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칙과 융통성 사이에서 갈등하는 중국수출
2017-06-27 15:55
윤진만 (Homepage : http://)

원본 이미지 크기입니다.
원칙과 융통성 사이에서 갈등하는 중국수출

필자가 중국에서 한국에 온지 얼마 되지 않아 비교적 큰회사의 초청을 받아 방문한 적이 있다. 그 회사의 중국팀도 참석하였는데 여러 내용 중에 비공식적 유통과 수출에 대한 문의가 화제였다.

필자는 중국에 18년 간 있으면서 오랜 기간 통상 및 유통관련 업무를 할 때 규정에 맞지 않는 업무나 편법?탈법을 고려하지 않아 이 부분에 대해서는 잘 알지 못한다. 한국에서 중국수출과 유통시장에 대해 대화할 때 관련법과 절차가 아닌 부분은 ‘잘모른다’ 또는 ‘권장하지 않다’고 하면 다들 고개를 갸우뚱 거린다. 그 분야 전문가가 아니란 표정이다. 돌이켜 보면 그럴 만도 하다는 하다는 생각이 든다,

필자가 만났던 회사나 사람들 대부분은 중국의 규정을 벗어난 업무에 치중해 왔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규정을 벗어난 방식을 비방할 생각은 전혀 없다. 최소한 해당국가의 법과 규정은 무엇인지, 왜 그런 규정을 지켜야 하는지를 먼저 알고 나서 그 다음 계획을 추진했으면 하는 바람이다.

사드국면이 되면서 수출길이 막혔다고 아우성이다. 심심찮게 신문에서 중국 현지에서 수출된 한국 화장품을 되돌려 보낸다는 언론보도도 나온다. 필자의 업무상 우회적으로 중국 통관 관련자와 연락이 닿아서 물어 보았다. 그의 말은 “아무리 한국 사드로 양국관계가 격앙돼도 법규 규정에 맞게 들어오는 부분은 막을 방법이 없다”라는 말이다.

사실일까? 사드 문제가 본격화되는 지난해 8월경 필자가 운영하는 회사에서 중국위생국에 23개 화장품에 대해 위생허가를 신청했다. 이미 총21개를 획득했다. 10개는 평균6개월 소요,11개는 7개월 소요가 되었다.
사드로 인한 양국 간의 갈등 관계가 절정에 달했을 때 일어난 일이다.
이어서 17년 2월에는 약 12만 불, 3월 10만 불, 5월 12만 불 등 총 35만 불을 중국에 정상적으로 통관절차를 거쳐 물류창고에 입하가 끝났다. 한 쪽에서는 사드로 수출이 전혀 안된다고 하고, 다른 쪽에서는 수출이 정상으로 진행되고 있는 현실을 어떻게 설명해야 할까. 이 모습이 현실이다.

위생허가 전에 반드시 상표출원을 먼저 해야 한다. 상표등록증을 취득하고 나서 위생허가 신청에 들어가는 게 올바른 절차다. 위생허가가 먼저 나오고 상표출원이 안되어 있으면 공인된 매장에 입점이 안된다. 중국의 제도다. 대 중국 수출 유통 관계자들께 매번 강조했던 사항이지만 지금까지 이런 절차를 제대로 밟았던 분들은 거의 없었다. 그런 상황에서 사드문제로 중국정부가 법적 잣대를 엄격히 대니 편법에 의존했던 많은 수출업체들이 추풍낙엽처럼 나가 떨어진 것이다.

아무리 바쁘고 상황이 어렵다 하더라도 규정이라는 원칙안에서 움직여야 한다. 그것이 기본이다. 기본을 지켜야 탄력성도 가질 수 있다. 규정과 원칙을 무시한 채 로는 링 위에 오를 자격이 없게 된다. 제주의 가치와 원칙을 가지고 한번 도전해 봐야 하지 않겠나! 여전히 시장은 존재하고 길은 열려 있다.

(사)중소기업융합제주연합회 국제통상교류회 회장 윤진만

No 제목 이름 날짜
3365 야외활동의 계절 진드기 조심하세요  ×1 ×1 김성봉 03-28
3364 작지만 큰 변화를 위한 행복 제안  ×1 고기봉 03-27
3363 일회용품 없는 제주를 위한 노력, 미래 세대 그리고 환경 보호를 위한 변화  ×1 ×1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신서현 03-27
3362 병역 의무자들을 위한 군 적금 간단히 알아보자  ×1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임성렬 03-26
3361 상상이 현실이되는 곳 메이커스페이스  ×1 제주시니어클럽 03-26
3360 서부종합사회복지관, 아동들의 지역, 교육격차 없이 꿈꾸는 내일을 위한 첫…  ×1 서부종합사회복지관 03-23
3359 블루카본의 흡수원, 염생식물을 주목하자  ×1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강미선 03-22
3358 봄바람이 분다  ×1 효돈119센터 김순아 03-22
3357 제주 관광, 이대로 괜찮은가  ×1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김성환 03-21
3356 병역 의무자들을 위한 군 적금 자세히 알아보자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임성렬 03-20
3355 제주가 낳은 찔레꽃 가수 ‘백난아 기념관’에 대하여  ×1 서귀포시 상효동 장문석 03-20
3354 제주가 낳은 찔레꽃 가수 '백난아 기념관'에 대하여  ×1 양문석 03-20
3353 제주평생교육카드로 평생학습권을 누리세요   ×1 평생교육팀장 문원영 03-20
3352 3월 22일은 세계 물의 날, 제주의 물 반드시 지켜내야!  ×1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김현진 03-12
3351 3.8 세계여성의 날 기념 촛불의식 및 세미나 (주제: “백 년을 먼저 불던 바…  ×2 BPW한국연맹 제주클럽 03-11
3350 서귀포종합사회복지관, 서귀포신협부녀회와 함께 3년만에 어르신을 위한 …  ×1 서귀포종합사회복지관 03-10
3349 제주시 청년 행복 소통e, 직접 민주주의 꽃피웁니다!  ×1 제주시 청년지원팀장 이명기 03-10
3348 3.8 세계여성의날 기념 BPW한국연맹 제주클럽  ×1 BPW KOREA JEJU 03-08
3347 3.8 세계여성의 날 기념 BPW 한국연맹 제주클럽   ×1 bpwkoreajeju 03-08
3346 3․8세계여성의날 기념 YWCA제주특별자치도협의회-제주경찰청 간담회 개최  ×1 (사)서귀포YWCA 03-08
3345 제주시 청년 행복 소통e, 직접 민주주의 꽃피웁니다!  ×1 ×1 제주시 청년지원팀장 이명기 03-08
3344 「흙의 날」에 생각해보는 흙의 소중함  ×1 ×1 비밀글 조정훈 03-07
3343 열린평생학습디자인에 도민제안을 담는다  ×1 ×1 문원영 03-06
3342 기고(인공지능 스마트경로당 본격 추진)  ×1 제주도청 유은숙 03-06
3341 왜 제주는 분산에너지 특구 지정을 위해 노력하는가  ×1 ×1 에너지산업과 오정헌 03-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