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일상회복 그리고 농업인의 날
2021-11-02 22:21

원본 이미지 보기
“추수하는 제철에도 농사꾼들은 쌀밥을 먹지 못한다. 명절이라고 쌀밥을 양껏 먹을 수 있는 집은 흔하지 않았다.” (토지 1부 4권 p22)
토지 1부의 시대적 배경은 1897년 한가위에서 1908년 5월까지를 배경으로 하고 있다. 이 시기는 을사보호조약이 체결된 때로서 자연재해 뿐만 아니라 인재(人災)에 의하여 대다수의 국민이 기아에 허덕이고 있었다. 하지만 시기의 특별함 때문은 아니었다. 그 이후에도 먹고사는 문제를 해결하는 일은 우리에게 가장 시급한 과제였다. 1970년대초까지도 농업은 한국의 가장 중요한 산업이었다.

하지만 1980년대 이후 경제가 본궤도에 오르자 농업은 그 자리를 2차, 3차 산업에 내주기 시작한다. 이제는 농업이 국민총생산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3% 아래로 떨어졌다. 농업보다 다른 산업이 더 높은 성장 가능성을 가지게 되자 사람들은 농촌을 떠나기 시작했다. 이제 농업은 한국의 가장 중요한 산업이라는 지위에서 정부의 지원이 없으면 버틸 수 없는 산업으로 전락하였다. 우리는 농업이 우리의 삶을 지탱해 주는 가장 중요한 산업이라고 이야기 하면서도 스스로는 농업에 종사하려고 하지 않는다.

하지만 코로나19는 이러한 우리의 생각을 바꾸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2020년초부터 코로나19라는 전염병이 우리 삶을 송두리째 뒤집어 놓았다. 전염병앞에 경제대국도 봉쇄를 실시했고, 세계주요 도시들이 셧다운 되었다. 올림픽이 연기되고, 수많은 사람들이 기아선상에 놓이게 되었다. 전문가들은 코로나19라는 바이러스도 인간이 자초한 것임을 인정한다. 성장의 속도를 높여가며 자연을 파괴해 인간의 이기심을 극도로 끌어올린 것이 주요 원인이라는 것이다.

코로나19와 기후변화의 재앙은 자연의 소중함과 농업의 다원적 가치에 대해 재평가하는 계기를 만들었다. 농업은 먹거리 제공 이외에 환경을 보호하고, 생태계 다양성을 유지하고, 홍수를 방지하는 등 다양한 기능을 하고 있다. 농업, 농촌, 농업인은 그 자제로 자연이다. 코로나19를 겪으면서 이제는 우리 인간이 살기 위해 이들을 찾고 있다.

우린 이제 일상으로 돌아가려고 한다. 많은 제한을 걷어내고, 여행도 자유롭게 하고, 공연도 볼 수 있다. 2년전의 일상으로 돌아가려는 시도를 하려 한다. 하지만 우리가 왜 코로나19라는 재앙의 상황에 놓이게 되었는지 잊지 말아야 한다. 산업화의 기관차에서 내릴 순 없겠지만, 우리가 살아남기 위해선 자연의 소중함과 농업의 중요성, 농업인의 소중함을 생각해야 한다.

삶이 지속되는 한 농업은 인간의 먹고사는 문제를 해결하는 기본임을 생각하게 된다.
‘먹고 사는’ 문제에 관한 한 지구상의 인류는 자연앞에서 일대 위기를 맞고 있고, 위기 극복을 위한 시도가 세상 각처에서 심각하게 진행되고 있다. 11월 11일 농업인의 날은 그동안 삶의 후면부로 밀려났던 농업, 농촌, 농업인을 우리 삶의 전면부로 가져오는 날이다. 그래도 희망은 농업이다.

No 제목 이름 날짜
3787 동부 증설 집행정지 재항고 “대법원 기각결정”에 대한 오해  ×1 상하수도본부 하수도부 하수시설과 09-04
3786 [기고] 절대금연! 주유소 내 흡연 금지  ×1 ×1 효돈119센터 소방교 장재혁 08-28
3785 올 추석 선물로 안심콜 등록 어떤가요?  ×1 ×1 송소희 08-27
3784 상하수도본부 건설공사 공법․자재 선정 공정성 확보  ×1 디자인실 08-27
3783 [기고] 추석연휴 전후 '벌 쏘임' 사고 주의! 예방활동 및 대처요령은?  ×1 ×1 동부구조대 윤성원 08-26
3782 (사)제주YWCA중등청소년방과후아카데미, ‘구강보건교육’ 참여 (사)제주YWCA중등청소년방과후아카데 08-23
3781 지속가능한 농업, 영농폐기물 처리 더 이상 방치해선 안 된다!  ×1 고기봉 08-23
3780 [기고]효돈119센터에서의 실습을 마치며  ×1 정민혁 08-13
3779 (사)제주YWCA중등청소년방과후아카데미, ‘우리들의 메모리’ 2박 3일 캠프 …  ×1 (사)제주YWCA중등청소년방과후아카데 08-12
3778 서귀포소방서, 폭염대비태세 및 생활안전수칙 홍보 강화  ×1 서귀포소방서 예방구조과 08-12
3777 전기차 화재예방  ×1 ×1 서귀포시의용소방대장 08-09
3776 2024년 서귀포시지역 언어·청각장애인들의 직업재활서비스를 위한 업무협…  ×1 서귀포시장애인종합복지관 08-08
3775 전기차 화재 예방 특별대책“이제는 정부가 답할 차례이다”  ×1 중문남성의용소방대장 강영철 08-08
3774 '여름아! 힐링을 부탁해' 2024 하계수련회 개최  ×1 사회복지법인 청수 08-08
3773 서귀포소방서, 폭염대비태세 및 생활안전수칙 홍보 강화  ×1 ×1 서귀포소방서 예방구조과 08-07
3772 (사)제주YWCA중등청소년방과후아카데미, 주중체험활동프로그램 ‘소소한 레… (사)제주YWCA중등청소년방과후아카데 08-01
3771 메디체크 한국건강관리협회, “학생 불균형 체형 예방과 건강관리는 지금!…  ×1 건강관리협회 07-31
3770 (사)제주YWCA중등청소년방과후아카데미, ‘2024 즐기며 배우는 방과 후 과학 … (사)제주YWCA중등청소년방과후아카데 07-30
3769 해수욕장 찾아오는 불청객, 해파리 조심하세요!  ×1 오혁진 07-30
3768 인공지능(AI) 시대를 살아가려면  ×1 고기봉 07-26
3767 (사)제주YWCA중등청소년방과후아카데미, ‘월경 교육’ 참여 (사)제주YWCA청소년방과후아카데미 07-25
3766 바다와 제주 그리고 우리를 위해서 궁금한 제주Y 환경기자단 07-25
3765 (사)제주YWCA중등청소년방과후아카데미, ‘청소년 영양교육’ 참여 (사)제주YWCA청소년방과후아카데미 07-23
3764 제주특별자치도의 기초자치단체 설치 방향에 대한 유감  ×1 ×1 강봉오 07-23
3763 중문 119센터 구급대 현장실습을 마치며  ×1 제주한라대학교 응급구조과 2학년 김민 07-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