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월 5일 환경의 날, 가벼운 실천부터!
2023-05-16 11:29

원본 이미지 크기입니다.
기술이 발전하고 화석연료가 사용되면서 전 세계적으로 도시화가 진행되었고 환경은 점점 관심 밖의 일이 되었다. 이에 따라 대기오염, 기후변화 등의 환경오염을 초래하였다. 이러한 환경오염의 심각성을 인식하고자 1972년 6월 스웨덴 스톡홀름, UN인간환경회의가 열렸고 국제사회가 지구 환경 보전을 위해 공동노력을 다짐하며 6월 5일을 세계 환경의 날로 제정하였다.

우리나라 정부도 이 같은 심각성을 인식하고 ‘환경의 날’을 법정기념일로 지정하고 여러 환경정책을 시행하고 있지만, 이것만으로는 부족하다. 국민의 참여와 협조가 필요하다. ‘참여와 협조가 필요하다’라고 해서 왠지 거창하게 무언가 해야 할 것 같지만 거창한 것이 아닌 가벼운 실천만으로 환경 보전에 기여할 수 있다.

첫 번째 방법으로 우선 ‘일회용품 줄이기’이다. 이는 평소 우리 모두 잘 알고 있는 방법으로 과연 이것만으로 환경에 도움이 될까 생각하기도 한다. 그러나 일회용품을 생산할 때는 많은 온실가스와, 처분할 때는 너무 긴 분해시간으로 환경에 큰 악영향을 끼치게 된다. 이러한 일회용품을 줄이는 것만으로도 온실가스 감축과 쓰레기 감소라는 일석이조의 효과를 누릴 수가 있는 것이다. 그렇기에 일회용품 줄이기는 우리가 앞으로 살아가기 위해 선택이 아닌 필수인 것이다.

일상생활에서 쉽게 일회용품을 줄이는 방법에는 무엇이 있을까. 카페에서 커피나 음료를 사 먹을 때엔 텀블러를 사용하는 방법이 있을 것이다. 현재 많은 카페에서 시행 중인 개인 텀블러 사용 시 300원 할인도 있으므로 환경도 가꾸고 돈도 아낄 수 있기에 일상생활에 도움이 되는 방법일 것이다. 그리고 장을 볼 땐 장바구니 혹은 에코백을 사용하는 방법도 있다. 이 또한 매번 종이봉투나 비닐봉지를 사 담는 것보다 훨씬 경제적이며 친환경적이다.

또 다른 방법으로는 녹색제품 및 저탄소 인증 제품을 사용하는 것이다. 현재 우리가 사용하는 모든 물건을 생산할 때는 탄소가 필수적으로 발생할 수밖에 없다. 그러나 녹색제품과 저탄소 인증 제품은 생산 시의 온실가스 및 오염물질이 상대적으로 적게 방출되는 제품으로 이러한 제품을 많이 사용한다면 결과적으로 환경을 지키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일상생활에서 손쉽고 간단하게 실천할 수 있는 방법이지만, 모두가 함께 한다면 지구는 더욱 살기 좋은 곳이 될 것이다. 우리 모두 가벼운 실천을 통해 푸르른 지구의 미래를 함께 지켜보았으면 한다.

No 제목 이름 날짜
3968 3월 22일 물의 날, 제주 지하수가 마르고 있다  ×1 김현우 03-11
3967 도민감사관 직무와 역할  ×1 ×1 도민감사관 김용균 03-11
3966 (기고)고향사랑기부로 함께하는 ‘제주오름 지킴이’  ×1 제주시 양은옥 03-10
3965 (사)제주YWCA중등청소년방과후아카데미, ‘미소이음(친사회성증진프로그램)…  ×1 (사)제주YWCA중등청소년방과후아카데 03-04
3964 (기고) 뜨겁게 피어오르는 제주의 문화  ×1 ×1 고란영 02-25
3963 주택용 소방시설 설치, 작은 실천이 큰 변화를 만든다.  ×1 고기봉 02-24
3962 제주공직사회 청렴도 상승  ×1 ×1 도민감사관 김용균 02-23
3961 훈제구이를 가정의 주방에서 하는 냄비  ×1 천 봉우 02-22
3960 [re] 훈제구이를 가정의 주방에서 하는 냄비 석기시대 02-24
3959 주부폐암을 막으려면 . .?  ×1 천 봉우 02-22
3958 [re] 주부폐암을 막으려면 . .? 석기시대 02-24
3957 모바일 주민등록증 이제 손안에서 간편하게  ×1 제주시종합민원실 김현지 02-20
3956 (사)제주YWCA중등청소년방과후아카데미 겨울방학 맞이 ‘에버랜드 겨울캠프…  ×1 (사)제주YWCA중등청소년방과후아카데 02-20
3955 즐겁게 놀면서 배우는 안전교육, 제주안전체험관  ×1 비밀글 제주소방안전본부 예방대응과 김하연 02-20
3954 가짜 농사꾼에게 농지처분명령과 이행강제금 부과  ×1 아라동주민센터 산업팀장 차무관 02-19
3953 화목보일러 화재 예방, 올바른 사용이 중요  ×1 아라119센터 소방교 오수홍 02-17
3952 마을 혹은 마음과 연결, 로컬 런케이션  ×1 ×1 김명주 02-14
3951 고독사는 사회의 책임인가?   ×1 ×1 문석부 02-13
3950 겨울철 전기제품 안전하게 사용하기  ×1 동부소방서 조천119센터 김형남 02-09
3949 환경을 지키는 작은 실천  ×1 ×1 청정제주환경모니터단 부단장 김용균 02-09
3948 (사)제주YWCA중등청소년방과후아카데미, ‘AI(인공지능)를 활용한 자기주도… (사)제주YWCA중등청소년방과후아카데 02-08
3947 디지털 환경에서 개인정보보호에 대한 우리들의 자세  ×1 제주개발공사 정보관리팀 고상혁 02-07
3946 선박 안전운항 준수해야  ×1 비밀글 고기봉 02-06
3945 우리집 작은 소방서 '주택용 소방시설'  ×1 아라119센터 소방교 오수홍 02-05
3944 {기고} 신구간 이사철 화재예방을 위한 안전 가이드  ×1 ×1 제주소방서 119구조대 김현진 02-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