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감귤산업, 새로운 50년을 위하여
2019-02-22 15:05
이성돈 (Homepage : http://)
감귤산업, 새로운 50년을 위하여.hwp ( size : 523.00 KB / download : 13 )
제주에서 감귤이 재배하기 시작한 것은 1000여 년 전이다. 고려사를 보면 1052년(문종 5)에 제주의 토산물로 중앙정부에 매해 바치던 귤에 대한 기록은 귤 관련 우리나라 최초의 기록으로 알려지고 있다. 1968년 감귤 증산계획 이후 70∼80년대에 집중적으로 감귤이 식재되고 80∼90년대에는 대학나무라고 불릴 정도로 지역경제의 기반산업으로 성장하여 지금에 이르고 있다. 돌이켜 보면 산업으로서의 제주감귤의 역사는 50년 정도로 그다지 길지만은 않은 역사이다. 하지만 빠르게 변하는 대내외적 시장 환경과 소비자 트랜드 변화, 기후변화로 인한 제주 이외 지역의 감귤 재배 증가 등을 보았을 때 작금의 현실은 녹록하지만은 않다는 것을 느낀다.
미래 제주 경제의 한축으로 제주감귤산업이 지속 성장할 수 있기 위해서는 감귤 산업의 새로운 50년에 대한 청사진의 제시가 필요한 시점이다. 지금까지의 제주감귤 산업의 구조를 보면 생산 및 유통 전반에 걸쳐 행정 의존도가 높은 편이었으며 새로운 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처한다고는 하였지만 그 실천이 따르지 못하는 등 감귤 관련 생산자 및 유통조직 개선 등 시장 환경변화에 대응한 혁신이 필요하며 감귤 농가들의 자구노력이 더욱더 절실 한 실정이다. 감귤산업의 혁신은 법과 제도의 개선, 농업인들의 자구노력이 있어야 하는 부분이다. 법과 제도 개선의 핵심 축은 감귤 생산 유통조례이다. 지금까지의 감귤 정책은 정적생산 유도를 위한 보호적 정책이었다. 앞으로는 품질 좋은 감귤 생산은 자생적으로 활성화 되고 품질이 떨어지는 감귤은 스스로 도퇴될 수 있는 공정한 시장이 될 수 있는 시스템이 되어야 한다는 생각이다. 이러한 점에서 최근에 종전의 감귤상품기준을 크기 기준에서 당도 10브릭스 이상 감귤은 크기와 상관없이 유통할 수 있도록 생산유통 조례를 개정한 점은 감귤산업에서 큰 의미를 지닌다고 할 수 있다. 이와 아울러 앞으로 고품질 감귤 생산을 위한 과수원 정비를 통한 과감한 과원정비, 품종갱신, 이랑피복재배 실천 등 감귤 농업인들의 자구노력이 더욱 절실하다는 생각이다.
이제 겨울이 지나고 언 땅이 풀리면서 과수원 정비의 시즌이 다가오고 있다. 감귤산업의 새로운 50년을 준비한다는 마음가짐으로 오는 봄을 준비해야 할 때라는 생각이다. 고품질 감귤 생산, 소비자 트랜드에 맞는 상품출하 등 새로운 시대에 맞는 감귤 생산 및 유통환경이 정착된다면 제주감귤산업의 새로운 50년은 밝을 거라는 믿음을 갖는다.

No 제목 이름 날짜
3865 디지털 시대 어떻게 소통할까?  ×1 아라동주민센터 산업팀장 차무관 11-08
3864 중력식 하수 이송 시스템 단계적 전환   ×1 상하수도본부 하수도부 이윤재 11-08
3863 [기고] 비상구 관리의 중요성 : 폐쇄등 불법행위를 근절하자  ×1 구좌남성의용소방대원 우춘길 11-07
3862 [기고] 비상구 폐쇄 등 불법행위 신고포상제 바로알기  ×1 구좌여성의용소방대 서무반장 김순영 11-07
3861 지속가능한 제주, 친환경우수골프장의 가치  ×1 강윤정 제주특별자치도 물정책과 11-06
3860 대중교통 활성화  ×1 ×1 도민감사관 김용균 11-06
3859 [기고]우리나라 환경 정책의 태동과 변화,현 모습  ×1 오진우 11-05
3858 [기고] 비상구 폐쇄 등 불법행위 신고의 중요성  ×1 구좌남성의용소방대 지도부장 우민호 11-04
3857 플라스틱 덫으로부터 제주 지키기   ×1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3학년 김수연 11-04
3856 보행자의 날, 안전한 세상을 위한 우리의 노력 11월 11일, 보행자의 안전을 …  ×1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4학년이민수 11-03
3855 [기고]제주 바다 갯녹음, 지역 주민들의 적극적 참여 필요  ×1 강유민 11-02
3854 [기고] 비상구 폐쇄 등 불법행위 신고, 작은 실천이 생명을 구합니다  ×1 구좌남성의용소방대 부대장 주창범 11-02
3853 신엄중학교, 국화꽃 축제(꿩지빌레국화한마당축제) 성황리 개최  ×2 최병훈 11-01
3852 NH농협은행 제주시지부, (사)제주YWCA에 우리쌀 소비촉진을 위한 ‘아침밥 먹…  ×1 (사)제주YWCA 10-30
3851 자율방범대, 지역사회 안전을 위한 든든한 파트너! 곽대주 10-30
3850 [봉사활동] 제이피엠 임직원 헌혈 봉사 참여로 따뜻한 마음을 나누었습니다  ×1 (주)제이피엠 10-29
3849 (사)제주YWCA, ‘2024 가을 나눔바자회’ 성료  ×1 (사)제주YWCA 10-28
3848 홀로 사는 노인의 대한 소고  ×1 ×1 제주특별자치도사회서비스원 서귀포시종합 10-28
3847 도민감사관 하반기 분임활동을 마치며  ×1 ×1 도민감사관 김용균 10-26
3846 [기고]비상구, 우리의 생명을 살리는 희망의 길  ×1 ×1 고정훈 10-26
3845 주택관리공단 제주아라 주거행복지원센터, 입주민 봉사단 발대식 개최  ×1 김대홍 10-24
3844 주택관리공단 제주아라 주거행복지원센터 취약계층 찾아가는 음악회  ×1 ×1 강재운 10-24
3843 (사)제주YWCA중등청소년방과후아카데미, ‘오감을 활용한 직업체험’ 진행  ×1 (사)제주YWCA중등청소년방과후아카데 10-23
3842 제주 해녀를 위해 건강한 바다를 만들어주세요.  ×1 박민이 10-21
3841 [기고]운전자는 감속을, 보행자는 밝은 옷을  ×1 ×1 강태희 1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