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보호구역 이대로 놔두어도 괜찮은가?
2020-12-21 08:33
한지원 (Homepage : http://)
하지만 우리의 주위를 둘러봐도 분명히 과속의 대상이 되는 차량들이 고지서가 날라오지 않는 것은 공공연하게 벌어지는 일입니다. 그런데도 바뀌지 않은 것은 문제가 있다.



하나의 사례를 봐 보겠다. 강원도 인제에서 A 양(8세)가 어린이 보호구역 내에서 과속하던 트럭에 치여 숨졌다. 하지만 이 사고가 발생한 후에도 시설은 나아지지 않았다. 사고가 난 그날 1시간 동안 제한 속도인 시속 30㎞를 지키는 차량은 단 한대도 없었고, 과속 단속카메라도 설치돼 있지 않았다. 횡단보도에는 보행자 신호등이 없고 차량 신호등은 점멸 상태였다. 이곳의 한 주민은 “불법 주 정차 차량때문에 등하굣길 키가 작은 저학년 아이가 튀어나오는 것을 못 볼 위험이 있다”고 했고 “차량이 읍내에 진입하기위해 지나는 도로라 속도가 붙은 차량들이 많아 과속단속장비나 불법 주 정차 단속 카메라 설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하지만 이후에도 인제 경찰서 관계자는 “사고 직후 보행자울타리를 추가 설치하고 보행자신호등은 현재 설치 공사 중”이라고 했지만 “과속 단속 장비나 불법 주 정차 단속카메라 설치는 현재 고려하고 있지 않다”고 밝혔다. (출처:강원도민일보)



위의 사례는 다른 지역의 사례이다. 하지만 다른 지역에서 일어난 일이 우리 지역, 제주도에서 안일어 날 확률은 거의 없다. 즉 이렇게 허술한 단속과 장비로는 이런 일이 일어날수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위에서는 과속에 대한 사례를 소개했다면 이번에는 불법 주 정차의 사례를 봐 보겠다. 바로 유명한 민식이법이다. 물론, 민식이 법은 불법 주 정차와는 상관이 없다. 하지만 민식이가 사고를 당한 이유는 신호대기 중이던 차에 가려 달려오고 있던 차를 보지 못하고 달려오던 민식이는 그대로 차에 치여 숨졌다. 하지만 당시 사고 차량 운전자는 시속23.6km로 주행을 하며 어린이 보호구역 시속30km 제한을 지켰다. 지금 여기서 내가 말하고 싶은 점은 민식이는 신호 대기로 정차 중이던 차에 가려져서 사고 차량 운전자가 보지 못했다는 것이다. 이것은 횡단보도 끝 선에 맞춰 주 정차를 한 차량에 가려 우리가 치일 수도 있다는 것이다. 심지어 내가 살고 있는 동네에는 어린이 보호구역 내에서 신호등이 설치 되지 않아 횡단보도를 건널 때 마다 주 정차된 차량을 넘어 차가 오는지 안 오는지 살피다 사고를 당할 뻔한 적도 있다.



위에 사례들을 보았을때 우리는 더욱 철저한 과속과 불법 주정차단속과 오류로 인해서 과속과 불법주차 단속을 빠져나가는 차들을 더 철저하게 잡아야한다. 또한 초등학교 정분에서300M 내가 스쿨존인 법을 개정하여스쿨존의 법위를 넓히고 스쿨존 내의 부족한 안전장치와 신호등을 의무 설치 해야하는 법을 만들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No 제목 이름 날짜
3318 기초연금 이렇게 달라집니다.  ×1 제주도청 유은숙 01-25
3317 고향집, 화재예방을 선물하세요  ×1 서부소방서 안덕119센터 고길훈 01-21
3316 우도119지역대-남·여 의용소방대 취약계층 생필품 지원  ×1 우도119지역대 소방사 김정호 01-20
3315 양지공원 특별관리대책 추진협조  ×1 도청 노인복지과 유은숙 01-16
3314 (기고)영세 지방세 납세자를 위한 선정대리인 제도  ×1 고종필 01-13
3313 소방시설 등에 대한 불법행위에 ‘엄근진’하자  ×1 서부소방서 영어교육도시119센터장 김 01-10
3312 세상을 바꾸는 소통의리더십  ×1 [2] 오조리마을회 01-08
3311 겨울철 3대 화재 위험 전기제품!  ×1 김재업 01-05
3310 [기고] 身土不二 농축산물로 기부촉매제 역할을 하자!  ×1 ×1 배동언 01-04
3309 제주특별자치도장애청소년직업지도센터 도내 특수학교(급) 졸업을 앞둔 장… [1] 오경미 01-03
3308 소상공인 탄소포인트제를 아시나요!  ×1 [1] 고기봉 01-03
3307 사회적경제활성화 제주네트워크 '너도나도 우산함께' 사회적경제 인식개…  ×1 서귀포YWCA 12-29
3306 제주일고 38회 동창회 시온빌 자립생활관 후원  ×1 [1] 김정미 12-28
3305 한라야생화 온라인전시회에 초대합니다.  ×2 김평일 12-25
3304 제주원광재가노인복지센터 어르신 활동작품 전시회 “원광愛 작은 행복이…  ×2 [1] 제주원광재가노인복지센터 12-23
3303 한국전기공사협회 제주특별자치도회 천사의집에 성금기탁  ×1 천사의집 12-19
3302 디지털시대에 적응하는 우리 멋져요  ×1 강건혁 12-18
3301 심폐소생술! 의무교육으로  ×1 비밀글 성산 12-17
3300 겨울철 도로 위, 이것 조심하자! 도로 위의 암살자 '블랙아이스' 피할 수 …  ×1 [1] 제주대학교학생 김동건 12-17
3299 배달료, 수수료 걱정없이 맛있게!  ×1 [2]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강예린 12-17
3298 모두를 위한 키오스크, 가능할까? 키오스크 노인 접근성 개선돼야… [1] 정지우 12-16
3297 [기고]다시 뛰는 장년층, 희망의 디딤돌  ×1 ×1 [4] 백은숙 12-14
3296 제주영락종합사회복지관, 제주신협과 함께하는 "따뜻한 김장나눔"   ×1 제주영락종합사회복지관 12-13
3295 오·폐수의 무단 방류로 인한 바다 생태계 파괴를 막기 위한 우리의 자세  ×1 ×1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강지훈 12-12
3294 [기고] 119안심콜 서비스 선택이 아닌 필수  ×1 ×1 [3] 강기수(남원119센터 소방사) 12-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