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제주농업유산, 한류 원천 콘텐츠로 육성 필요
2021-12-30 21:39
이성돈 (Homepage : http://)
며칠 전 문화재청이 2022년 미래 무형 문화유산 발굴사업 대상으로 제주 갈옷이 선정 되었다는 기사를 접했다. 제주 선조들의 생활 곳곳에 대한 가치 발굴 차원에서 미래 무형 문화유산 발굴 대상으로 제주 갈옷이 선정된 데에는 나름의 가치와 기대를 가져본다. 지방자치제 이후 제주는 지난 2007년 세계자연유산 지정을 시작으로, 2009년 세계문화유산, 2010년 세계지질공원, 2013년 제주 밭담의 세계중요농업유산, 2016년 제주해녀문화 인류무형문화유산 등재 등의 성과를 이룬 바도 있었다. 급속히 변화하는 사회의 흐름 속에 무심코 지나쳤던 제주의 가치를 발굴하고 보전하기 위한 노력으로 이어져야 함에 대한 얘기를 하고자 한다.
갈옷에 대해 얘기를 시작하면, 예로부터 제주도 가정에서는 울타리에 감나무가 한 두 그루씩 심고 있었다. 감나무가 자생할 수 있는 기후적인 풍토이고 감물로 염색하여 사용한 결과 좋은 점이 많음을 경험을 통해서 알게 되어 지속될 수 있었다고 보아진다. 제주도 특유의 옷인 갈옷은 제주도의 환경에 가장 적합하게 고안된 최고의 노동복이었다. 후덥지근한 날씨에 밭일을 해야 하고 또 가시덤불을 헤치며 가축을 돌보는 일을 하는 목자나 테우리들, 물속에서 작업을 하는 어업에 종사하는 사람들에게 갈옷은 최고의 노동복이었다. 제주의 선조들이 애용하였던 갈옷이 근래 재조명되면서 부활하고 있다. 건강 차원으로 천연 염색이 각광을 받으면서 갈옷이 소중한 자원으로 등장하고 있는 것이다. 또한 노동복에 국한되었던 갈옷이 다양하게 디자인되면서 외출복뿐만 아니라 침구류와 생활 용품, 실내 장식 재료로 활용되어 현대적 변모를 거듭하고 있다.
역사적으로 감물 염색 문화는 예로부터 한국, 일본, 중국, 타이 등 동남아시아 지역에서 이미 행해져 왔다는 문헌 기록 등이 있어서 오래 전부터 감을 이용한 염색이 대륙문화권과는 다른 해양문화권에서 행해지고 있음을 알 수 있어 한반도 문화와는 다른 유형의 문화로 가치 및 보전이 필요하다는 생각이다.
제주 밭담이 이미 세계중요농업유산으로 등재 되었으며 앞으로 제주 갈옷을 필두로 제주 선조들의 수눌음 문화, 제주의 특유한 목축문화인 산상방목, 잣담, 들불지피기, 그리고 열악한 농업환경으로 빚어낸 다양한 제주의 농업 문화 등 제주 농업유산의 다양한 가치를 한류 원천 콘텐츠로 육성하고, 제주의 문화적 자존감을 더욱 확대 해 나가야 한다는 생각이다.



No 제목 이름 날짜
3182 농촌문화유적길  ×1 고성봉 07-11
3181 요양시설 화재안전에 진심을 담자  ×1 오희숙 07-08
3180 제주도, 어르신 주거정책 확대추진  ×1 제주도청 유은숙 07-07
3179 생명의 문, 비상구 '안전을 위한 백신'  ×1 서귀포소방서 06-29
3178 서귀포YWCA, 2022년 서귀포평화아카데미 4강좌 개최   ×1 서귀포YWCA 06-28
3177 보행자 안전을 위한 건설사업장 보행안전도우미 배치 의무화  ×1 ×1 김성수 06-28
3176 공사장 화재예방의 첫걸음 '안전수칙 준수'  ×1 ×1 남원119센터 소방사 문동식 06-26
3175 스마트경로당을 아시나요?  ×1 제주도청 유은숙 06-25
3174 서귀포YWCA, 2022년 서귀포평화아카데미 4강좌 참가자모집  ×1 서귀포YWCA 06-23
3173 마늘·양파 의무자조금 납부, 생산농업인의 의무이자 권리  ×1 식품원예과 강형미 06-20
3172 서귀포YWCA 달리는 건강 쿠킹버스 활용한 식생활교육 [건강 in 식생활]6월 초…  ×1 서귀포YWCA 06-20
3171 시민들이 지키는 골든타임, ‘소방차 출동로 확보’  ×1 성산 센터 119 소방사 김정호 06-16
3170 자동차세 납부의 달 6월, 연납 신청  ×1 삼도2동 06-14
3169 2022 서귀포시 행복드림아카데미 사회공헌 및 전문역량과정 진행  ×1 서귀포YWCA 06-13
3168 서귀포YWCA, 창립30주년 기념 청소년대상 차세대리더지원사업 진행   ×1 서귀포YWCA 06-13
3167 일상 속 노인혐오 문화 경계하기, 노인 학대 예방의 첫걸음.  ×1 문지현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3학년) 06-09
3166 ‘백신 없는 플라스틱 팬데믹’ 플라스틱 줄이기로 행동해야 한다.  ×1 원고운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3학년) 06-06
3165 유기동물 줄이려면 성숙한 반려동물 문화 조성이 ‘열쇠’ 사설보호소에 …  ×1 홍은정 06-05
3164 무인화 결제 시스템의 명암  ×1 김태훈 06-03
3163 선거철이면 밤•낮 없이 울려대는 선거 전화 해결책은?  ×1 문지현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3학년) 06-03
3162 제주사랑렌트카 김경란 대표, (사)제주YWCA 청소년방과후아카데미 공간 환경… 추현우 06-03
3161 제주 바다에서 ‘남방큰돌고래’가 사라지면 어떻게 될까?   ×1 고하경(제주대학교 행정학과 3학년) 06-03
3160 기후변화로부터 우리가 지켜야 할 자산 ‘해양생태계’  ×1 김현주 06-02
3159 제주 오랜 삶의 터전 오름, 몸살을 앓다  ×1 이민서 06-01
3158 2022년 서귀포평화아카데미 2강좌 개최 및 3강좌 모집  ×1 서귀포YWCA 05-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