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더 시원하고 안전하게 여름나는 방법
2021-08-17 14:36

원본 이미지 크기입니다.
여름은 화재예방이 강조되는 계절이다. 여름철의 특성상 비가 많이 내려 다른 계절에 비해 화재위험이 적을 것이라 생각될 수 있으나, 냉방을 위한 에어컨 등의 가전제품의 사용이 잦아지며 특히나 전기화재의 위험성이 높아지고 있다.

소방청 통계자료에 의하면 올해 현재까지 총 2만2천697건의 화재 중 전기화재는 5761건이며, 26명의 사망자와 3770억원의 재산피해가 발생했다. 또 다른 통계에서는 여름철 화재 10건 중 3건은 전기화재로 집계됐다.

전기화재의 대표적인 원인을 살펴보면, 첫째로는 전선 등이 낡아 절연불량 등의 원인으로 전류가 흐르게 되어 이로 인한 저항열에 의해 발열을 일으키는 누전에 의한 발화가 있다. 이를 예방하기 위해선 누전차단기를 설치하여 매월 작동되는지 점검하고 오래된 가전제품의 전선을 살펴봐야 한다.

둘째로는 한 콘센트에 여러 가지 전기기구를 사용하며 과전류로 인한 열이 발생하는 합선에 의한 발화가 있다. 따라서 소비전력이 큰 가전제품의 사용 시 콘센트 한 개에 하나의 기구만을 사용하고, 문어발식 콘센트는 사용하지 않도록 하며, 과전류 발생 시 전기를 차단하는 정격용량의 퓨즈 또는 차단기를 설치하여 사용해야 한다.

전기는 삶에 편리함을 주는 소중한 존재지만, 아차하는 순간 화재 또는 감전 등으로 인명 피해를 발생시킬 수 있는 재앙이 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최근 관할 119센터에서는 관내 가구들을 방문해 누전사고 방지를 위한 콘센트 소화패치 등을 제공하고 있다. 전기로 인한 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모두가 주의하고 안전한 습관을 들여 안전한 여름을 보낼 수 있길 바란다.

No 제목 이름 날짜
3693 기고문  ×1 ×1 비밀글 보건환경연구원 04-09
3692 [후보자들의 방송토론, 충분한 연습과 준비가 필요하다] [1] 김봉춘 04-08
3691 자원순환사회 조성에 우리모두 동참합시다.  ×1 ×1 청정제주모니터단 부단장 김용균 04-07
3690 청년들은 언제나 정치적이었다.  ×1 강규선 04-07
3689 공직자의 청렴  ×1 ×1 도민감사관 김용균 04-03
3688 우리 가족과 이웃, 제대로 안전하게! 지역사회의 재난, 재해상황 대비를 위…  ×1 [1] 서부종합사회복지관 04-02
3687 기고  ×1 ×1 비밀글 보건환경연구원 04-02
3686 제주의 에메랄드 수호자들: 생태 보호의 선구자들  ×1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김수지 03-31
3685 제주관광, 기회의 확대와 도전의 극복  ×1 김신관 03-29
3684 기고) 4월 법인지방소득세 자진 신고납부에 적극 동참을  ×1 고종필 03-28
3683 4.3 올바른 시각 가지기 - 4.3 침묵하지 말고 소리 내자  ×1 ×1 조혜인 03-28
3682 기고문  ×1 ×1 비밀글 보건환경연구원 03-27
3681 기고  ×1 ×1 비밀글 보건환경연구원 03-25
3680 공직자와 도민감사관의 청렴관  ×1 ×1 도민감사관 김용균 03-20
3679 [기고] 생활주변 자연재난 위험요인 확인으로 피해 최소화 첫걸음  ×1 장명서 03-20
3678 제주 환경보전분단금 도입 신중해야  ×1 [1] 강승현 03-20
3677 공유형 퍼스널 모빌리티 안전하게 이용하자!  ×1 김규범 03-19
3676 기후변화 시대, 자연이 품은 생명의 물을 아끼자!  ×1 비밀글 고기봉 03-17
3675 2024 청정제주환경모니터단 활동계획  ×1 ×1 청정제주환경모니터단 부단장 김용균 03-16
3674 소화기 비치, 이제는 선택이 아닌 필수!  ×1 비밀글 고기봉 03-15
3673 (사)제주YWCA, ‘2024년 1차 이사실무자 연수’ 진행  ×1 [1] (사)제주YWCA 03-13
3672 기고문  ×1 ×1 비밀글 보건환경연구원 03-13
3671 조상윤 논설위원님 [2] 까마귀 03-12
3670 도전을 향한 새로운 날개, 청년도전지원사업  ×1 [1] 김신관 03-11
3669 소화기 비치, 이제는 선택이 아닌 필수!  ×1 고기봉 03-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