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인 복지는 전문 장애인인력 양성을 통해서
2019-03-22 18:08
한국장애인고용공단 제주맞춤훈련센터 (Homepage : http://)
장애인에 대한 사회참여의 접근방식에 있어 우리는 흔히 “직업재활(vocational rehabilitation)” 이란 개념으로 접근한다. 직업재활의 사전적 의미는 ”장애인에 대한 적절한 직업을 확보하고 고용을 유지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일련의 서비스“이다. 장애인에 대한 복지는 직업재활을 통해 마무리된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장애인의 복지분야를 직업재활의 의미로만 접근한다면 그 한계는 분명하다. 장애인을 통한 사회참여와 자립에 있어 수혜적인 공적부조의 의존적 서비스 전달체계로는 생산적이고 적극적인 방향으로 나갈 수 없다.
물론 직업재활도 중요하고 앞으로도 직업재활의 포괄적 서비스 전달체계는 지속적으로 유지 확대되어야 할 것이다.
하지만 이제는 장애인의 자립을 위해서 역발상의 인식전환이 필요한 때라 생각한다. 바로 장애인직업능력개발이다. 직업훈련이란 ”취업할 의사를 가진 자나 취업한 자에게 직무수행에 필요한 능력을 습득시키거나 향상시킴으로써 특정한 직업에 필요한 직업능력을 갖게 만드는 체계적인 활동“을 의미한다. 직업훈련은 곧 고용과 안정된 일자리요, 자립이요, 결국 완전한 자립으로 지역공동체에서 주체로써 사회에 참여하게 한다.
서두에서 직업재활과 직업훈련의 사전적 의미를 새삼 언급한 이유는 우라나라는 아직도 복지와 고용을 길항 관계로 접근하고 있다는 것이다. 복지는 복지요, 고용은 고용이다. 복지는 부담이고, 복지는 세금이라는 잘못된 인식이 잔존하고 있다.
그렇다면 직업재활은 직업재활이고 직업훈련은 직업훈련이라는 잘못된 상관관계의 오류가 발생한다는 것이다.
직업재활에 직업훈련은 부분집합이 아니라 직업재활에 직업훈련은 부분집합일수도 합집합일수도 전체집합일 수도 있다. 서로에 대해 필요 충분의 필수 불가결한 시스템이다.
이제는 장애인 접근에 있어 보다 구체적이고, 실현가능하고, 생산적인 측면에서 직업훈련의 중요성에 대해 인식 전환이 필요할 것이다.
우리 제주도는 지금껏 장애인의 복지에 대한 정책에 있어 지역사회 공동체의 수혜적 접근의 서비스 전달체계로서만의 인프라를 구축해왔다.
보다 구체적이고 선택과 집중이라는 측면에서, 장애인의 적성에 맞는 직업능력개발은 도서(島嶼)라는 여건상 엄두를 내지 못하는 실정이었다.
이제 마침내 제주도에 장애인을 위한 전문 장애인직업훈련시설이 문을 열었다. 그것도 외곽지가 아닌 도심지에 장애인이 언제나 직업훈련을 받을 수 있는 이른바 장애인 맞춤훈련센터가 설립되어 직업훈련뿐 만 아니라 직장생활에서 반드시 필요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다.
장애인직업훈련 실태조사결과에서도 단순 직업재활을 통한 고용보다 전문 직업훈련시설에서 직업훈련을 습득한 장애인이 직장에서 보다 안정된 직업을 영위하고 장기근속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 또한 직업훈련을 통해 기능을 습득한 장애인 채용을 원하고 있다.
제주의 오랜 숙원인 장애인전문직업훈련의 인프라 구축이 작년에 설립된 제주맞춤훈련센터 개소로 그 시작을 알렸다. 제주도에서도 본격적으로 장애인 직업훈련을 실시하고 있다는 것은 고무적일 상황임이 틀림없다.
“최고의 복지는 바로 취업이다”라는 말과 같이 생산적이고 능동적, 적극적 복지가 바로 고용이요, 취업이다. 그 고용을 위한 최고의 선택은 바로 장애인직업능력개발훈련일 것이다.

No 제목 이름 날짜
3993 고사리철 이것만은 지켜주세요!  ×1 고기봉 04-18
3992 [기고] 자연재해! 준비는 지금! 풍수해·지진재해보험으로 안심하세요.  ×1 장명서 04-18
3991 보이지 않는 곳에서 청정 제주의 미래를 지키는 하수처리 이야기   ×1 상하수도본부 공공하수처리시설 현대화사 04-17
3990 [기고] 청년농업인, 지속 가능한 농업의 미래를 여는 열쇠  ×1 ×1 오종훈 04-16
3989 [기고] 내 재산은 내가 지킨다! 풍수해·지진재해보험!  ×1 장명서 04-16
3988 "제주, 가로등 불빛의 밝혀 드립니다. “한 줄기 빛으로 시작되는 안심의 …  ×1 심소연 04-14
3987 봄철 부주의 화재, 예방이 최우선!  ×1 제주소방서 외도119센터 조영수 04-14
3986 환경은 선택이 아니라 생존이다  ×1 ×1 강지상 04-11
3985 산불, 우리 모두가 경각심을 가져야 할 때!  ×1 김제현 04-11
3984 (기고) 비밀글 박승빈 04-10
3983 전동가위 사고 주의! "안전이 수확의 시작입니다”  ×1 제주특별자치도의용소방대연합회 여성회장 04-10
3982 (기고)제주 바다를 지키는 작은 실천, 플로깅의 힘 제주 해양수산연구원 김수강 04-10
3981 불법 소각, 더 이상은 안 됩니다  ×1 ×1 아라119 센터장 김승률 04-09
3980 두 바퀴 위의 제주, 변화의 길을 찾다  ×1 오명수 04-07
3979 산불, 우리 모두가 경각심을 가져야 할 때!  ×1 김제현 04-04
3978 [기고] 봄철 산불, “작은 부주의”가 대형 사회재난으로 이어집니다.   ×1 ×1 김지훈 04-04
3977 119구조대가 알려주는 봄철 안전하게 산행하기  ×1 제주소방서 119구조대 김현진 04-02
3976 고사리 채취 안전수칙!  ×1 제주특별자치도의용소방대연합회 여성회장 03-31
3975 서귀포시노인복지관, 고치모영봉사단 어반스케치팀 '겨울이야기25' 작품…  ×2 서귀포시노인복지관 03-27
3974 [기고] 오동통통 고사리 안전하게 따세요  ×1 제주소방서 119구조대 김현진 03-27
3973 (기고)김 육상양식산업의 미래, 제주 염지하수가 답이다  ×1 제주특별자치도 해양수산연구원 김수강 03-26
3972 (사)제주YWCA중등청소년방과후아카데미, ‘찾아가는 청소년 노동 인권 교육…  ×1 (사)제주YWCA중등청소년방과후아카데 03-19
3971 세계 물의 날을 맞이하여  ×1 고기봉 03-15
3970 (사)제주YWCA, ‘2025 1차 이사실무자 연수’ 진행  ×1 (사)제주YWCA 03-12
3969 길어진 바닷속 여름, 수산물이 사라지고 있다.  ×1 제주특별자치도 해양수산연구원 김수강 03-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