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종경보 문자! 효과 톡톡
2021-08-10 09:41
서귀포 (Homepage : http://)

원본 이미지 크기입니다.
실종경보 문자! 효과 톡톡
이젠 전 국민의 제보자!

치매노인 실종은 해마다 증가하고 있어 사회적 문제로 떠오르고 있다. 지난 2016년 9,869명에 그치던 실종자는 2019년 1만2,479명까지 증가했다. 2020년도 치매 실종신고는 1만 2,272여건에 이르고 있다..  치매환자의 실종 수색에 있어 초기에 발견하느냐가 관건인데, 초기 수색에 실패하면 이동 범위가 광범위해져 수색 인원과 시간은 확대되기 마련이다.

코로나19를 비롯한 재난이 발생 또는 예고될 때 사람들 대부분은 주의사항이나 대피 정보 등을 담은 정부의 긴급 재난 문자를 받아 본 적이 있을 것이다.

지난 5일 오후 2시 30분 및 7시40분께 휴대전화를 통해 ‘제주시 아라동 및 성산읍에서 실종된 주민 70세 및 84세를 찾습니다’라는 문자 메시지를 받은 상당수 도민은 처음엔 의아해했다는 후문이다. 이 메시지에는 실종자의 이름과 나이, 성별, 키와 몸무게, 옷차림 등의 정보가 담겨 있었다. 나중에 안 일이지만, 이것이 다름 아닌 지난 6월9일부터 시행된 ‘실종경보’ 문자였다. 법안 주요 내용은 치매환자, 아동 등의 실종 발생 시 즉시 발생지점으로부터 일정 반경 내 주민들에게 대상자의 인상착의와 실종 관련 정보를 문자메시지로 발송토록 하는 내용이다.  발견 후에는 발견 사실을 알리는 문자도 전송되며 실종경보문자의 남용을 방지하고 꼭 필요한 경우에만 활용하기 위해 메시지를 오전 7시에서 오후9시로 제한하고 있으며, 동일 대상자에게는 같은 지역 내 1회 발송을 원칙으로 하고 있다.

만18세 미만 아동, 지적·자폐성·정신장애인, 치매 환자 등 가족 실종을 대비해 ‘지문드ᅟᅳᆼ록사전등록제’를 이용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지문·사진·보호자 인적사항 등의 정보를 미리 등록해 놓으면 실종되었을 때 자료를 이용해 더욱 빨리 발견할 수 있다.
지문 등 정보는 가까운 경찰서를 방문하거나 안전드림 홈페이지(www.safe182.go.kr), 안전드림 앱에서 등록하면 된다. 이를 통해 대상자를 조기에 발견하고 보호자에게 신속히 복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목적이다. 

제주에서도 지난 5일 실종경보 문자 덕에 실종 신고된 2명이 신고 50분 내에 잇따라 발견돼 가족의 품으로 돌아갔다.
이런 문자 시스템이 누군가에게는 귀찮고 별 관심이 없을 수도 있지만 관심을 가지고 주의 깊게 본다면 위험에 빠질 수 있었던 귀중한 생명을 구할 수 있을 것이다. 시민의 관심과 참여로 실종경보 문자 제도 효과가 극대화되길 기대해본다.
자치경찰단 서귀포시 자치경찰 주민봉사대 고기봉 역대 대장

No 제목 이름 날짜
3039 야간학교 “동려”와 함께하는 전자파 예방교육 실시  ×1 한국방송통신전파진흥원 제주본부 12-04
3038 담장  ×1 ×1 강현윤 12-04
3037 [기고]‘골든타임’을 단축시키는 ‘U-119 안심콜 서비스’ 가입하셨나요?  ×1 ×1 남원119센터 소방사 김정호 12-02
3036 제주60+교육센터(용담), 인형극단 양성과정 교육실시  ×1 사단법인느영나영복지공동체 11-30
3035 그린뉴딜 정책과 노인일자리가 갈 방향  ×1 강동현 11-29
3034 뇌졸중 치료는 시간이 금이다  ×1 ×1 노형119센터 소방사 김주원 11-28
3033 백세인생의 고백  ×1 김병언 11-24
3032 백세인생의 고백  ×1 김병언 11-24
3031 [기고]올바른 난방용품 사용으로 따뜻하고 안전한 겨울 보내기  ×1 ×1 남원119센터 11-24
3030 전파분야 지역인재육성을 위한 전파측정 기술교육 특강  ×1 원도현 11-23
3029 자원봉사와 실적  ×1 ×1 김희범 11-23
3028 달리는 건강 쿠킹버스 코로나19 심리방역을 위한 [건강한식생활교육 및 콩…  ×1 서귀포YWCA 11-22
3027 성전환 수술을 거친 트랜스젠더, 우리는 그들을 인정하고 있나  ×1 고민희 11-22
3026 어린이보호구역의 불법주정차 금지 제안  ×1 김정열 11-21
3025 [기고]올바른 난방용품 사용으로 따뜻하고 안전한 겨울 보내기  ×1 ×1 남원119센터 11-19
3024 열려라, 공익활동 공간  ×1 김현(제주공익활동지원센터) 11-18
3023 ‘2021 전도 신장장애인 파크골프대회’ 성료  ×1 사)한국신장장애인협회제주협회 11-17
3022 아동 학대 예방의 날을 기억해 주세요!  ×1 김은지 11-17
3021 반복되는 아동학대! 여러분들의 관심과 동참이 절실합니다.   ×1 제주특별자치도아동보호전문기관 11-16
3020 1980년에 멈춰있는 성소수자들의 삶  ×1 동국대학교 영어영문학전공 이혜윤 11-15
3019 “우리, “마음(心) 겨울 채비” 할까요!”  ×1 한전 제주본부 한은진 차장 11-15
3018 112는 언제나 여러분 곁에 있습니다.  ×1 ×1 제주경찰청 112상황실 경감 강권삼 11-13
3017 날이 갈수록 말라가는 제주의 물  ×1 비밀글 김제곤 11-13
3016 11월 11일, 이제는 유엔 참전용사의 날로 기억되길  ×2 제주대학교 2학년 이해창 11-09
3015 [기고] 농업인의 날, 빼빼로데이와 상생해야  ×1 ×1 농협경주환경농업교육원 김종우 교수 11-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