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전환 수술을 거친 트랜스젠더, 우리는 그들을 인정하고 있나
2021-11-22 12:14
고민희 (Homepage : http://)

원본 이미지 크기입니다.
개인의 해부학적 구조로 구분하는 인간의 생물학적 성은 두 가지가 있다. 바로 남성과 여성이다. 생물학적 성과 사회적 성, 즉 섹스(sex)와 젠더(gender)가 일치하지 않는 사람들이 있다. 우리는 이런 사람들을 트랜스젠더라고 부른다. 미국의 대표적인 검색 엔진인 구글에서는 회원가입을 할 때 성별을 고르는 목록에 사용자 지정이라는 선택지가 존재한다. 나를 지칭할 때 사용할 대명사를 입력하는 창도 제공한다. 왜 이러한 선택지가 등장하게 되었을까? 나는 이를 트랜스젠더와 관련지어 고찰해 보았다.

미국 FX 채널에서 방영된 드라마 ‘포즈 시즌1’에서는 1980년대 미국 뉴욕의 LGBTQ 문화를 여실히 드러낸다. 무도회를 통해 주제에 맞는 옷을 입고 우승하여 트로피를 받는 것이 그들에게 큰 성취감을 안겨주었지만, 개개인이 가지고 있는 욕구 또한 존재한다.

트랜스젠더의 가장 궁극적인 소망을 여실히 드러내는 트랜스젠더 인물인 엘렉트라는 열악한 환경 속에서 부랑자들을 거두어 ‘어번던스 하우스’라는 팀을 만들어 매번 무도회에서 좋은 성적을 거두었다. 매번 화려한 트로피를 타는 그녀는 비수술 트랜스젠더였다.

엘렉트라는 성전환 수술을 하고 싶은 오랜 꿈이 있었지만, 그녀의 애인이 ‘러버’, 트랜스젠더에게 성적 취향이 있는 사람이었기 때문에 수술을 하지 못했었다.

하지만 엘렉트라는 진정한 여성으로 거듭나기 위해 성전환 수술을 진행한다. 애인과는 이별하고, 속해 있던 집단은 해체할 정도로 부정적 여파가 컸지만, 그걸 다 감당할 수 있을 만큼의 행복감과 성취감을 얻게 된다.

엘렉트라의 예시처럼 트랜스젠더의 생물학적 성과 사회적 성이 일치한다면 그만큼 만족감을 느낄터이다. 그럼 과연 성전환 수술을 거치면 타인들도 여성으로 인정하게 될까?

현실은 생각보다 암담하다. 대표적인 예로 2016년부터 군인으로 복무했던 변희수 하사가 있다. 그는 복무 중 성전환 수술을 받았다. 하지만 여군으로도 인정받지 못한 채로 강제 전역을 당한 후 스스로 생을 마감하였다. 변희수 하사는 수술을 받았지만 심신장애 판정을 받고, 여성으로 인정받지 못하였다.

‘포즈’의 배경이 된 미국은 현재 트랜스젠더의 군 복무를 허용하고 있다. 2021년 4월 미국 국방부의 조사에 따르면 자신이 다른 성별로 잘못 태어났다고 느끼는 장병은 2,200명으로 집계되었다. 이런 조사를 바탕으로 트랜스젠더의 공개적인 군 복무와 의료 지원을 받을 수 있게 되었다.

변희수 하사의 사례가 국방부 정책에 변화를 가져오진 못하였지만, 변 하사 사건을 바탕으로 군인을 비롯하여 다양한 직종에 종사하는 대한민국의 성전환 트랜스젠더들을 위한 정책이 변화하길 기대해 본다. 성전환을 마친 트랜스젠더를 그들이 스스로 생각하는 성별로 인정하고, 그들의 선택을 존중하는 노력을 해 본다면, 대한민국 트랜스젠더의 인권을 향상하는 데에 큰 거름이 될 것이다.

No 제목 이름 날짜
3129 생활 하수 처리 방법 홍보, 도민이 더욱 체감할 수 있는 효과적 방법 마련해…  ×1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4학년 강지훈 04-28
3128 곱을락'樂' 삼촌들 편안하우꽈~?  ×1 고경희 04-27
3127 일자리가 가져다준 행복  ×1 염옥란 04-26
3126 일상생활 사고 피해, ‘도민안전보험’으로 보상 받으세요  ×1 ×1 제주시 안전총괄과 김성수 04-26
3125 전쟁으로 주목받는 농업의 중요성  ×1 ×1 비밀글 농협경주환경농업교육원 김종우 교수 04-25
3124 개발,무관심에 사라지는 용천수제도 개선 필요  ×1 기봉 04-25
3123 삭제 비밀글 삭제 04-22
3122 소상공인의 든든한 퇴직금 노란우산공제에 가입하세요   ×1 문원영 04-21
3121 출력제어, 분산에너지 그리고 에너지 분권  ×1 ×1 오정헌 04-21
3120 4월 22일 자전거의 날 “자전거로 제주를 지켜요!” 소중한 지구를 지키는 …  ×1 강태욱 04-20
3119 대학의 위기, 제주의 위기  ×1 원고운,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04-18
3118 [기고] 확산이 끊이지 않는 불법광고물  ×1 ×1 오라동주민센터 김건 04-18
3117 코로나19시대, 힐링 제주는 산불예방으로 부터...  ×1 도 세계유산본부 비자림관리팀장 하성현 04-13
3116 지구의 날, 한 사람의 열 걸음보다 열 사람의 한 걸음부터  ×1 ×1 임지은,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04-12
3115 서귀포YWCA 달리는 건강 쿠킹버스 활용한 식생활개선 교육 시민대상 교육 참…  ×2 서귀포YWCA 04-11
3114 [기고]작은 불티도 다시 보자  ×1 ×1 남원119센터 오봉근 04-10
3113 고사리 꺾을 땐 함께가요  ×1 ×1 양희진 04-06
3112 일회용품 없는 제주, 미래 세대를 위한 약속  ×1 ×1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2학년 고민희 04-06
3111 어른들은 주차장을 만들겠죠  ×1 ×1 비밀글 홍라원 04-05
3110 한라산탐방로 쓰레기종류  ×1 ×1 김용훈 04-04
3109 심각해지는 미세먼지, 이제는 행동할 때!  ×1 임승현 04-02
3108 나무심기, 기후변화 대응의 시작  ×1 김은지 04-01
3107 코로나19로 늘어난 환경오염의 주범, 플라스틱 폐기물은 누구의 책임인가   ×1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김민지 03-30
3106 미래를 위한 작은 실천_플로깅을 통한 환경 정화 활동  ×1 ×1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3학년 현민희 03-27
3105 비양도습지생태학교에 초대합니다.   ×1 생태교육허브물새알 03-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