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지문화 서귀포’, 시민과 마을 주도로 산남이 움직인다

‘노지문화 서귀포’, 시민과 마을 주도로 산남이 움직인다
문화도시 서귀포 지정, ‘노지문화’로 정면승부
  • 입력 : 2019. 06.11(화) 22:43
  • 이재정시민기자
  • 글자크기
  • 글자크기

토론 간담회서 시민 관계자들에게 설명하고 있는 김태엽 부시장

‘문화도시’란 무엇일까. 이 화두를 잠시 비켜두고 한라산, 올래, 푸른밤-긴밤, 짧은밤을 생각해 보자. 한라산에서 짧은 밤까지 제주도 소주 4종의 비교 시음기(혹은 블랙유머가)가 한때 유행한 적이 있다.

실은 이것도 제주도 고유의 노지소주를 간과한 도시 마케팅 전문가들의 결정적 오류의 사례로 남게 되었다.

105개 마을이 가꾸는 노지(露地)문화 서귀포를 이야기하기 전, ‘문화도시’가 한반도를 잠식한 건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지만 2019년 12월 문화도시 지정을 위해 지난 10일 다양한 시민워킹그룹 활동이 시작되면서 문화도시의 정의가 섬을 다시 한 번 강타하고 있다.

지난 5월 13일 서귀포시 문화도시 추진위원회(위원장 현을생)가 스타트했고, 10일 라해문 위원의 문화도시 이해하기 설명이 전개되었다.

이에 맞춰 필자는 문화도시 지정을 위해 한라산(노지 소주)을 적극 활용해 볼 것을 추천한다. 이는 오래전 논의된 유럽의 문화(수도)도시 기원설보다 ‘왜 문화도시인가’에 대한 질문으로 중요하고 또 4개월 정도 짧은 시간 안에 시민들의 인식 공유를 위해서도 훌륭한 은유가 되리라 생각된다.

어쩌면 18세기 이후 몇 차례 진화되어온 산업 중심적 혁명의 한계를 인정하고 그 해답을 문화예술인들의 활동에 기대해보자는 새로운 패러다임의 도입이다. 연말 문화도시 지정을 앞둔 서귀포야말로 새로운 패러다임이 필요하다.

질문은 다시 ‘다른 도시보다 문화적 사적이 많으면, 문화예술 활동이 활발하면’ 지정에 유리한가로 이어진다.

그럼 경주 같은 유산 자원을 보유한 도시는 서귀포보다 유리할까? 포항처럼 최근 공업도시 패러다임을 버리고 문화산업도시로 전환하는 경우는 서귀포보다 불리할까라는 질문으로 연결된다.

또 1년에 3억 5000만원의 공공자금을 투입하는 지역주민협의회 활동의 경우, 문화예술 활동 베이스로 문화도시 지정에 도움이 될까까지 이어지고 결국 일제강점기 황금알 근대유산을 가진 서귀포는 문화도시 지정에 또 얼마나 유리할까를 예측하게 된다.

광주아시아 문화중심도시처럼 중앙주도형도 아니고 부산 영상문화도시 혹은 전주 전통문화도시 같은 중앙지원형도 아닌 서귀포시의 경우 바다와 식생을 저변으로 한 생태 환경적 황금알을 절대 놓쳐서 안 된다는 근원적 결론에 도달하게 된다.

문화도시 이해하기란 이처럼 원론적인 것이다. 덕분에 위원회 중심, 워킹그룹, 라운드테이블 등의 명사 구호형의 어려운 이름을 동원하기보다는, 짧은 기간 ‘노지문화 서귀포’에 관한 어려움을 돌파하기 위해서는 쉽게 가야 한다.

노지문화, 차라리 지역 주류업체 한라산과 함께해 보는 건 어떨까? 노지소주 문화가 정착되어 있는 화산섬 제주에서 신선한 모델을 등용, 흰병, 파란병과 함께 포스터를 활용 도내 구석구석을 누비고 또 이마트 프렌차이즈로 전국구를 섭렵한다면 답은 쉽게 나올 수 있다.

이 좋은 인프라 활용을 배제하고 짧은 시간과 용어 중심의 극장판 프로그램에 의존하는 집단적 오류를 조심하자.

구억리의 옹기처럼 거점마을의 훌륭한 문화사례들을 구슬처럼 잘 엮고 지역주민들의 이미지를 한라산 노지소주 플랫폼에 잘 얹혀만 준다면 ‘시작부터 성공하는’, 노지문화 서귀포의 꿈은 생각보다 가까이 존재한다.
  • 글자크기
  • 글자크기
  • 홈
  • 메일
  • 스크랩
  • 프린트
  • 리스트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밴드
기사에 대한 독자 의견 (0 개)
이         름 이   메   일
8241 왼쪽숫자 입력(스팸체크) 비밀번호 삭제시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