04-02
3976 고사리 채취 안전수칙!  ×1 제주특별자치도의용소방대연합회 여성회장 03-31
3975 서귀포시노인복지관, 고치모영봉사단 어반스케치팀 '겨울이야기25' 작품…  ×2 서귀포시노인복지관 03-27
3974 [기고] 오동통통 고사리 안전하게 따세요  ×1 제주소방서 119구조대 김현진 03-27
3973 (기고)김 육상양식산업의 미래, 제주 염지하수가 답이다  ×1 제주특별자치도 해양수산연구원 김수강 03-26
3972 (사)제주YWCA중등청소년방과후아카데미, ‘찾아가는 청소년 노동 인권 교육…  ×1 (사)제주YWCA중등청소년방과후아카데 03-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