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내 하천 체계적 국가관리 절실

도내 하천 체계적 국가관리 절실
60곳 모두 지방하천… 道 예산 달려 수방대책 한계
  • 입력 : 2009. 07.06(월) 00:00
  • 문미숙 기자 msmoon@hallailbo.co.kr
  • 글자크기
  • 글자크기
전문가들 "국가하천으로 격상 지원돼야"
수자원공사, 천미천과 한천 현장 조사


제주도내 지방하천의 일부를 국가하천으로 승격시켜 체계적인 관리가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국가하천의 경우 정비·관리 예산이 모두 국비로 지원돼 근본적인 치수대책 수립이 한층 탄력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제주도에 있는 60개 하천은 모두 지방하천으로 국가하천은 단 한 곳도 없다. 최근 지구온난화 등 뚜렷한 기후변화로 제주에서도 집중호우 등 재해발생빈도가 늘어나고 있다.

하지만 지방하천은 설계빈도가 국가하천의 절반수준에 그치면서 통수기능 저하 등으로 2007년 태풍 '나리'와 같은 물난리가 언제 닥칠지 모르는 상황이다. 하천 정비의 중요성이 강조되는 이유다.

▶국가하천 설계빈도 지방하천의 갑절= 국가하천의 경우 설계빈도가 100~200년 빈도의 홍수에 대비할 수 있도록 설계되고 있다. 반면 지방하천은 50~100년의 설계빈도로 국가하천의 절반 수준에 그친다. 특히 정부는 도심을 관통하는 국가하천의 경우 가능한 200년 빈도의 홍수에 대처할 수 있도록 권하고 있다.

제주시는 태풍 '나리'때 범람해 홍수피해가 컸던 제주시 도심을 흐르는 4대하천의 중·상류 11곳에 811억원을 들여 추진중인 저류지의 경우 강우빈도를 100년으로 시설중이다.

또 홍수피해가 우려되는 광령천, 어시천, 토천, 화북천, 조천 등 5개 하천도 하천기본계획을 변경해 50년 설계빈도에서 100년으로 상향 조정을 추진중이다.

▶천미천·한천 국가하천 추진= 제주자치도는 올해 2월 제주시 도심을 관통하는 한천과 서귀포시 성읍리 천미천을 국가하천으로 지정해 주도록 정부에 신청해놓고 있다.

제주자치도는 이에 앞서도 천미천과 효돈천 등을 국가하천으로 지정해 주도록 수 차례 건의한 적이 있지만 번번이 반영되지 않았다.

국가지정 민속마을인 성읍1리를 관통하는 천미천은 집중호우 때마다 상습침수 지역으로 정비가 수시로 이뤄지고 있다. 제주시 도심을 관통하는 한천 하류 역시 태풍 '나리' 때 유례없는 물난리를 겪었던 곳이다.

국가하천으로의 승격 여부에 대한 타당성연구용역을 수행중인 한국수자원공사는 이달초 천미천과 한천에 대한 현지확인을 다녀갔다.

이와 관련 제주도 관계자는 "천미천은 성읍민속마을을 끼고 있어 국가하천으로 격상될 수 있는 요건을 어느정도 갖췄지만, 한천은 유역면적이 34.57㎢로 국가하천 최저기준인 50~150㎢에 못미치는 상황"이라며 "하지만 한천이 제주시 도심 한복판을 흐르는 하천인만큼 국가하천으로 지정될 수 있도록 요구하고 있다"고 말했다.

고병련 제주산업정보대학 교수는 "하천의 크기나 유역면적이 기준에 못미치더라도 홍수의 세기 등 재산피해 가능성이 있는 일부 지방하천을 국가하천으로 지정받을 수 있도록 제주도의 노력이 절실하다"고 말했다.
  • 글자크기
  • 글자크기
  • 홈
  • 메일
  • 스크랩
  • 프린트
  • 리스트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밴드
기사에 대한 독자 의견 (0 개)
이         름 이   메   일
8196 왼쪽숫자 입력(스팸체크) 비밀번호 삭제시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