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자연장(自然葬)을 선호하는 이유
2022-03-24 15:07
김성봉 (Homepage : http://)

원본 이미지 보기
남원읍사무소 주민복지팀장
김성봉

올해도 조금 있으면 24절기의 하나인 청명이 다가오고 있다.
지역마다 다르지만, 청명에는 손이 없는 날이라 하여 특별히 택일하지 않고 묏자리를 돌보거나, 핵가족화가 된 자녀, 손주를 위해 집안 묘지를 정리하려고 하는 문중 어르신들이 있을 것이다. 이때 가장 고민을 많이 하는 것이 가족 묘지를 조성하여 매장을 할 것인지, 화장을 하여 봉안당(奉安堂) 또는 자연장(自然葬)인 수목장으로 모실 것인가로 문중 어르신 사이에 많은 의견을 나누곤 한다.

“장사 등에 관한 법률”에 따르면 “ 자연장(自然葬)” 이란 화장한 유골의 골분(骨粉)을 수목, 화초, 잔디 등의 밑이나 주변에 묻어 장사하는 것으로 정의하며 수목장도 자연장의 일종이며, 나무뿌리에 화장한 뼛가루를 묻는 자연 친화적 방식이다.

자연장의 일종인 수목장은 우리나라에서는 2004년 고 김장수 교수의 수목장이 언론에 알려지면서 보급되기 시작하여 2018년 구본무 LG 그룹 회장이 수목장을 계기로 봉안묘나 봉안당으로 모시던 장례문화를 수목장에 관해 관심이 커졌다.

21년도 통계청 “사회조사”에 “선호하는 장례 방법” 조사를 보면 봉안(34.6%), 자연장(33.0%), 산골(22.3%)로 봉안보다 자연장이나 산골을 희망하는 사람 55.3%로 조사 인구의 절반 이상 친자연적인 자연장지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통계에서 자연장을 선호하는 이유는 화장 후 봉안묘나 봉안당의 안치 기간이 만료로 인한 재계약 등 관리적인 부분이 힘들고, 관리할 수 있는 누군가의 비용 부담자가 없으면 안 되기에 화장한 유골을 자연스럽게 없애는 자연장으로 서서히 변화하고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조상에 대한 가치관의 변화와 가족 수의 감소로 묘지 관리가 현실적으로 어렵게 된 상황에서 자연장은 활성화될 수밖에 없고 새로운 친환경 장묘문화로 자리를 잡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No 제목 이름 날짜
3204 서귀포시노인보호전문기관 8월 카드뉴스  ×1 서귀포시노인보호전문기관 09-01
3203 은빛마을노인복지센터 노인맞춤돌봄서비스, 유니클로와 함께하는 "착한바…  ×1 김영희 09-01
3202 독자기고  ×1 허태현 08-30
3201 제주 3년 살기 &..   ×1 강기두 08-30
3200 자립준비청년들의 건강한 내일을 꿈꾸며  ×1 변성환 08-29
3199 화재 발생 시 대피요령 반드시 숙지하자  ×1 ×1 남원119센터 소방사 김재업 08-21
3198 삭제요청  ×1 비밀글 삭제요청 08-21
3197 봉개동 '우리동네 마을 우체통'을 아시나요  ×1 봉개동 08-19
3196 행복농촌 만들기 문자투표  ×1 고기봉 08-15
3195 "아직은 할 일이 많아서 못간다고 전해라~~!  ×1 임용국 08-11
3194 표선119센터 현장실습을 마치며  ×1 조성돈 08-10
3193 성안노인복지센터 sk그룹 후원 어르신 무료급식 지원  ×2 이경자 08-03
3192 지속가능 제주환경 전문가 양성교육을 수료하면서  ×1 ×1 신동화 08-02
3191 환경문제, 우리 모두가 해결해야  ×1 고기봉 08-02
3190 골목점포들도 골목형상점가로 등록이 가능합니다.  ×1 ×1 문원영 08-01
3189 선진국으로의 길, 무장애 길과 맞닿아 있습니다.  ×1 ×1 (주)두리함께 트레블 헬퍼 김영근 07-29
3188 서귀포YWCA 달리는 건강 쿠킹버스 활용한 식생활교육 [건강 in 식생활]7월 초…  ×1 서귀포YWCA 07-20
3187 정신장애인 대상 “건강 돌봄 프로젝트-찬찬이 건강 살림”사업진행   ×1 공생하우스 07-18
3186 성산119센터 실습을 마치며 - 제주한라대학교 응급구조과 안정호  ×1 ×1 김정호 07-18
3185 4-H 농촌문화유적길 조성의 갖는 의미를 되새긴다.  ×1 (사)서귀포시4-H본부 회장 고성봉 07-15
3184 선박화재 항상 대비 이뤄져야  ×1 고기봉 07-12
3183 폭염대비! 어렵지 않아요!  ×1 동홍119센터 소방교 강규택 07-11
3182 농촌문화유적길  ×1 고성봉 07-11
3181 요양시설 화재안전에 진심을 담자  ×1 오희숙 07-08
3180 제주도, 어르신 주거정책 확대추진  ×1 제주도청 유은숙 07-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