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물단지가 되어버린
2020-12-08 16:52
|
|||
---|---|---|---|
고동훈 (Homepage : http://)
|
|||
관광을 주 사업으로 하는 제주도에서는 매일 같이 많은 관광객과 이주민의 증가로 쓰레기 문제로 골을 앓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2006년 클린하우스 제도를 도입하게 된다. 이는 곧 재활용품의 분리수거, 쓰레기 배출 제한 등의 효과를 거두었으나 이후 많은 문제를 만들게 된다. 요일별 배출제로 인해 종이와 플라스틱 등과 같이 크기나 양이 많은 쓰레기가 배출되는 날에는 수거함으로 감당하기 힘들정도로 쓰레기가 쌓인다. 이로 인해서 도시미관을 해치게 되고 불쾌감을 갖게 한다. 이는 수거함의 부족, 인구, 관광객의 증가 등과 같은 원인으로 발생한다.. 또한 여름철과 같은 경우에는 더욱 많은 문제가 발생한다. 제대로 씻지 않은 음료수병, 플라스틱, 기타 쓰레기, 분리수거를 하지 않고 혼합배출을 하는 등의 문제로 악취가 발생한다. 특히 여름철 음식물 쓰레기의 경우에는 부패가 더욱 빠르고 날파리, 악취, 해충 등의 발생으로 민원이 많이 발생한다. 그로 인해 민원의 발생, 주민들의 이용 불편 등을 낳고 있다. 그리고 이용자인 시민의 문제도 존재한다. 요일별 배출제의 시행으로 인해 한번 버리지 못하면 계속해서 쓰레기가 쌓이게 되어 분리수거, 쓰레기 분류, 배출에 힘이 들게 된다. 결국엔 쓰레기 분리수거를 하지 않고 배출하여 봉투를 뜯고 다시 분류를 해야하고 쓰레기 쌓임, 종량제봉투를 사용하지 않고 불법 투척을 해버리는 등의 행위로 이어져 결국은 미화원, 수거업체의 몫이 된다. 결국에 이는 행정력을 낭비하게 되는 원인이 된다고 볼 수 있으며 가장 근본적인 문제라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가장 최우선 되는 것은 이용자인 시민들의 의식 개선이 필요하다. 물론 수거함의 용량 부족, 배출 시간과 생활시간의 불일치 등과 같은 문제로 배출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것도 있지만 클린하우스를 사용하는 모든 이용자가 철저하고 확실한 분리배출을 한다면 주변 미관을 해칠 정도로 쓰레기가 쌓이지 않고 불법 투척으로 문제가 되는 것도 없어질 것이다. 또한 도에서는 재활용 도움센터를 설치하여 노인일자리 창출 및 확실한 분리수거에 도움을 주고 있다. 실제로 재활용 도움센터 내부에는 근로자가 항시 대기하고 페트병 압축기, 종이, 비닐, 플라스틱, 병류 수거함을 배치하여 더욱 잘 분리배출 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고 있다. 이와 같이 도에서도 문제에 대해 관심을 갖고 해결하기 위한 정책을 펼쳤다는 것을 보여준다. 따라서 우리도 문제의 해결을 위해서 철저한 분리수거 배출에 힘을 써야할 것이다. |
|
쓰레기·토사물에 막힌 빗물받이 준설 집중
제주자치도의회 4기 예결위원장 강상수·부위원…
서귀포서 ‘연락 두절’ 70대 치매 노인 숨진 채 …
국민의힘 내년 지방선거 이끌 제주도당 위원장 …
제주 차량 절도 후 도주한 10대들… 무인점포까…
이른 폭염 장기화 예상 화재위험경보 경계' 단계
양영철 전 JDC 이사장 "국토부가 주요 사업 정상…
[현장] “폭염에 손님 뚝”… 상인들의 힘겨운 …
국무총리 비서실장에 민기 제주대 행정학과 명…
제주 공무원 어린이집 방학기간 자녀와 함께 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