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농촌에 부는 스타트업 바람을 기대하며
2020-11-17 16:47
송민형 (Homepage : http://)

원본 이미지 크기입니다.
올해 들어 귓가에 자주 오르락내리락하는 단어가 하나있다. ‘스타트업’이 바로 그것이다. 동명의 제목으로 드라마가 인기리에 방영될 정도이면 이미 우리들 주변에 상당히 알려져 있다고 할 수 있다. 스타트업은 그 잣대가 꽤 다양해서 정확히 정의내리기는 힘들다. 다만, 현재의 불확실성을 극복하고 제품과 서비스를 창출해내는 조직이라 포괄적으로 말할 수 있을 것이다. 꼭 기업가치 1조 이상을 달성해 성공신화를 쓰고 있는 사례들만 스타트업에 포함할 필요는 없다. 우리 주변, 특히 농촌지역에도 성공을 위해 열정을 쏟고 있는 스타트업 조직이 있는데 바로 ‘청년농부’ 또는 ‘청년창업농’이 그들이다.

스타트업 세계에도 경쟁이 치열하니 자연스레 많은 실패가 뒤따르고 있다. 그래서 많은 전문가들은 실패를 겪더라도 다시 도전할 수 있는 제도적 뒷받침과 스타트업 생태환경 조성 등의 지원을 강조하고 있다. 그런데 농업에 도전하다 실패를 맛보게 되는 이들은 재도전하기 보다는 역귀농을 선택하고 만다. 농촌진흥청과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이 공동으로 조사한 귀농·귀촌인 정착실태 장기추적조사에 따르면 지난 해 역귀농률이 8.6%라고 밝힌 바가 있다. 심지어 한 귀농인은 전체 귀농인 중 평균 30%는 역귀농한다고 전했다.

지속가능한 발전을 바라지만 우리의 농촌 현실은 가혹하다. 통계청 조사에 따르면 작년 한 해 전남의 해남군 인구에 맞먹는 약 7만명의 농업인구가 감소했다고 한다. 또한 우리 농촌 경영주들의 평균 연령은 68.2세로 초고령화 사회를 한참 전에 진입했다. 이와 같은 악화일로의 상황에서 우리의 밥상을 책임질 청년농부를 비롯한 귀농인의 농촌사회 정착은 더없이 절실한 상황이다.

뿐만 아니라 코로나 일상의 원년인 지금 식량안보는 더욱 주목받고 있다. 코로나 봉쇄 속 각 나라의 식량정책과 이상기후로 인한 자연재해로 인해 우리의 식량 수급이 순식간에 어려움에 직면할 수 있다는 것을 체감할 수 있다. 또한 뭇매에 장사없다는 말처럼 정신없이 쏟아지는 위기상황이 지속된다면 우리는 과잉생산을 걱정했던 과거의 상황이 무색할 정도로 식량 주권을 상실하게 될 것이다. 사실 우리의 식량 자급률은 약 47%, 곡물의 경우 약 22%에 불과해 그 자급률은 세계 최하위 수준이다. 우리 농업을 지켜줄 동량들이 너무나도 간절한 상황이다.

귀농에 실패하는 데에는 여러 가지 원인이 있다. 앞서의 귀농·귀촌인 정착실태 장기추적조사에 따르면 자본과 정보의 부족, 현지 주민과의 불화가 역귀농의 주된 이유라는 것이 확인된다. 그러므로 정부와 지자체, 농협은 더욱 더 실효성있는 방안을 다각도로 강구하여 실질적 지원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힘써야 한다. 그리고 지역주민들은 생활방식의 차이가 존재함을 인식하고 상생을 대전제로 삼아 발생하는 갈등을 해소하고자 노력해야 한다. 끝으로 귀농인들은 주민들과의 화합이 귀농의 성패를 좌우한다는 공동체 의식을 가져야 한다. 또한 영농 노하우를 전수받고 연구하는 배움의 자세를 견지해서 영농에 임한다면 훌륭한 생활의 터전을 가꿀 수 있다.

