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적 건강을 위한 백신 '치유농업'
2021-06-24 05:46
고기봉 (Homepage : http://)

원본 이미지 크기입니다.
사회적 건강을 위한 백신 ‘치유농업’

코로나 블랙의 시대가 왔다. '우울'을 뜻하는 '블루'를 넘어서 좌절, 절망, 암담함을 느끼는 증상이 세계를 집어삼켰다. 타인과 접촉은 물론 집 밖으로 나서는 일조차 쉽지 않다.

자연 속에서 맑은 공기를 마시면서 삼림욕을 즐기거나 농가에서 직접 재배한 신선한 식재료로 만든 밥상을 맛보고 다양한 농촌자원을 활용한 자연 속 치유를 경험할 수 있는 농업체험 프로그램이 인기다.

최근의 코로나 블루가 아니더라도 인구 고령화, 과중한 스트레스 등 국민의 심리·사회적 문제가 증가하고 있어 치유는 사회 전반에 매우 중요한 키워드가 됐다.

복잡하고 다양한 생활 속에서 무한경쟁으로 하루하루를 살아가야 하는 현대인들은 삶의 스트레스가 날이 갈수록 쌓여가고 입시경쟁에 시달리는 청소년들 또한 심한 스트레스와 우울증으로 인한 사회적 아픔은 점점 커져만 가고 있다.
코로나19사태로 집안에서의 생활이 늘어나면서 많은 사람들이 고독감과 우울감에 시달리면서 신경정신계 질환으로 치료받는 사람들의 수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해외여행이 어려워진 여건 속에서 사람들은 가깝고 탁 튀인 공간으로 자신의 차를 타고 가족과 함께하는 여행이 일상화 되고 있다는 점을 감안할 때 우리 농촌현장은 이젠 새롭게 조명될 수밖에 없을 것으로 판단된다.

치유·힐링에 대한 관심 증가에 따라 자연과 경관, 농촌문화를 활용해 국민의 건강을 증진하고 농가소득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치유농업 관광의 사회적 역할이 증대되고 있다.

치유농업은 농업활동이나 농촌의 어메니티 등 자원을 통하여 국민들에게 건강과 휴양에 도움을 주면서 사회적 기여로 경제적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농업의 새로운 경영방식을 말한다.

유럽의 선진국에서는 사회복지의 한 대안으로 자리 잡고 있는 치유농업을 케어 파밍(care fram), 소설파밍(so-cial farming) 이라는 명칭으로 활성화되어 많은 농장들이 운영되고 있고, 농부들은 이를 통해 사회에 기여하면서 부가적인 소득으로 농업의 가치를 올리고 있다.
현재 우리 농촌이 처한 고령화나 지방소멸, 문화적 혜택 부족 등 각종 문제를 치유농업을 계기로 기회 삼아 문제의 해결 대안을 찾아내는 공간으로 활용되길 바란다.

지난 3월25일 치유농업 연구개발 및 육성에 관한 법률이 시행됨에 따라 코로나19로 지친 국민들의 휴식 공간으로써 농촌의 활용 방안이 모색되고 있어 농촌자원을 활용한 치유관광의 가치를 발굴하고 활성화 전략을 개발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필요한 때라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주도에서는 성공적인 정책을 위해 관광을 넘어서 치유농업까지 선도적인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함께 연구하고 노력해야 할 것이다.
본격 시행되는 치유농업의 가치와 순기능이 널리 알려져 우리 사회 건강을 담보하는 백신으로 인정받기를 바란다.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시간강사 고기봉(행정학 박사)

No 제목 이름 날짜
3662 마음도 따뜻해지는 천원의 아침밥  ×1 김신관 03-04
3661 cccc asdg 03-01
3660 제주교육발전특구지정을 환영한다.  ×1 ×1 [1] 제주도교육청미래교육소통위원회 위원 김 03-01
3659 (사)제주YWCA, ‘2024 가정폭력전문상담원 양성교육’ 교육생 모집  ×2 [1] (사)제주YWCA 02-29
3658 우리도 농민수당 주세요  ×1 ×1 제주특별자치도 도정정책평가단 김용균 02-29
3657 따뜻한 봄과함께 찾아오는 공사장 안전사고  ×1 ×1 한림119센터 소방장 이정훈 02-29
3656 기고문  ×1 ×1 비밀글 이휘재 02-29
3655 (사)제주YWCA중등청소년방과후아카데미, ‘사이다:사이좋게 다함께 함께하… (사)제주YWCA중등청소년방과후아카데 02-28
3654 (사)제주YWCA중등청소년방과후아카데미, ‘재미있는 과학실험’ 진행  ×1 (사)제주YWCA중등청소년방과후아카데 02-27
3653 도민감사관 분임활동을 시작하며  ×1 ×1 도민감사관 김용균 02-26
3652 농민수당지급대상자 확대를 기대하며  ×1 ×1 김용균 02-25
3651 제주도재향군인회 제66차 정기총회 및 태극기달기 캠페인  ×2 제주도향군 02-23
3650 “주거”사람을 살리는 희망  ×1 ×1 허재진 02-23
3649 (사)제주YWCA중등청소년방과후아카데미, ‘뽕그랭히 배우는 경제교육’ 진…  ×1 (사)제주YWCA중등청소년방과후아카데 02-21
3648 청년정책 참여활동은 '제주청년센터'에서  ×1 김신관 02-19
3647 기고문  ×1 ×1 비밀글 이휘재 02-16
3646 청년정책 정보가 온다! 제주청년등록시스템(청년DB)  ×1 김신관 02-11
3645 흐릿한 목표를 확고하게 해준 소방실습을 마치며  ×1 강시혁 02-08
3644 솜다리도타리클럽 위문 격려  ×1 창암교육활동센터 02-06
3643 설 명절 고유 전통의 의미 살리고 청렴한 공직문화 조성에 앞장  ×1 제주특별자치도개발공사 백경훈 사장 02-06
3642 제주솜다리로타리클럽, (사)제주YWCA에 취약계층 청소년들을 위한 쌀 300kg 및…  ×1 (사)제주YWCA 02-05
3641 기고)올해 지방세 제도 어떻게 달라지나요  ×1 고종필 02-04
3640 도민감사관의 직무  ×1 ×1 도민감사관 김용균 02-03
3639 가스 안전 수칙 실천으로 행복한 신구간  ×1 ×1 서귀포소방서 효돈119센터 백승종 01-31
3638 희망과 꿈이 가득한 오조리 마을을 꿈꾸며  ×1 01-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