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청년보장제, 빠짐없는 전달체계를 통한 정책 빈공간 해소
2023-09-01 10:38
김신관 (Homepage : http://)
제주의 청년인구는 2020년 17만 2천 명에서 2022년 16만 4천 명으로, 올해 7월 현재는 16만 명으로 지속적인 감소세에 있으며 2018년 이후 순유입 청년인구 감소 후, 현재 순유출로 전화되고 있는 시점에 있다. 이러한 현상은 제주에서 청년으로 살아가기가 녹녹치 않다는 것을 방증한다.

이전에도 청년 문제를 해소하고 청년들의 사회진출과 적응을 지원하는 다수의 정책이 있었다. 하지만 있는지조차 모르는 청년들도 많으며 정책 정보가 파편적이고 부서별로 분산되어 있어 접근하기도 쉽지 않았다.

민선 8기 도정의 제주청년보장체 핵심 추진방향 중 하나인 ’빠짐없는 전달체계‘는 ’온라인 플래폼 및 ‘맞춤형 코디네이팅’, ‘청년이어드림(Dream)지원금’을 통해 청년 맞춤형 정책 전달체계를 구축․운영하는 것이다.
특히, ‘청년이어드림지원금’은 사회적 고립청년 및 니트청년, 원거리 지역인 읍․면 지역 거주 청년 등을 포함한 모든 청년들에게 맞춤형 코디네이팅과 연계하여 ‘상담 및 연계, 피드백’ 등 진로탐색을 위한 단계별 비용을 제공해줌으로써 청년들의 부담 없이 청년정책 보장영역(도전보장, 기회보장, 자립보장, 참여보장)으로 끌어들여 각자의 상황에 맞는 청년정책을 선택하고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에 더해 청년들과 함께 소통하며 정책에 대한 피드백을 받아 그들이 원하는 정책 마련과 집행으로 정책의 ‘빈 곳’이 없도록 촘촘히 살핀다. 결론적으로 통합적·선제적·맞춤형 정책서비스를 제공함으로 정책을 몰라서 그 혜택을 받지 못하는 청년이 없도록 ‘빠짐없이’ 청년의 삶을 보장해 나가겠다는 정책이다.

산재한 정책에 대한 통합적 관리체계 및 전달체계를 통해 청년들의 자립을 돕고 실질적으로 청년이 체감하여 제주청년들에게 반드시 꿈과 희망이 가득한 내일이 실현되어 지길 바란다.

No 제목 이름 날짜
N 제주시여자단기청소년쉼터, 홈커밍데이 개최  ×1[1] 제주시여자단기청소년쉼터 04-05
N (사)제주YWCA 디지털성범죄특화상담소, 통합상담소 3·8 여성의날 맞이 캠페…  ×2[4] 진애령 03-07
N ‘그린워싱’주의하세요! -올바른 친환경 인증 마크를 확인하자  ×1 ×1[2]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고민희 09-26
3593 [기고] 제주 바다에 일렁이는 플로깅 물결  ×1 양세하 12-09
3592 (사)서귀포YWCA, 제주여성친화도시를 위한 대중매체 성평등 시민모니터사업 …  ×1 (사)서귀포YWCA 12-08
3591 < 2023 강연소감 기록>세계시민강좌 [세계적인 로봇 공학자 데니스 홍, 특별…  ×2 홍수경 12-07
3590 (사)제주YWCA 고미연 회장, ‘제 28회 소비자의날’ 기념식 대통령 표창 수상  ×1 (사)제주YWCA 12-07
3589 서귀포시서부종합사회복지관 예래동 찾아가는 복지상담소 운영  ×1 서귀포시서부종합사회복지관 12-06
3588 물, 아껴야 마르지 않는다. 비밀글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김수연 12-04
3587 물, 아껴야 마르지 않는다.  ×1 비밀글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김수연 12-04
3586 피어나리다함께돌봄센터‘함께하는 김장 김치’ -김장김치 담그기&주변이…  ×2 피어나리 다함께돌봄센터 12-01
3585 서귀포시서부종합사회복지관 찾아가는 복지 상담소 운영  ×1 서귀포시서부종합사회복지관 11-30
3584 “제주특별자치도청소년자립지원관”, “탑동 365일 의원”과 MOU 체결  ×1 제주특별자치도청소년자립지원관 11-30
3583 별장 중과세 일반과세로 도내 지역 경제 활성화 기대  ×1 고종필 11-30
3582 포지티브 임팩트 메이커즈, 서부종합사회복지관에 심폐소생술도우미키트 2…  ×1 서부종합사회복지관 11-29
3581 감귤산업 상생을 위한 비규격 감귤 시장유통 근절 절실  ×1 제주특별자치도개발공사 감귤관리팀 이장 11-29
3580 사회적경제활성화 제주네트워크, 운영위원회 개최  ×1 서귀포YWCA 11-28
3579 청년 맞춤형 정책 전달체계(청년이어드림) 시범운영 추진   ×1 김신관 11-28
3578 반디지역아동센터 창작연극 ‘우리는 연극배우다 LEVEL UP’ 발표회 진행  ×1 반디지역아동센터 11-27
3577 눈 속의 안전한 여정, 겨울의 한라산을 향해  ×1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하상윤 11-27
3576 거꾸로 환경 정책이 불러온 제주 내 일회용품 규제 휘청 잇따라...  ×1 강지윤 11-26
3575 기후변화로 사라지고 있는 특산품  ×1 김찬우 11-25
3574 전파분야 지역인재육성을 위한 전파측정 기술교육 특강  ×1 오철종 11-24
3573 제주시여자단기청소년쉼터, 청소년복지시설 숏폼 영상 공모전 수상  ×1 제주시여자단기청소년쉼터 11-22
3572 전기자전거, 제주의 새로운 길  ×1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하상윤 11-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