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억력·주의집중력·의사소통 능력 유지하는 열쇠… ‘어휘력’그림책·신문 통해 삶과 연결하며 표현 확장·일상 어휘 학습
[한라일보] 글을 배우기 시작한 한 할머니가 손녀에게 쓰는 첫 번째 편지. 그림책 '할머니의 첫 편지'(김인자 글·배민경 그림·단비어린이 펴냄)는 문해교육을 시작한 어르신들의 마음을 대변하듯, 단어 하나하나를 정성껏 꾹꾹 눌러 쓰는 장면으로 시작한다.
이 그림책은 단순한 이야기를 넘어, 배움의 늦고 긴 여정을 걸어가는 이들에게 응원과 감동을 전한다. 그리고 우리는 이 책을 통해 어르신들에게 '단어의 소중함'과 '말의 힘'을 알려줄 수 있는 특별한 수업을 구상할 수 있다.
고령화 사회에서 '어휘력'은 단순한 언어 능력이 아니라 기억력·주의집중력·의사소통 능력을 유지하는 열쇠다. 특히 경도인지장애를 겪고 있거나, 인지 저하가 우려되는 시니어에게 어휘력 훈련은 뇌의 활성화와 삶의 질 향상에 효과적인 접근법이 될 수 있다.
그림책은 단어의 의미를 맥락 속에서 익힐 수 있도록 돕는 매체다. '할머니의 첫 편지'는 익숙하면서도 쉽게 쓰이지 않는 단어들이 등장한다. '서툴지만', '정성스럽게', '두근거리는 마음', '글을 몰라 부끄럽던 시절' 등 시니어 참여자들은 이 단어들을 읽고, 뜻을 추측하고, 자신의 삶과 연결지으며 표현을 확장해 볼 수 있다. 여기에 신문 기사를 더하면 일상에서 사용되는 어휘를 학습하고 사회적 관심사를 이해하는 데도 도움이 된다.
그림책과 신문이라는 매체의 조합이 시니어에게 부담을 주지 않으면서도 의미 있는 학습 자극을 준다는 점이다. 익숙한 일상 소재, 감정을 담은 언어, 사회적인 맥락을 동시에 경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요즘은 '노년 문해교육'과 '시니어 그림책 프로그램'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단순히 글자를 익히는 것을 넘어서, 어휘력을 중심으로 감정 표현과 사회적 소통을 연결 짓는 접근이 더욱 필요하다. '할머니의 첫 편지'는 그런 점에서 좋은 출발점이 된다.
누군가에게 편지를 쓰기 위해 단어를 배우고, 익힌 단어로 마음을 전하고, 그 편지를 통해 또 다른 이야기로 이어지는 수업. 그것은 어르신에게 언어의 기쁨을 회복하게 하고, 우리가 잊고 있던 말의 따뜻함을 다시 일깨워주는 시간이다.
과거, 누군가에게 마음을 전하기 위해 우리는 손편지를 썼던, 이제는 추억이 된 이야기지만 삐뚤빼뚤한 글씨 사이로 감정이 묻어나고, 우체통에 넣은 편지 한 통이 며칠 혹은 몇 주 후 도착하던 그 시절. 기다림은 설렘이었던 이야기 회상 만으로도 시니어 인지 훈련과정에서는 자신의 이야기를 시작할 실타래로 충분한 역할을 한다.
그러나 지금은 버튼 하나로 영상통화가 연결되고, 손가락 몇 번의 터치로 짧은 메시지를 주고받는다. 속도는 빨라졌지만, 키오스크로 음식을 주문하는 등 빨라진 디지털 환경에서 시니어들은 또 세상으로부터의 소외감을 느끼고 있을 것이다.
새롭게 배우는 것, 새롭게 배우는 것을 긍정적으로 받아들이는 것. 할머니의 첫 편지의 힘과 에너지를 얻어가는 기회의 시간이기도 하다.
<연재팀/미디어교육연구회'ON'>
수업 계획하기
▶수업 대상 : 시니어
▶수업 주제 : 그림책과 신문을 활용한 두뇌 인지 훈련 교육
▶활용 그림책 : '할머니의 첫 편지'(글 김인자, 그림 배민경, 단비어린이 펴냄)
▶활용 신문 : 표정과 상황을 알 수 있는 사진 기사
▶수업 성취 기준
-그림책을 활용해 감성자극 및 정서적 안정을 가져온다.
-신문을 활용해 일상과의 연결, 사회적 교류를 증진시킨다.
-활동을 통해 기억력, 언어력, 집중력, 시공간 지각력 등 인지 기능을 강화시킨다.
▶도입 : 사진 기사 속 이야기 나누기
-신문에서 사진 기사 속 상황과 감정 유추해보기
-신문 속 상황과 감정에 맞는 감정 이모티콘 스티커 붙이기
▶전개 : 오늘의 그림책 '할머니의 첫 편지' 읽기
-그림책을 함께 읽으며 내용 이해하기
-그림책을 함께 읽으며 그림책 속 할머니의 마음 이해 하기
-할머니는 학교에서 어떤 하루를 보내셨나요? 할머니는 몇반이고 그 반의 친구는 몇 명인가요? 할머니는 누구에게 왜 편지를 썼나요? 또 어떤 수업을 좋아하실까요?
▶활동 :
1. 우리도 해봐요! <받아쓰기>
2. 어휘력 훈련 <낱말퍼즐>
3. 감정 이모티콘 스티커 붙이기
4. 역사 속 달라진 소통 방식 변화 순서 대로 나열하기
▶정리 : 나만의 첫 편지 공유하기
■기사제보▷카카오톡 : '한라일보' 또는 '한라일보 뉴스'를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 064-750-2200 ▷문자 : 010-3337-2531 ▷이메일 : hl@ihalla.com
▶한라일보 유튜브 구독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