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로 늘어난 환경오염의 주범, 플라스틱 폐기물은 누구의 책임인가
2022-03-30 22:21

원본 이미지 크기입니다.
최근까지 코로나19 바이러스는 확산세가 꺾이지 않는 장기화로 이어지고 있다. 우리는 직접 쇼핑하지 않고 택배를 이용한 인터넷 쇼핑을 사용하고, 음식점이나 술집이 아닌 배달음식을 시켜 먹는 소비양상에 익숙해져 갔다. 이는 플라스틱의 사용량이 급증하게 된 이유이며, 플라스틱의 폐기물 발생량에 대하여 아직도 나 몰라라 하는 무책임한 행태가 보이기도 한다.

이에 따라 플라스틱을 이용한 일회용기와 카페에서 사용하는 일회용품 컵 사용량이 갑작스럽게 늘어나면서 환경에 부정적인 결과를 가져왔다.

급증한 플라스틱 폐기물을 줄이기 위해 환경부는 4월 1일부터 일회용품 금지라는 ‘제로 웨이스트’(Zero Waste) 시행을 가동한다. ‘제로 웨이스트’란 쓰레기 배출량을 줄이려는 캠페인을 의미한다.

그러나 4월부터 시행되는 일회용품 금지는 제대로 홍보되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코로나19의 확산세가 그치지 않았다는 점에서 방역문제가 발생하는데 이는 자영업자에게 책임을 떠넘기기식이 아니냐는 비판의 우려도 담겨있다.

마이클 조던은 “장애물을 만났다고 반드시 멈춰야 하는 것은 아니다. 벽에 부딪힌다면 돌아서서 포기하지 말라. 어떻게 벽을 오를지, 벽을 뚫고 나갈 수 있을지, 또는 돌아갈 방법은 없는지 생각하라.”라는 말을 건넨다. 코로나19라는 장애물을 만났다고 환경이 오염되는 것을 그대로 보고만 있는 게 아니다. 오염을 막기 위해 벽을 부딪치고, 정부와 기업, 그리고 시민이 다 같이 책임을 가지고 해결책을 강구해나가야 한다.

환경을 살리기 위해 일회용품 사용 규제가 원만히 활성화가 되려면 정부는 적극적인 홍보에 힘써야 한다. 또한 혼란을 감소할 수 있는 정확한 지침을 전달하도록 노력해야 한다. 시민들은 일회용품을 사용했다고 해서 안전하다는 공식을 버리고 일회용품을 대체할 수 있는 품목과 규제대상으로 수용할 수 있는 품목을 점진적으로 수용하면서 플라스틱 폐기물 발생량을 줄여나가야 한다.

모두가 플라스틱과 일회용품의 사용을 줄이고 책임을 지는 것은 선택이 아닌 필수이다. 정부, 기업, 시민은 환경보호를 위해 변화에 적응해나가야 한다. 주위에서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친환경 활동부터 참여하면서 현세대뿐만이 아니라 미래세대를 위하여 더 나은 사회로 나아가기 위해 노력해야 하는 시점이다.

No 제목 이름 날짜
3737 호국영웅 제주마(馬), “레클리스”를 기억하자!  ×1 한국마사회 제주본부 06-05
3736 향군 여성회 봉사활동 "영웅과 함께 고고고"  ×2 제주도향군 06-04
3735 제주의 숨겨진 보물, 올레길의 현실  ×1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오승민 06-04
3734 (사)제주YWCA중등청소년방과후아카데미, ‘5월 청소년의 달’ 참여 (사)제주YWCA중등청소년방과후아카데 05-31
3733 기후변화에 대한 대응은 우리의 선택  ×1 ×1 비밀글 전윤경(농협경주교육원 교수) 05-29
3732 [기고] 세계 환경의 날을 맞이하여  ×1 비밀글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김미경 05-28
3731 서귀포시정방라이온스클럽, 서귀포시청소년수련관 방과후아카데미 청소년…  ×1 양정은 05-27
3730 천혜의 섬, 제주 지오브랜드를 통해 힐링을 떠나자!  ×1 박선웅 05-26
3729 바다의 날을 아시나요!  ×1 김예 05-26
3728 전쟁, 기후위기 그리고 식량안보  ×1 비밀글 김종우 05-24
3727 식품안전, 더운 여름 특히 유의해야  ×1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강재원 05-24
3726 은빛마을노인복지센터 노인일자리 참여자 문화체험활동 실시 …  ×1 강은희 05-23
3725 APEC유치는 제주청년부터 나서야 한다  ×1 이성재 05-20
3724 탄소제로 세상을 만들기 위한 업사이클링  ×1 ×1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이민수 05-20
3723 생물다양성, 우리가 보존해야할 가치  ×1 ×1 김수연 05-20
3722 [기고] 따뜻한 봄철, 부주의로 인한 화재예방 당부  ×1 ×1 서귀포소방서 효돈119센터 임준영 05-15
3721 [기고] 막힘없는 빗물받이 만들기  ×1 장명서 05-14
3720 서귀포시청소년수련관 방과후아카데미 수료식 및 개강식 개최  ×1 양정은 05-14
3719 월 100만원의 학원비가 의미 없는 이유  ×1 강규선 05-13
3718 지속 가능한 교통 시스템의 구축  ×1 송시현 05-12
3717 기고) 봄철, 온 가족이 화재 예방으로 안전을 지키자  ×1 김민수 05-12
3716 기고) 찾아가는 현장 세무상담실 세금고민 도와준다.  ×1 고종필 05-09
3715 [기고문] 지하공간 침수를 사전대비가 필수입니다.  ×1 장명서 05-02
3714 초고령화 사회, 심신(心身)의 안전은 의용소방대가 지킨다  ×1 ×1 대신여성의용소방대장 윤미정 05-01
3713 차량용 소화기 비치 선택이 아닌 필수!  ×1 ×1 서귀포소방서 효돈119센터 정민혁 04-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