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 문인들이 열정을 불태운 창작활동의 결실들을 잇따라 전해오고 있다. 마음을 두드리는 감성 시어들이 가득한 시집들을 묶어 소개한다. 지난 봄부터 최근까지 도착한 시집들이다. # 강순자 시집 '겨울 엽서' 강순자 시인…
▶이청준 평전(이윤옥 지음)=20년 가까이 이청준의 육필 초고와 메모, 일기와 편지, 최초 발표본과 단행본을 모두 읽고 분석해 온 평론가 이윤옥이 소설가 이청준의 삶을 글로써 복원한 오롯한 기록이자 특별한 '이청준 전작 읽…
[한라일보] 30대부터 60대까지 나이도 직업도 다른 아홉 작가. 그들의 공통점은 꾸준하게 글을 쓰며 삶의 변화를 스스로 이뤄냈다는 점이다. 책 '지금 당신이 글을 써야 하는 이유'(봄름 펴냄)는 "글쓰기로 인생이 달라질 수 있을…
지역 문인들의 창작 열정으로 결실을 맺은 시집들이 잇따라 도착하고 있다. 지난 봄부터 전해온 시집 중 한그루 시선(24~29)을 묶어 소개한다. # 김순선의 '사람 냄새 그리워' 시집의 배경은 주로 병실이다. 병마와 싸우는 환자와…
▶이별은 웰메이드 영화처럼(강준 지음)=제주 극작가 겸 소설가 강준이 3년간 각종 문학지에 발표했던 소설을 묶어 책을 냈다. 이중 '우영팟'은 땅의 의미와 가족 해체의 문제를, 표제작인 '이별은 웰메이드 영화처럼'은 강림처…
▶여름의 루돌프(김성라 지음)=김성라 작가의 세 번째 제주 이야기. 고사리 소풍, 봄의 숲, 차갑고 달콤한 귤에 이어 이번엔 여름을 맞은 바닷가마을 이야기가 펼쳐진다. 덥고 습하다가도 한 줄기 바람에 두 뺨이 시원해지는 여름, 섬마을에서 평생을 해녀로 살아온 할머니들과 도시의 더위를 피해 할머니의 북쪽 방으로 피서를 간 '나…
정체성 찾아가는 한 아이의 성장 이야기 [한라일보] '문제아'(도토리숲 펴냄)는 영화 '서치'의 한국계 배우 존 조가 LA 폭동을 배경으로 직접 겪은 가족 이야기를 바탕으로 쓴 자전적 어린이 청소년 소설이자 작가로서의 첫 데뷔…
▶제주문화의 원류 해민정신(김정숙 진관훈 강만익 정지훈 공저)=문화지리학자로서 제주인의 정체성 규명에 평생을 매달렸던 故 송성대 교수의 역작을 대중들에게 보다 쉽게 소개하기 위해 펴낸 것이다. 고 송성대 교수는 1996년 제주문화를 문화지리학자의 시선으로 해석한 '제주인의 해민정신'을 출간해 제주의 정체성, 지역 정신…
[한라일보] "나는 삼달다방이 사람이 이어지는 공간이기를 희망한다. 건강한 우리 사회 공동체를 생각하고 대안을 모색하고 활동을 연대하며 선한 영향을 주고받는 사람들이 있는 공간이기를 희망한다. 더불어 징검다리처럼 건…
[한라일보] 저자는 2021년 제주 선흘 마을에서 진행한 드로잉 프로젝트 '할머니의 예술 창고'를 계기로 마을 할머니들에게 그림을 가르치게 됐다. '할머니의 그림 수업'의 첫 장은 그렇게 열린다. 저자인 화가 최소연 작가는 여덟…
[한라일보] 서른 가지의 라면 이야기가 담긴 '둘이서 라면 하나'(한그루 펴냄)는 제10회 브런치북 출판 프로젝트에서 특별상을 수상한 원작을 바탕으로 한다. 책 읽기가 취미인 유자(이하림)와 그림 그리기가 취미인 모과(이성룡…
[한라일보] 2016년 서울에서 제주로 삶터를 옮긴 홍시야 작가는 작품의 원천이 되어주는 제주의 나무를 위해 100그루의 나무 그림을 '나무 마음 나무'(열매하나 펴냄)에 담았다. 인간과 나무, 인간과 비인간 존재가 공존하길 꿈꾸…
▶서울 이데아(이우 지음)=잃어버린 고향, 원형을 찾아 나선 한 청년의 지독한 방황기. 준서는 스무 살의 모로코 교포이다. 꿈꾸던 서울의 대학생이 된 그는, 자신을 매혹했던 환상을 찾아 서울을 방황하기 시작한다. 신촌의 캠퍼스부터, 홍대 번화가, 그리고 촛불로 가득한 광화문 광장까지. 서울은 진짜 그가 바라던 마음의 고향이 …
[한라일보] 교육혁신가이자 미래학자인 마크 프렌스키는 지금의 청소년을 날 때부터 테크놀로지와 한 몸을 이룬 ‘하이브리드형 인간’이라고 정의한다. 그가 20년 전에 제시한 신조어인 ‘디지털 원주민’ 1세대기도 하며, 지…
국힘 제주도당 원희룡 이어 이번엔 이준석 제주 출마 요청
헬스케어타운 녹지병원 자리에 민간병원 추진되나
은퇴 급증, 신규 찔끔.. 앞날 걱정되는 여섯 번째 '해녀의 날'
배우 재희 고향사랑기부 제주 홍보대사로 나선다
제주도교육청 중등교육과장에 강승민 국제교육원장
어승생정수장 물부족 해결 지하수 개발 추진 '논란'
제주도의회 '천원 아침밥' 제도화 추진 현장 행보 눈길
제주 31개 의료기관 25일부터 수술실 CCTV 가동
[양기훈의 제주마을 백리백경.. 가름 따라, 풍광 따라] (47)중…
[서귀포시민의 책과 함께하는 책읽는 가족] (7)몬스터 차일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