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단시설에서의 코로나119 방역수칙
2020-10-25 10:54
한봉석 (Homepage : http://)

원본 이미지 크기입니다.
집단시설에서의 코로나19 방역수칙

공중위생팀장 한봉석

최근 유럽의 코로나19 재확산세가 통제 불능 상태로 치달으면서 각 국가들이 극단적 조치인 봉쇄령을 다시 꺼내드는 등 비상이 걸렸다.

지난 12일 사회적 거리두기가 2단계에서 1단계로 완화된 가운데 제주도는 19일부터 ‘제주형 특별방역 행정조치(6차)’를 시행하고 있다.

업종에 따라 마스크 착용 의무화, 집합제한, 집합금지 조치가 진행 중이다.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최근 2주간(10. 9∼22일) 코로나19 국내 발생 감염경로는 요양병원 등 23.6%, 해외유입 23.6%, 집단발병 22.1%, 선행 확진자 접촉 18.2%, 조사 중 12.5%로 나타났다.

지난 1월 이후 확진자의 성별 누계를 보면 남성 47%, 여성 53%, 연령대에서는 10대 이하 8%, 20~30대 32%, 40~50대 32%, 60대 이상 28%로 조사됐다.

사망 현황은 60대 이상 94%로 나이가 많을수록 높다. 특히 80대 이상에서 치명률이 높았다.

이에 따라 병원과 요양원 등 집단시설 종사자들은 코로나19 예방을 위한 감염 예방 행동수칙을 잘 지켜야 한다.

우선 근무자, 환자, 간병 인력 등에 대한 코로나19 의심 증상을 매일 확인해 기록하고 37.5℃ 이상 발열, 기침 등의 증상이 있으면 업무를 중지하고 코로나19 진단검사를 받아야 한다.

또 손에 오염물이 묻었으면 즉시 물과 비누로 잘 씻고 2미터 이상(최소 1미터 이상) 거리두기를 실천해야 한다.

이와 함께 허가받은 환경 소독제를 사용해 손이 닿는 표면 등을 닦아 내는 방법으로 자주 소독 및 환기를 해야 한다.

불가피한 경우를 제외하고 시설 내 모든 사람은 항상 마스크를 코 접촉 부분을 눌러 얼굴에 밀착되도록 올바르게 착용한다.

마지막으로 발열과 호흡기 증상이 있는 사람은 시설 출입을 삼가하고, 마스크 착용, 손 소독 등 감염관리 수칙을 철저히 준수하여 시설을 이용해야 한다.

사회적 거리두기가 1단계로 완화됐다고 해서 느슨해져선 안 된다. 감염 예방 행동수칙을 잘 지키는 게 코로나19를 극복하는 최선의 방법이다.




No 제목 이름 날짜
2814 놀 곳이 없는 아이들 김수진 12-16
2813 바뀌지않는 신호등, 주민들은 불편하다 김채윤 12-16
2812 우리의 목숨을 위협하는 신호등 없는 횡단보도 한지연 12-16
2811 건강까지 위협하는 미세플라스틱, 플라스틱 사용 줄여야  ×1 김두아 12-16
2810 주차문제, 어떻게 해결할 것인가? 조하은 12-15
2809 "탄소 없는 섬" 제주 구현 노력  ×1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고아라 12-15
2808 제주 드림타워 수도문제 이대로 괜찮은가 한승우 12-14
2807 물로 넘쳐나는 길 홍예림 12-13
2806 어린이공원 조민경 12-13
2805 재활용이 안되는 플라스틱이 있다는 사실 아시나요?  ×1 김효지 12-13
2804 제주, 교통문제를 줄이기 위한 노력  ×1 강동호 12-12
2803 제주 환경보전 기여금 제도를 아시나요?  ×1 강서현 12-11
2802 올바른 공직생활로 가는 지름길 나로부터의 청렴  ×1 ×1 홍은지 12-10
2801 미세먼지는 어떻게 만들어지는 것일까?  ×1 최유라 12-09
2800 우리 마을 버스의 버스 크기를 늘려주세요  ×2 오윤정 12-09
2799 우리 일상 속 버스 정류장  ×2 강서영 12-09
2798 우리 마을의 버스 크기를 늘려주세요  ×1 오윤정 12-09
2797 코로나19, 페마스크의 발생에 따른 환경오염 해결 방안  ×1 부소연 12-08
2796 제주도를 지키기 위한 환경보호 운동이 필요합니다.  ×1 이소민 12-08
2795 애물단지가 되어버린   ×1 고동훈 12-08
2794 코로나19로 인해 일회용품 사용량 늘어나  ×1 백지원(제주대학교 행정학과 2학년) 12-08
2793 기고.  ×1 고기봉 12-07
2792 (기고)극심해지는 지구온난화, 우리의 생활습관 성찰 및 고안  ×1 강향기나 12-04
2791 도민들의 무관심 속에 사라져가는 제주 용천수  ×1 이창석 12-03
2790 쓰레기 분리수거를 위한 정책적 뒷받침 절실  ×1 허예진 12-03