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자연장(自然葬)을 선호하는 이유
2022-03-24 15:07
|
||||
---|---|---|---|---|
김성봉 (Homepage : http://)
|
||||
김성봉 올해도 조금 있으면 24절기의 하나인 청명이 다가오고 있다. 지역마다 다르지만, 청명에는 손이 없는 날이라 하여 특별히 택일하지 않고 묏자리를 돌보거나, 핵가족화가 된 자녀, 손주를 위해 집안 묘지를 정리하려고 하는 문중 어르신들이 있을 것이다. 이때 가장 고민을 많이 하는 것이 가족 묘지를 조성하여 매장을 할 것인지, 화장을 하여 봉안당(奉安堂) 또는 자연장(自然葬)인 수목장으로 모실 것인가로 문중 어르신 사이에 많은 의견을 나누곤 한다. “장사 등에 관한 법률”에 따르면 “ 자연장(自然葬)” 이란 화장한 유골의 골분(骨粉)을 수목, 화초, 잔디 등의 밑이나 주변에 묻어 장사하는 것으로 정의하며 수목장도 자연장의 일종이며, 나무뿌리에 화장한 뼛가루를 묻는 자연 친화적 방식이다. 자연장의 일종인 수목장은 우리나라에서는 2004년 고 김장수 교수의 수목장이 언론에 알려지면서 보급되기 시작하여 2018년 구본무 LG 그룹 회장이 수목장을 계기로 봉안묘나 봉안당으로 모시던 장례문화를 수목장에 관해 관심이 커졌다. 21년도 통계청 “사회조사”에 “선호하는 장례 방법” 조사를 보면 봉안(34.6%), 자연장(33.0%), 산골(22.3%)로 봉안보다 자연장이나 산골을 희망하는 사람 55.3%로 조사 인구의 절반 이상 친자연적인 자연장지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통계에서 자연장을 선호하는 이유는 화장 후 봉안묘나 봉안당의 안치 기간이 만료로 인한 재계약 등 관리적인 부분이 힘들고, 관리할 수 있는 누군가의 비용 부담자가 없으면 안 되기에 화장한 유골을 자연스럽게 없애는 자연장으로 서서히 변화하고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조상에 대한 가치관의 변화와 가족 수의 감소로 묘지 관리가 현실적으로 어렵게 된 상황에서 자연장은 활성화될 수밖에 없고 새로운 친환경 장묘문화로 자리를 잡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
|
국립국가폭력트라우마센터 운영비 국비 전액 지…
[알림] 제32회 '한라환경대상' 공모 접수 연장
'모빌리티 산업의 미래' 국제 e모빌리티엑스포 9…
윤리적 질문 던지는 연극 '더러운 손'… 10~13일 …
“좋은 대화란 무엇인가”… 제주소통협력센터 …
[한라일보 저녁잇슈] 2025년 7월 8일 제주뉴스
민주당 당 대표 후보 정청래 의원 13일 제주 방문
고독사 예방 실태조사했더니 위험군 늘었다
“음악이 내용을 담기까지”… 시민학교 제4강 …
서귀포해경, 여름철 태풍 대비 항포구 안전점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