조선 후기 학자 정학유가 지은 ‘농가월령가’에는 24절기에 맞게 필요한 농사기술과 세시풍속이 잘 서술되어 있다. 그 중 지금 시점과 일치하는 ‘10월령’을 살펴보면 김장을 하고 가족과 마을의 화목을 권하여 닥쳐올 겨울대비와 내년 농사의 풍작을 기원하고 있다. 옛 선조의 지혜에서 알 수 있듯이 지역주민, 귀농인과 정부·지자체 삼자는 서로 이해하고 화합을 다져 우리 농업의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얼마 전 농업인의 날 기념식에서 문재인 대통령은 기존 농업인과 청년농부의 성과에 감사해하며 우리 농촌이 민족 공동체의 터전임을 역설하였다. 앞으로도 농업의 가치를 더 많은 사람들이 이어받아 우리의 들녘에 스타트업 바람이 끊기지 않고 계속 불어 지속가능하고 살맛나는 농촌이 되기를 기대한다.

No 제목 이름 날짜
3337 제주 미래농업을 위한 혁신의 주체는 농업인이다.  ×1 ×1 비밀글 김혜은 03-02
3336 체리슈머와 로컬푸드  ×1 ×1 비밀글 조정훈 03-02
3335 서귀포YWCA, 국민취업지원제도 참여자 모집 신민경 02-28
3334 이도2동, 모두가 함께하는 즐거운동네사업 추진   ×1 ×1 이도2동 02-27
3333 13월의 보너스 고향사랑기부제와 함께  ×1 ×1 한미선 02-24
3332 사회복지법인 청수 한부모와 자녀들 입학&졸업 축하 기념식 개최  ×1 애서원 02-23
3331 (기고)대공간 지하층 피난 안전관리의 중요성  ×1 ×1 안덕119센터 소방사 김덕남 02-22
3330 제이피엠 사랑의 헌혈봉사  ×1 (주)제이피엠 02-20
3329 지방이 살아야 나라가 산다  ×1 강평구 02-16
3328 정전 사고 예방을 위한 아파트 노후 변압기 교체․지원  ×1 한전 제주본부 영업계획팀장 김경수 02-15
3327 기후위기시대 자연보호 활동의 중요성  ×1 자연보호중앙연맹 표선면지회장 강 희 02-14
3326 중문요양원 화재안전컨설팅  ×1 중문119센터 소방사 강준수 02-14
3325 기고(인공지능으로 어르신의 삶의 질 높인다)  ×1 유은숙 02-13
3324 안전한 물 통합관리에 달렸다.  ×1 고기봉 02-12
3323 기고(윤달 앞두고 화정서비스 확대)  ×1 제주도청 유은숙 02-06
3322 서귀포4-H회장 소고  ×1 ×1 서귀포 4-h회장 소고 02-03
3321 자발적인 마스크 착용의 중용성  ×1 ×1 김성봉 02-01
3320 안전하고 행복한 이사를 위하여  ×1 박창형 01-31
3319 [기고]공사장 용접 작업 시 안전 수칙 잘 지키자  ×1 우도119지역대 소방사 문종호 01-27
3318 기초연금 이렇게 달라집니다.  ×1 제주도청 유은숙 01-25
3317 고향집, 화재예방을 선물하세요  ×1 서부소방서 안덕119센터 고길훈 01-21
3316 우도119지역대-남·여 의용소방대 취약계층 생필품 지원  ×1 우도119지역대 소방사 김정호 01-20
3315 양지공원 특별관리대책 추진협조  ×1 도청 노인복지과 유은숙 01-16
3314 (기고)영세 지방세 납세자를 위한 선정대리인 제도  ×1 고종필 01-13
3313 소방시설 등에 대한 불법행위에 ‘엄근진’하자  ×1 서부소방서 영어교육도시119센터장 김 0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