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물단지가 되어버린
2020-12-08 16:52
고동훈 (Homepage : http://)

원본 이미지 크기입니다.
애물단지가 되어버린 클린하우스

관광을 주 사업으로 하는 제주도에서는 매일 같이 많은 관광객과 이주민의 증가로 쓰레기 문제로 골을 앓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2006년 클린하우스 제도를 도입하게 된다. 이는 곧 재활용품의 분리수거, 쓰레기 배출 제한 등의 효과를 거두었으나 이후 많은 문제를 만들게 된다.
요일별 배출제로 인해 종이와 플라스틱 등과 같이 크기나 양이 많은 쓰레기가 배출되는 날에는 수거함으로 감당하기 힘들정도로 쓰레기가 쌓인다. 이로 인해서 도시미관을 해치게 되고 불쾌감을 갖게 한다. 이는 수거함의 부족, 인구, 관광객의 증가 등과 같은 원인으로 발생한다.. 또한 여름철과 같은 경우에는 더욱 많은 문제가 발생한다. 제대로 씻지 않은 음료수병, 플라스틱, 기타 쓰레기, 분리수거를 하지 않고 혼합배출을 하는 등의 문제로 악취가 발생한다. 특히 여름철 음식물 쓰레기의 경우에는 부패가 더욱 빠르고 날파리, 악취, 해충 등의 발생으로 민원이 많이 발생한다. 그로 인해 민원의 발생, 주민들의 이용 불편 등을 낳고 있다. 그리고 이용자인 시민의 문제도 존재한다. 요일별 배출제의 시행으로 인해 한번 버리지 못하면 계속해서 쓰레기가 쌓이게 되어 분리수거, 쓰레기 분류, 배출에 힘이 들게 된다. 결국엔 쓰레기 분리수거를 하지 않고 배출하여 봉투를 뜯고 다시 분류를 해야하고 쓰레기 쌓임, 종량제봉투를 사용하지 않고 불법 투척을 해버리는 등의 행위로 이어져 결국은 미화원, 수거업체의 몫이 된다. 결국에 이는 행정력을 낭비하게 되는 원인이 된다고 볼 수 있으며 가장 근본적인 문제라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가장 최우선 되는 것은 이용자인 시민들의 의식 개선이 필요하다. 물론 수거함의 용량 부족, 배출 시간과 생활시간의 불일치 등과 같은 문제로 배출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것도 있지만 클린하우스를 사용하는 모든 이용자가 철저하고 확실한 분리배출을 한다면 주변 미관을 해칠 정도로 쓰레기가 쌓이지 않고 불법 투척으로 문제가 되는 것도 없어질 것이다. 또한 도에서는 재활용 도움센터를 설치하여 노인일자리 창출 및 확실한 분리수거에 도움을 주고 있다. 실제로 재활용 도움센터 내부에는 근로자가 항시 대기하고 페트병 압축기, 종이, 비닐, 플라스틱, 병류 수거함을 배치하여 더욱 잘 분리배출 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고 있다.
이와 같이 도에서도 문제에 대해 관심을 갖고 해결하기 위한 정책을 펼쳤다는 것을 보여준다. 따라서 우리도 문제의 해결을 위해서 철저한 분리수거 배출에 힘을 써야할 것이다.

No 제목 이름 날짜
3987 봄철 부주의 화재, 예방이 최우선!  ×1 제주소방서 외도119센터 조영수 04-14
3986 환경은 선택이 아니라 생존이다  ×1 ×1 강지상 04-11
3985 산불, 우리 모두가 경각심을 가져야 할 때!  ×1 김제현 04-11
3984 (기고) 비밀글 박승빈 04-10
3983 전동가위 사고 주의! "안전이 수확의 시작입니다”  ×1 제주특별자치도의용소방대연합회 여성회장 04-10
3982 (기고)제주 바다를 지키는 작은 실천, 플로깅의 힘 제주 해양수산연구원 김수강 04-10
3981 불법 소각, 더 이상은 안 됩니다  ×1 ×1 아라119 센터장 김승률 04-09
3980 두 바퀴 위의 제주, 변화의 길을 찾다  ×1 오명수 04-07
3979 산불, 우리 모두가 경각심을 가져야 할 때!  ×1 김제현 04-04
3978 [기고] 봄철 산불, “작은 부주의”가 대형 사회재난으로 이어집니다.   ×1 ×1 김지훈 04-04
3977 119구조대가 알려주는 봄철 안전하게 산행하기  ×1 제주소방서 119구조대 김현진 04-02
3976 고사리 채취 안전수칙!  ×1 제주특별자치도의용소방대연합회 여성회장 03-31
3975 서귀포시노인복지관, 고치모영봉사단 어반스케치팀 '겨울이야기25' 작품…  ×2 서귀포시노인복지관 03-27
3974 [기고] 오동통통 고사리 안전하게 따세요  ×1 제주소방서 119구조대 김현진 03-27
3973 (기고)김 육상양식산업의 미래, 제주 염지하수가 답이다  ×1 제주특별자치도 해양수산연구원 김수강 03-26
3972 (사)제주YWCA중등청소년방과후아카데미, ‘찾아가는 청소년 노동 인권 교육…  ×1 (사)제주YWCA중등청소년방과후아카데 03-19
3971 세계 물의 날을 맞이하여  ×1 고기봉 03-15
3970 (사)제주YWCA, ‘2025 1차 이사실무자 연수’ 진행  ×1 (사)제주YWCA 03-12
3969 길어진 바닷속 여름, 수산물이 사라지고 있다.  ×1 제주특별자치도 해양수산연구원 김수강 03-12
3968 3월 22일 물의 날, 제주 지하수가 마르고 있다  ×1 김현우 03-11
3967 도민감사관 직무와 역할  ×1 ×1 도민감사관 김용균 03-11
3966 (기고)고향사랑기부로 함께하는 ‘제주오름 지킴이’  ×1 제주시 양은옥 03-10
3965 (사)제주YWCA중등청소년방과후아카데미, ‘미소이음(친사회성증진프로그램)…  ×1 (사)제주YWCA중등청소년방과후아카데 03-04
3964 (기고) 뜨겁게 피어오르는 제주의 문화  ×1 ×1 고란영 02-25
3963 주택용 소방시설 설치, 작은 실천이 큰 변화를 만든다.  ×1 고기봉 02-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