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매에 대한 선입견 노망과 로망
2019-03-30 18:40
문원영 (Homepage : http://)
치매에 대한 선입견 노망과 로망.hwp ( size : 37.50 KB / download : 16 )
치매에 대한 선입견 “노망과 로망 사이”

노인장수복지과 문원영

지난해 노인인구중 치매환자는 70만5천여명, 치매유병율이 10%로 집계되었다{‘18. 대한민국 치매현황보고서’. 노인 10명중 1명이 치매를 앓고 있는 셈이다. 그런데 ‘치매’하면 “죽음보다 더한 고통, 환자・가족・사회를 병들게 하는 질병” 등 암울하고 두렵기만 한 병이란 인식이 팽배해있어, 조기검사를 꺼리는 경우가 만다. 노인일자리 사업운영기관에서 “일자리 참여어르신이 어느날부터 조금 이상하다”란 느낌이 있어 치매검사를 받아보시라 권유하면 “그런말 함부로 하지 말라”고 과잉 반응을 보이고, 검사를 두려워하는 경우가 있어 안타깝다고 한다.

2011년 드라마 <천일의 약속>에서는 자수성가하던 젊은여성(수애)이 치매에 걸려 파괴되는 과정에서 주변 가족들이 고통스러워하던 장면이 생각난다. 그간 영화나 드라마에서 치매라는 질병이 아주 끔찍하고, 가족의 파괴, 고통과 공포로 많이 표현되었다.
최근 치매 대해 긍정적으로 풀이한 문화컨텐츠가 늘어나고 있다. 강풀만화 <그대를 사랑합니다(2007년작)>를 읽었다 주차관리원 장군봉의 치매 걸린 아내에 대한 극진한 보살핌에 가슴이심쿵하다가, 자식들에게 짐이 되지 않으려고 “마지막 동행(죽음)”을 택하는 장면에서 눈물을 흘렸다. 드라마 <눈이 부시게>는 치매노인(김혜자)이 치매로 최근 기억은 지워지고 25살의 인생의 가장 눈부셨던 시절로 돌아가는 이야기는 많은 사람들이 함께 행복해했다. 최절정은“하나뿐인 내편”에서 머리채를 잡거나 독설을 쏟아내는 치매할머니는 늘 손자며느리의 수호천사로 귀엽고 유쾌한 캐릭터로 존재감이 가득했었다. “치매”를 주재로 한 다양한 문화공연들이 사회적 책임과 역활을 해주고 있다는 생각이 든다.
대통령공약인 '치매 국가 책임제' 정책으로, 치매환자 돌보는 요양보호사를 2022년까지 10만 8천명 양성, 독거노인 전수 치매검진실시, 치매안심센터 ‘19년 말까지 전국 256개소 설치 등
'치매국가책임제 계획(안)'을 지난 3월 26일 보도자료를 발표했다. 치매에 대한 관리와 치료시스템이 점점 확대되고 있어 반가운 현상이다
덧붙여 치매를 치료적 대상에서 “치매 당사자의 ‘결코 불행하기만 한 시간은 아니라는’ 시각, 고령화 시대 누구나에게 있을 수 있는 노화의 한 과정”으로 인식의 전환이 확산되길 기대한다. 부부동반 치매 걸린 노부부, 매일 기억이 흐려가지만 잊혀 졌던 시간에 대한 로망을 기억하게된다는 로맨스 영화 “로망”이 개봉되면 보러 가야겠다.

No 제목 이름 날짜
3918 사라지는 제주 바다, 무너지는 해양 생태계, 남은 시간은 얼마나?  ×1 박환희 12-20
3917 사라져가는 계절을 체감할 수 있던 2024년  ×1 ×1 비밀글 고현준 12-20
3916 제주 uam의 실현가능성에 대하여  ×1 고동현 12-18
3915 제주의 자연자원, 우리의 미래를 지키는 책임  ×1 박지희 12-17
3914 [기고] 화목보일러 안전하게 사용하기  ×1 ×1 효돈119센터 소방사 임재윤 12-17
3913 (사)제주YWCA ‘문주란(간병사)클럽’ 제주대학교병원에 성인 기저귀 1200장 …  ×1 (사)제주YWCA 12-16
3912 (사)제주YWCA, ‘2024 2차 이사실무자 연수’ 진행 (사)제주YWCA 12-16
3911 “기후위기와 탄소 중립 지금 행동하지 않으면 늦습니다.” 탄소 중립을 …  ×1 허승주 12-14
3910 제주도, 쓰레기 위기 속 '제로 웨이스트' 도전  ×1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하현영 12-13
3909 (사)서귀포YWCA, 기부의날 주간기념 사랑나눔바자회 개최  ×1 서귀포YWCA 12-12
3908 제주의 농업과 환경 문제: 감귤 재배와 지속 가능한 미래  ×1 제주대 행정학과 하현영 12-10
3907 "탄소를 줄이고 미래를 채우다, 탄소중립 이야기"  ×1 백시진 12-10
3906 "탄소발자국 줄이기, 걷기에서 ESG로 이어지는 길"  ×1 백시진 12-10
3905 "기후변화의 시대, 우리의 선택은?"  ×1 백시진 12-10
3904 "기후변화의 시대, 우리의 선택은?"  ×1 ×1 백시진 12-10
3903 오조리, 단기적인 관심보다는 지속적인 관심이 필요할 때  ×1 김다영 12-09
3902 해수면 상승, 이젠 남의 일이 아니다  ×1 현주환 12-09
3901 모두의 권리를 위한 한 걸음  ×1 부유민 12-09
3900 기후 위기의 시대, 제주 농업을 지켜라!  ×1 김재원 12-08
3899 고요한 산 속의 비명: 산림 보호를 위한 우리의 역할  ×1 강주현 12-07
3898 메리 크리스마스, 화려한 조명 아래 드리운 그림자  ×1 신하늘 12-06
3897 제주도 요일별 배출제, 지속 가능한 환경을 위한 첫걸음일까?  ×1 ×1 박환희 12-05
3896 제주의 숨겨진 보물, 오름의 현실  ×1 오승민 12-05
3895 일회용컵 보증금제도 아시나요?  ×1 ×1 청정제주환경모니터단 부단장 김용균 12-04
3894 일회용컵 보증금제도 아시나요?  ×1 ×1 청정제주환경모니터단 부단장 김용균 12-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