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역 의무자들을 위한 군 적금 간단히 알아보자
2023-03-26 16:38
|
|||
---|---|---|---|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임성렬 (Homepage : http://)
|
|||
의무를 다하는 기간 동안 의식주 모두가 열악하여 국군에서 지급하는 봉급으로 저축은 꿈도 꾸지 못했으며 오히려 병사들의 생활비를 부모가 보내야 할 정도였었다. 하지만 2023년 현재 병장 월급은 100만 원이며 또한 국방부와 시중 은행이 협력하여 병사의 사회 정착지원금의 목적으로 군 적금 상품을 따로 챙겨주니 육군을 기준으로 18개월 동안 복무하여 전역하면 월급과 군 적금 수령액을 합쳐 약 2,400만 원을 받을 수 있다. (해군은 20개월 공군은 21개월이라 차이가 날 수 있다.) 군 적금의 가입 대상은 대한민국의 병역의무를 이행하는 자이며 시중 14개 은행에서 가입할 수 있다. 또한 가입 시 6퍼센트의 이자(은행이자 5%+국가지원이자 1%)와 이자 소득에 대해선 비과세이다. 더욱이 납부액의 71퍼센트를 지원해주는 매칭 지원금 제도도 있으니 웬만해서는 군 적금에 가입하는 것이 이득이라고 할 수 있다. 훈련소에서 일괄적으로 군 적금에 가입한 장병들은 상관없는 얘기지만 훈련소에서 가입하지 않고 개인적으로 군 적금에 가입하려고 하면 훈련소 수료 후 자대 인트라넷에서 가입 자격 확인서를 발급받고 이를 지참하여 휴가를 나가야 한다. 하지만 이제 막 부대에 전입해 온 신병은 첫 휴가를 나가기까지 시간이 걸려 그동안의 공백으로 인해 이자율과 매칭 지원금에 손실이 생길 수 있다. 필자가 복무했던 육군 9보병사단에서는 전입일 기준으로 30일 동안 신병들의 외출 외박 및 휴가를 제한하고 30일이 지난 이후에도 전역 전 휴가 소진 자와 병가 그리고 훈련이나 실제 상황을 이유로 신병 위로 휴가를 나가지 못한 장병들에게 밀려 거의 60일 뒤에나 첫 휴가를 나가기도 한다. 그 예로 23년 4월 전역 예정인 21년 10월 군번의 A 병장은 훈련소에서 적금을 들지 못하고 자대 전입 이후 60일 뒤에나 첫 휴가를 나가 적금을 들어 훈련소에서 일괄적으로 적금을 들은 다른 동기들과 이자율과 적금 금액, 매칭 지원금 등이 차이나 총수령액이 거의 150만 원 가까이 차이가 나 정보의 부재에 대해 아쉬움을 토로했다. 또한 전역 월에는 장병 내일준비적금이 급여에서 자동으로 공제되지 않으니 직접 내야 하는 것을 기억해야 하며 만약 전역 월에 직접 내지 못하면 한 달분의 매칭 지원금과 적금만기액의 손실이 생기니 특히 주의해야 한다. 실제로 필자와 같은 날 전역한 B 병장은 전역하는 달의 적금통장에 직접 넣어야 하는 것을 몰라 한 달분의 금액이 빠져 필자보다 40만 원가량 더 적게 받았다. 그러니 앞으로 병역의 의무를 다해야 하는 자들은 그냥 군대에 가는 것이 아니라 이 기사에서 제공해 주는 정보뿐만 아니라 필요한 정보들을 잘 파악하여 손해 보지 않았으면 좋겠다. |
|
제주 태양광 사업자들, 정부 상대 소송 예고… "…
문화사절단 제주도립무용단, 핀란드서 제주 매…
"용천수를 지하수로?"… 제주 상수도 수질관리 …
[카드뉴스] 제주 컵보증금제 한계 여전, 시민단…
제주서 국내 최강의 학생스쿼시 챔프 가린다
제주 승용차 2대 정면 충돌… 3명 중경상
한상철 제주해경청장 "위성 활용 첨단 대응 능력…
'기원 논쟁' 왕벚나무 후속 연구 안갯속으로
제주시 장년층 1인 가구 고독사 위험군 229명
극단드란 "저희와 함께 차(茶) 한 잔 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