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산읍 행복택시 열린 시책을 아시나요.
2018-11-20 21:46
성산읍 (Homepage : http://)

원본 이미지 크기입니다.
성산읍 행복택시 열린 시책을 아시나요.

우리가 살고 있는 지금 이 시대는 인터넷에서 원하는 정보를 검색하고, SNS에서 ‘좋아요’를 클릭하며, CCTV에 매 순간이 녹화되는, 일상적인 행위까지 모두 데이터화되고 있는 시대이다.

지난 3월 정부에서는 "정부혁신 종합추진계획"을 확정 발표하고 2022년까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가입 국가 중 더 나은 삶의 질 지수 및 정부 신뢰도 조사 10위권 진입과 국제투명성기구(TI) 부패인식지수 20위권 진입을 목표로 추진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현대 사회는 교통과 통신의 발달로 생활의 범위가 확대되면서 지역 공동체 의식이 약화되고 있다. 지역공동체 회복을 위해 대부분의 지자체에서 마을공동체 만들기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마을공동체 만들기 사업은 공동체 정신을 회복하기 위한 시대적 흐름이자 새로운 정책과제라 할 수 있다.
 ‘마을’은 이웃간의 관계망이며 ‘공동체’는 공통된 관심사를 공유하는 사람들의 집단이다. 즉 마을공동체는 이웃과 공통된 ‘관심사를 공유’하고 ‘관계’를 만들어 ‘공간을 꾸며나가는 것’이다. ‘한 아이를 키우려면 온 마을이 필요하다’는 아프리카 속담이 있다. 아이가 잘 크려면 이웃, 학교, 지역이 관심을 갖고 도와야한다는 속뜻이 담겨있다.    다양한 분야의 지역현안을 주민 스스로 해결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유럽의 주요도시들은 시민들이 자신들과 환경을 위해 평범한 사람들이 시민으로서 자신들이 가장 직접적으로 관심을 가지는 문제들을 관리할 수 있는 공간을 만들고 활발히 활동한다고 한다.
참여와 소통의 경험은 시민사회와 정부가 서로를 신뢰하게 만든다. 그리고 그렇게 쌓인 신뢰를 통해 우리는 한 번도 제대로 경험하지 못한 진정한 협치를 실현할 수 있는 기회를 얻는 것이다.

성산읍에는 세계자연유산 일출봉 외에 명물이 하나 더 있다. 어르신들이 1000원만 내면 읍내 곳곳을 누빌 수 있는 ‘1000원 행복택시’가 그것이다.
행복택시는 교통약지인 어르신들의 이동편의 증진 및 사회활동 참여 확대를 위해 2016년부터 성산읍의 열린 혁신 특수 시책이다.
성산읍의 행복택시 열린 혁신 시책은 제주도 대중교통체제 개편에도 한 핵심이 되고 있다.

정부가 추진하는 정책 하나하나가 지역 발전의 단초가 되어 우리가 주도하는 새로운 미래를 열어 가리라는 것을 확신하며, 보다 나은 내일을 향한 열린 혁신 추진에 주민의 참여를 확대함으로써 주민과 함께하는 열린 혁신을 구현해 나가는 과정이라고 생각한다. 

성산읍 주민자치위원 고기봉

No 제목 이름 날짜
3915 제주의 자연자원, 우리의 미래를 지키는 책임  ×1 박지희 12-17
3914 [기고] 화목보일러 안전하게 사용하기  ×1 ×1 효돈119센터 소방사 임재윤 12-17
3913 (사)제주YWCA ‘문주란(간병사)클럽’ 제주대학교병원에 성인 기저귀 1200장 …  ×1 (사)제주YWCA 12-16
3912 (사)제주YWCA, ‘2024 2차 이사실무자 연수’ 진행 (사)제주YWCA 12-16
3911 “기후위기와 탄소 중립 지금 행동하지 않으면 늦습니다.” 탄소 중립을 …  ×1 허승주 12-14
3910 제주도, 쓰레기 위기 속 '제로 웨이스트' 도전  ×1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하현영 12-13
3909 (사)서귀포YWCA, 기부의날 주간기념 사랑나눔바자회 개최  ×1 서귀포YWCA 12-12
3908 제주의 농업과 환경 문제: 감귤 재배와 지속 가능한 미래  ×1 제주대 행정학과 하현영 12-10
3907 "탄소를 줄이고 미래를 채우다, 탄소중립 이야기"  ×1 백시진 12-10
3906 "탄소발자국 줄이기, 걷기에서 ESG로 이어지는 길"  ×1 백시진 12-10
3905 "기후변화의 시대, 우리의 선택은?"  ×1 백시진 12-10
3904 "기후변화의 시대, 우리의 선택은?"  ×1 ×1 백시진 12-10
3903 오조리, 단기적인 관심보다는 지속적인 관심이 필요할 때  ×1 김다영 12-09
3902 해수면 상승, 이젠 남의 일이 아니다  ×1 현주환 12-09
3901 모두의 권리를 위한 한 걸음  ×1 부유민 12-09
3900 기후 위기의 시대, 제주 농업을 지켜라!  ×1 김재원 12-08
3899 고요한 산 속의 비명: 산림 보호를 위한 우리의 역할  ×1 강주현 12-07
3898 메리 크리스마스, 화려한 조명 아래 드리운 그림자  ×1 신하늘 12-06
3897 제주도 요일별 배출제, 지속 가능한 환경을 위한 첫걸음일까?  ×1 ×1 박환희 12-05
3896 제주의 숨겨진 보물, 오름의 현실  ×1 오승민 12-05
3895 일회용컵 보증금제도 아시나요?  ×1 ×1 청정제주환경모니터단 부단장 김용균 12-04
3894 일회용컵 보증금제도 아시나요?  ×1 ×1 청정제주환경모니터단 부단장 김용균 12-04
3893 기후감수성의 시대, 우리의 미래는 달라질 수 있다  ×1 김수민 12-04
3892 대설을 맞이하여, 겨울철 화재 예방 안전 수칙을 되새기고 안전한 겨울을 … 현주희 12-04
3891 12월 5일 자원봉사자의 날, 제주 환경을 지키는 작은 손길 김재원 12-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