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린 투어리즘과 6차 산업, 제주 도약 발판 마련
2021-06-10 15:33
양인헌 (Homepage : http://)

원본 이미지 크기입니다.
최근 젊은 세대는 점점 교육환경과 편의시설 중심으로 도시로 떠나기 시작하면서 고령화가 이루어지고 있는 농촌 지역은 어두운 그림자가 돌고 있다.
이로 인한 1차 산업은 한계를 맞이해야 하는 관경을 바라보아야 한다. 이렇게 회색빛이 돌고 있는 농촌에 활기를 불어넣기 위해서 그린 투어리즘(Green Tourism)의 요소를 가미한다면 좋은 대안으로써 작용한다.

그린 투어리즘은 생활과 산업에 있어 도시민들이 농촌 주민들과 교류를 하며 농촌의 풍부한 자연과 문화를 느끼게 해준다. “그린 투어리즘”이란 프랑스에서 녹음이 짙은 전원에서 관광을 “녹색관광”이라고 부르면서 사용되기 시작했다.
주변 국가인 일본 아지무 마을은 그린 투어리즘을 이용한 관광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전담팀을 만들어 많은 지원을 하고 있으며, 최대한 개개인의 경제적인 요건이 필요 없도록 지원을 하고 있다.

이처럼 제주도의 농촌 지역도 우리가 가능한 부분을 수용하며 하나의 관광지로 자리매김하도록 노력할 필요가 있다. 제주도 농촌 지역이 이처럼 발전한다면 우리는 관광 자원을 확장하여 새로운 관광 사업을 진행할 수 있다.

그린 투어리즘이란 단어는 우리에게 익숙하다. 10여 년 전부터 우리나라에서도 이와 관련된 많은 사업이 이루어져 왔기 때문이다. 이미 제주 농업 농촌 6차 산업 지원센터를 통하여 6차 산업을 이룩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최근 농업은 생산, 가공, 유통 등을 아우르는 고부가가치의 새로운 융합형 농업으로 발전하면서 농업의 패러다임이 농업. 농촌을 지속적으로 발전시키고 지역경제를 살찌우는 방안인 6차 산업으로 창조되고 있다.
생산 중심의 먹는 농업에서 벗어나 농산물 생산, 유통, 소비, 수출입 등 전방위에 걸쳐 부가가치를 증대시키고 기능성 농업, 치료 농업, 관광 농업이 어우러진 미래형 6차 산업으로 나아가야 농업발전과 농촌에 희망이 있다.

제주도의 지역적 특성을 살리고 소비자의 소비패턴에 부응하는 6차 산업에 방점을 찍고 인식변화 등 변화된 농업의 행태로의 전환이 이루어진다면 이내 우리 지역을 찾는 방문객은 증가할 것이고 제주도는 이를 토대로 활력을 찾을 것으로 기대된다.

그린 투어리즘을 연관시켜 폭넓은 소득을 창출하고 직거래의 활성화로 신선한 농산물을 제공하고, 우리지역에서 생산되는 농특산물을 우리지역에서 먼저 소비할 수 있는 지역민들의 커뮤니케이션의 공간이 생겼으면 하는 바람이다.

No 제목 이름 날짜
3022 아동 학대 예방의 날을 기억해 주세요!  ×1 김은지 11-17
3021 반복되는 아동학대! 여러분들의 관심과 동참이 절실합니다.   ×1 제주특별자치도아동보호전문기관 11-16
3020 1980년에 멈춰있는 성소수자들의 삶  ×1 동국대학교 영어영문학전공 이혜윤 11-15
3019 “우리, “마음(心) 겨울 채비” 할까요!”  ×1 한전 제주본부 한은진 차장 11-15
3018 112는 언제나 여러분 곁에 있습니다.  ×1 ×1 제주경찰청 112상황실 경감 강권삼 11-13
3017 날이 갈수록 말라가는 제주의 물  ×1 비밀글 김제곤 11-13
3016 11월 11일, 이제는 유엔 참전용사의 날로 기억되길  ×2 제주대학교 2학년 이해창 11-09
3015 [기고] 농업인의 날, 빼빼로데이와 상생해야  ×1 ×1 농협경주환경농업교육원 김종우 교수 11-08
3014 의료 사각지대로 내몰린 농촌, 기다릴 여유가 없다.  ×1 임규현(농협창녕교육원 교수) 11-08
3013 2021년 노인일자리(전기차충전기관리사업)를 마치며..  ×1 허옥일 11-05
3012 자원순환사회로 가는 제주  ×1 ×1 제주도청 자원순환관리팀장 정근식 11-04
3011 김장철 원산지 위반, 이제는 달려져야!  ×1 ×1 농협경주환경농업교육원 김종우 교수 11-03
3010 제주역사문화재돌봄센터, 해신사, 김석윤 가옥, 제주목 관아, 삼성혈 4곳에…  ×1 제주문화진흥재단 11-03
3009 코로나19, 일상회복 그리고 농업인의 날  ×1 유승훈(농협구례교육원 교수 11-02
3008 기고  ×1 이선엽(제주대학교 행정학과) 11-01
3007 사)한국신장장애인협회제주협회 ‘2021 새 생명 나누기’사랑의 장기기증 …  ×1 ×1 사)한국신장장애인협회제주협회 11-01
3006 우리 가족을 위한 보행자 중심 교통문화 만들기  ×1 ×1 생활공감 정책 10-31
3005 국민의 비상벨 112 올바른 신고를 당부한다 강준익 10-30
3004 알고 있었나요?편리한 지방세 납부 방법  ×1 강동훈/남원읍사무소 10-29
3003 서귀포시노인복지관 노인일자리를 통해 나의 노년의 즐거움을 찾다  ×2 가순열 10-28
3002 서귀포YWCA 평화아카데미 현장탐방 진행  ×1 서귀포YWCA 10-27
3001 제주역사문화재돌봄센터, 추자도에서 최영장군 사당 등 정비 진행  ×2 제주문화진흥재단 역사문화자돌봄센터 10-27
3000 비대면 디지털 건강관리 집중  ×1 ×1 오미옥 10-25
2999 (기고)신고포상제를 아시나요?  ×1 연동119센터 현재민 10-21
2998 (기고)위드 코로나 시대 장애인 인권  ×1 ×1 비밀글 강지호 1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